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 사업(2014)

OECD INES LSO Network(2014)
저자
양정승 김미란 정재호 류지영 이은혜
분류정보
기본사업(2014-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2.31
등록일
2015.02.03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OECD 교육지표교육성과지표OECD INES LSO
요 약
제1장 사업 개요_1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통계의 범위 및 기준	 6
 제3절 2014년 주요 사업 내용	 8
제2장 OECD EAG 통계자료 제공과 주요 내용_15
 제1절 EAG 2014의 구조	 17
 제2절 EAG 2014 통계자료의 검증	 19
 제3절 EAG 통계자료 제공	 26
제3장 OECD INES LSO 네트워크 총회 및 분과별 활동_31
 제1절 제11차 총회 및 분과별 활동	 33
 제2절 제12차 총회 및 분과별 활동	 59
제4장 대졸자의 취업 결정 요인 국제비교 : EC 고용주 조사 결과와의 비교_71
 제1절 도입	 73
 제2절 고용주 조사의 필요성 및 개요	 74
 제3절 이력사항의 효과 분석	 80
 제4절 소결	 89
제5장 결론_91
 제1절 사업내용 요약	 93
 제2절 당면 현안	 95
SUMMARY_99
참고문헌_103
부록_105
 1. OECD INES LSO 제11차 총회 원내 공유 세미나 자료	 107
○ OECD가 발간하는 대표적 교육통계 자료집인 ‘Education at a Glance(EAG)’에 활용될 한국의 LSO 관련 통계자료를 발굴·가공하여 제공하고 검증함.
○ 연 2회 개최되는 OECD INES LSO 총회에 참석하여 EAG 지표를 검토하고 신규 지표 개발 작업에 참여함.
○ OECD INES LSO 분과별 회의에서 논의된 현안을 중심으로 최근 교육의 노동시장 및 사회적 성과와 관련된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국제비교 워킹페이퍼와 이슈 브리프 등을 작성함.
○ OECD EAG 동향을 소개하여 교육의 노동시장 및 사회적 성과와 관련된 국제적인 관심 주제와 시각을 원내외로 공유함.
  The study aims to provide the statistical LSO data of Korea for the EAG, which is the education statistics data published by OECD and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related policy making in most countries. We participate in the general assembly of OECD INES LSO, reviewing current indexes and developing new ones. And we figured out the international trend of education-to-work transitions and make some working papers to compare the LSO outcomes across countries. Additionally, we are trying to share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with members of KRIVET. 

  The key contents of OECD INES LSO are as follow.

 ○ To check the data for EAG 2014
  - We verified education wage premium indexes(A6) and the school-to-work transition indexes of youth(C5). 

 ○ To provide the data for EAG 2015
  - We generated and provided the Education and Earning Data used for part A tables in EAG 2015 and the TRANS data for part C tables. 

 ○ It is recommended to join four working groups of OECD INES LSO.
  - Working groups are consist of 4 groups, Adult learning working group, Economic outcome working group, Learning and Labour Transition working group, and Working Group on Social Outcomes of Learning
  - As some countries don't have national statistics or have statistical quality problem, countries are ask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solve the problems.
  - We review the indexes and give our views on behalf of Korea.

 ○ It is scheduled to publish the working paper on cross-national comparison of world wide issues which were discu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 To hold the meeting in Krivet to share the information about OECD LSO.
  - Krivet meeting on 29 Apr 2014 about 11th INES LSO Network meeting
  - Brown Bag Seminar on 30th Oct 2014 about 12th INES LSO Network meeting
We also make a brief cross-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mployment determination factors for the recent graduates.

 ○ We present the results of Hamburg et al's study(2013) which used the EC employer survey,  and carry out an comparative analysis with GOMS data from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 EC employer survey is a kind of simulation of two-step selecting process to employ staff, at first step of which employers are asked to select one person who can take a job interview among three CVs and at second step of which they are asked again to employ one person by evaluating the skills. And these steps are repeated ten times for each respondent.

 ○ In Europe, ‘Match between field of study and job tasks’ and ‘relevant work experience’ were most important elements of employment. 

 ○ Underperformance comes at great cost, therefore good signals about graduate's employability are so important.

 ○ Employer survey can give much valuable information on the labor market of recent graduates.
<표 1-1>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 2011)와 한국의 학제	7
<표 1-2> EAG 2014: 교육의 임금프리미엄 관련 지표 목록	8
<표 1-3> EAG 2014: 학교에서 직장이행 단계의 15~29세 청년층 관련 지표 목록 	9
<표 2-1> EAG 2014의 구조 	18
<표 2-2> EAG 2014: 교육으로부터 얻은 임금프리미엄 관련 지표 목록 	19
<표 2-3> A6 검증데이터 목록	21
<표 2-4> EAG 2014: 학교에서 직장이행 단계의 15~29세 청년층 관련 지표 목록	23
<표 2-5> EAG 2014: 학교에서 직장이행 단계의 15~29세 청년층 관련 지표 계산식	25
<표 2-6> EAG 2014: 학교에서 직장이행 단계의 15~29세 청년층 관련 데이터 산출 기준	26
<표 3-1> EAG 2013과 EAG 2015 최종학력 ISCED 수준 비교	38
<표 3-2> 성인학습(AL) 분과에서 제안한 표 및 그래프 	48
<표 3-3> OECD 회원국의 성인학습(AL) 지표 산출 데이터 	50
<표 3-4> TRANS 데이터 수집 항목	54
<표 4-1> 1단계 조사에 이용된 특성들 	78
<표 4-2> 2단계 조사에 이용된 특성들 	79
<표 4-3> 직업별 이력사항의 순위(유럽) 	81
<표 4-4> 직업별 이력사항의 순위(우리나라) 	81
<표 4-5> 기업 규모별 이력사항의 순위(유럽) 	82
<표 4-6> 기업 규모별 이력사항의 순위(우리나라) 	82
<표 4-7> 이력사항에 따른 임금격차 	88
<표 4-8> 이력사항에 따른 임금격차(우리나라) 	89
[그림 3-1] 최종학력 분류 기준별  고용률, 1인당 수입, 인구 대비 비율	53
[그림 4-1] 1단계 조사화면 	78
[그림 4-2] 2단계 조사화면 	79
[그림 4-3] 전공과 일자리의 적합도에 따른 고용가능성 	83
[그림 4-4] 관련된 일자리 경험에 따른 고용가능성 	84
[그림 4-5] 학위에 따른 고용가능성 	85
[그림 4-6] 졸업평점에 따른 고용가능성 	86
[그림 4-7] 해외 유학 경험에 따른 고용가능성 	87
[그림 4-8] 대학의 명성에 따른 고용가능성 	8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사업(2014) 2014.01.01~201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