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인증 방안 연구
A Study on Way of Accreditation for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 저자
- 이상준 한애리 손수정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4-1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4.10.31
- 등록일
- 2015.02.03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5 제3절 연구의 범위와 한계 6 제2장 선행 연구 및 국내외 사례_7 제1절 인증제에 대한 선행 연구 9 제2절 국내외 인증제 운영 사례 18 제3장 훈련시장과 적정 훈련규모_27 제1절 훈련시장 분석 29 제2절 적정 훈련규모 분석 39 제4장 인증운영기관에 대한 이론_51 제1절 훈련기관 인증기관의 통합 운영 53 제2절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의 인증화와 훈련시장 64 제5장 인증제 지표의 방향과 내용_69 제1절 훈련 인증지표의 방향 71 제2절 훈련 인증지표안과 내용 75 제6장 지표 생성과 현장 사례_91 제1절 조사 설계 93 제2절 조사 결과 104 제3절 인증지표 타당성 조사를 위한 사례 연구 122 제7장 훈련인증제에 대한 정책적 제언_127 제8장 결 론_137 SUMMARY_143 참고문헌_145 부 록_151 1. 2차 전문가 의견 조사 설문지 153 2. 3차 전문가 조사 설문지 168
본 연구에서는 훈련의 품질 관리를 위한 훈련인증제도가 우리나라의 현재 훈련시장 상황에서 적합한 개념은 무엇이며 어떠한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훈련 인증을 위한 기초 분석으로 훈련시장 구조에 대한 분석과 훈련 인증을 위한 지표안을 제시한다.
This report examines way of accreditation for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As know, this topic has known sensitivity topic and very difficult theme since long before. The reason why like this is that there is no clear incentive for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in case of doing accreditation in training market. Therefore, we need to discuss on the way and philosophy of accreditation for efficiency of accreditation policy in the training marke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ur report includes the substance of study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v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evious studies about accreditation, Second, analyze the training market and the number of proper train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ccreditation and training quantity. Third, take a look theory about actual management of accreditation and mechanism between accreditation and training market. Finally, suggest direction and contents of indicators for accreditation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in the training market.
<표 3-1> 2012․2013년 총 매출액 기준 훈련 주체별 매출액 평균 31 <표 3-2> 실시 인원 수 기준 훈련 유형별 2012․2013년 총 매출액 평균 34 <표 3-3> 수료 인원 수 기준 훈련 유형별 2012․2013년 총 매출액 평균 36 <표 3-4> 훈련과정 수 기준 훈련 유형별 2012․2013년 총 매출액 평균 37 <표 3-5> 2012․2013년 총 매출액 규모별 평균 등급 38 <표 3-6> 지역별 인력양성 사업 예산 및 훈련 목표 인원 41 <표 3-7> 2013년 부처별 인력양성 사업 예산 및 정원 모집 인원 42 <표 3-8> 고용노동부 인력양성 훈련규모 43 <표 3-9> 최근 3년간 구인․구직 및 취업자 수 추이 46 <표 3-10> 성별․연령별 실업자 수 및 평균 구직 기간 48 <표 6-1> 세부 조사 일정 94 <표 6-2> 항목별 조사 내용 98 <표 6-3> 훈련기관 인증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 105 <표 6-4> 1, 2차 전문가 의견 조사의 세부 인증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 110 <표 6-5> 훈련기관 인증을 위한 지표 구성안 113 <표 6-6> 인증항목에 대한 가중치 분석 결과 116 <표 6-7> 세부 인증항목 ‘비전 및 전략’ 가중치 분석 결과 117 <표 6-8> 세부 인증항목 ‘훈련 프로그램’ 가중치 분석 결과 118 <표 6-9> 세부 인증항목 ‘훈련 인프라’ 가중치 분석 결과 118 <표 6-10> 세부 인증항목 ‘훈련생 지원’ 가중치 분석 결과 119 <표 6-11> 세부 인증항목 ‘훈련 성과’ 가중치 분석 결과 120 <표 6-12> 세부 인증항목에 대한 복합 가중치 121 [그림 3-1] 2012․2013년 총 매출액 기준 훈련 주체별 총 매출액평균 비율(%) 32 [그림 3-2] 실시 인원 수 기준 훈련 유형별 2012․2013년총 매출액 평균 비율(%) 34 [그림 3-3] 수료 인원 수 기준 훈련 유형별 2012․2013년총 매출액 평균 비율(%) 36 [그림 3-4] 훈련과정 수 기준 훈련 유형별 2012․2013년총 매출액 평균 비율(%) 37 [그림 4-1] 직업교육훈련 인증 및 관리 차원에서의 직업능력개발 교육훈련시장 구조 59 [그림 4-2] 오개닉(organic) 제품의 품질 인증에 따른 수요자 효용 변화 65 [그림 6-1] AHP(analytic hierachy process)를 활용한 조사 진행 절차 9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 인증방안연구 | 2014.01.01~2014.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