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의한 자격제도 개편 방안

Policy Agenda to Reorganize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저자
최영렬 조정윤 조세형 김현수 오혁제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1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0.31
등록일
2015.02.2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5
제3절 연구방법	 7
제4절 연구절차	 12
제5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3 
제2장 NCS 기반 자격제도 개편의 이론적 분석_15
제1절 자격제도 개편 관련 선행연구	 17
제2절 자격제도 관련 개념	 29
제3절 NCS 기반 자격제도 개편의 배경 및 제도화	 39
제4절 소결	 43
제3장 NCS 기반 자격제도 개편의 쟁점 분석_47
제1절 자격제도의 개편원칙 	 49
제2절 자격제도의 개편방향	 53
제3절 자격제도의 개편내용	 76
제4절 소결	 116
제4장 NCS 기반 자격제도 개편을 위한 산업분야별 검토_123
제1절 자격제도 개편의 검토대상 선정	 125
제2절 화학분야	 126
제3절 숙박분야	 162
제4절 소결	 191
제5장  NCS 기반 자격제도 개편 방안_197
Summary 213           
참고문헌_217
부   록_223
1. NCS 기반 자격제도 개편 관련 조사 설문지 	 225
2. 설문 결과 요약정리 테이블 	 240
3. 영국의 숙박 관련 경력경로개발 	 274
4. 화학분야의 분류별 능력단위 현황	 275
  본 연구는 자격제도를 개편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인 개편의 원칙과 방향, 자격제도 개편에 수반되는 쟁점을 분석하고 NCS를 활용하여 자격제도를 개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Qualification system in Korea has been developed to be more important and prevalent as an objective tool to measure ones ability in work place. According to the drastic changes of the era, however, qualification system also undergoes new change driven by national and international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reorganize the direction of the qualification system in Korea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in order to propose agenda to reform current qualification system. 
  Chapter 1 introduces the research purpose, methods, and contents of the study. As for the research methods,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nd several expert meetings were held for the discussion. 
  Second chapter identifies the rationale and the issue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is chapter examined the theoretical concepts related to qualification system through various literatures. Based on these analyses, It summarizes the current status of qualification system and derives the specific issues to be addressed in Chapter 3. To tackle main issues in new qualification system, analysis associated with existing qualification was done within NCS-based qualification system. 
  Chapter 3 analyses the issues and proposes policy agenda. It largely divides  key concepts related to reorganization of the qualification system by NCS into 3 fields: the reorganization principles; the reorganization directions; and the reorganization content. The reorganization principles of the qualification system are the important theories which should always be considered to reorganize it. They can be defined as the principles of equity and efficiency. The reorganization directions of the qualification suggested issues related to the ways which should be sought in reorganization. They are based on  connectivity, flexibility, and comparability. The reorganization contents of the qualification system are related to the details which achieve recognition of its value and are properly utilized in industries. The first step of the reorganization contents of the qualification system is industrial analyses and is to find out the career pathway. Next, required qualification should be identified and qualification types should be decided. And then, the awarding methods of each qualific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designing qualification types utilizing NCS unit or its element. In the final step, methods to maintain quality of qualification system is discussed. 
  Chapter 4 tries to apply the findings from chapter 3 to selected sectors, chemical and accommodation sector. The purpose of this chapter is to refine the proposal by testing the reorganization principles and proposals suggested in chapter 3. The Korea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echnology and service part. The chemical field was selected as the qualification related to technologies and the accommodation field was done as the service part. 
  Chapter 5 proposes 15 policy agenda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to reorganize the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NCS. 
<표 1-1> 전문가 협의회 운영실적	  8
<표 1-2> 설문조사 내용 요약	 10
<표 3-1> NCS를 반영하여 교육훈련과정을 개편해야 할 기관	  62
<표 3-2> 자격 간 연계방식	  65
<표 3-3> 국가자격체계를 통한 자격과의 연계 우선순위	 65
<표 3-4> 자격 간 연계의 필요성 우선순위	 66
<표 3-5> 국가자격체계를 통한 자격과의 연계 우선순위	 67
<표 3-6> 교육훈련을 이수하지 않았으나 역량 소지자에게 자격 부여	 69
<표 3-7> 자격 개편 방향 (단수 응답)	 81
<표 3-8> NCS 기반 기존 자격 개편 시 자격의 크기	 82
<표 3-9> NCS 기준 자격 구성 최소 단위	 83
<표 3-10> 각 직무 또는 산업분야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초 자격 도입 필요 여부	 86
<표 3-11> 각 직무 또는 산업분야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관리 및 리더십 자격 도입 필요 여부	 87
<표 3-12> NCS를 적용하여 개편이 필요한 자격 (전체)	 93
<표 3-13> NCS를 적용하여 개편이 필요한 자격 (교육기관)	 93
<표 3-14> 각 분야와 관련된 자격별 개편 필요성 (MEAN)	 93
<표 3-15> NCS를 적용하여 개편이 필요한 자격	 94
<표 3-16> 과정평가형 자격을 운영할 때 부분자격의 필요성 여부	 97
<표 3-17> 향후 적합한 자격 부여 방식	 99
<표 3-18> 현행 자격제도 참여자	 103
<표 3-19> 과정평가형 자격을 부여할 때 적절한 인증 수준 	 111
<표 3-20> 과정평가형 자격을 부여할 때 적절한 학습결과 평가 방법 	 112
<표 3-21> 자격 취득 교육과정에 대한 NCS 반영 정도	 113
<표 3-22> 과정평가형 자격을 개설, 운영할 때 예상되는 어려움 	115
<표 4-1> 화학산업의 분류	 126
<표 4-2> 화학 관련 직업 분류, 관련 직업 수 및 예시직업	 129
<표 4-3> 화학 관련직 종사자 수, 월평균 수입, 평균학력, 평균연령	 130
<표 4-4> 화학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분류 	 131
<표 4-5> 화학분야의 국가기술자격 현황	 133
<표 4-6> 화학분야의 국제기술사 등록분야별 자격종목	 134
<표 4-7> 화학분야 자격 설계의 기준 마련을 위한 경력개발경로 개발절차	 136
<표 4-8> Maintenance Technician 관련 직업 및 자격 정보	 138
<표 4-9> Certificate 1 in Process Plant Skills 자격 구조	 139
<표 4-10> 화학분야 자격 설계의 기준 마련을 위한 경력개발경로의 직무정의(안) 	 141
<표 4-11> 화학분야의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직무범위	 144
<표 4-12> 화학분석 기사 실기 출제기준과 국가직무능력표준 능력 단위 수행준거의 비교	 147
<표 4-13> 화학분야의 자격유형 결정(안)	 149
<표 4-14> 화학설비 운전 2급 모듈단위 자격 설계 예시	  152
<표 4-15> 화학분야 종목별 직무정의 및 능력단위 선정결과	 153
<표 4-16> 화학설비 운전 2수준 필기시험 출제기준	 155
<표 4-17> 화학설비 운전 2급 실기시험 출제기준	 156
<표 4-18> 숙박서비스 관련 직업명	 163
<표 4-19> 숙박서비스원 고용구조	 163
<표 4-20> 관광 관련 학과 분류기준 및 학과 예시	 165
<표 4-21> 관광 관련 학과 교육훈련과정 현황	 166
<표 4-22> 숙박서비스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능력단위(요약)	167
<표 4-23> 국내 숙박업분야 자격제도의 변천	 169
<표 4-24> 숙박서비스 관련 자격 취득자 현황	 174
<표 4-25> 숙박업 관련 자격 현황(수준별)	 175
<표 4-26> NCS 개발단계와 NQF(안)의 학위 수준 비교 	 179
<표 4-27> NCS 기반 숙박서비스 자격체계 개편(안)	 181
<표 4-28> 숙박서비스 자격 취득자의 학력 수준	 187
<표 4-29> 자격별 응시요건 현황	 188
[그림 1-1] 연구 내용과 방법	 12
[그림 3-1] 자격제도 개편 흐름도	 78
[그림 3-2] 자격유형 결정절차	 91
[그림 4-1] 화학분야 관련 산업	 128
[그림 4-2] 영국의 화학분야 경력개발경로	 137
[그림 4-3] 호주의 Process Plant Skills 자격 구조	  140
[그림 4-4] 화학분야 경력개발경로	 142
[그림 4-5] 국가역량체계의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국가기술자격 종목의 평가내용 비교	 143
[그림 4-6] 현행 국가기술자격의 직무정의 기준범위	 146
[그림 4-7] 모듈단위 자격의 개념	 151
[그림 4-8] 모듈단위 자격의 활용방안	 151
[그림 4-9] 숙박서비스분야의 경력개발경로	 171
[그림 4-10] 호주의 호텔 경영 관련 경력개발경로	 172
[그림 4-11] 고객서비스 직급별 업무 현황	 173
[그림 4-12] 숙박서비스분야의 자격유형(요약)	 178
[그림 4-13] NCS 기반 숙박분야 자격체계 개편(안)	 184
[그림 5-1] 정책의 중요성 및 시급성 	 21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의한 자격제도 개편 방안 2014.01.01~2014.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