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조사(2014) : 국내신규박사학위취득자 실태조사
A Survey on Doctoral Degree Holders(2014)
- 저자
- 송창용 이은혜 손희전 신동준 황승록 김혜정
- 분류정보
- 기본사업(2014-0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4.12.31
- 등록일
- 2015.02.2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박사조사박사학위취득자 실태조사
요 약 제1부 사업 개요 제1장 서 론_3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5 제2절 사업의 주요 내용 7 제2장 박사조사 연혁_15 제1절 조사 설계 및 2011년도 사전조사 시행 17 제2절 2012년도(1차년도) 사업 추진 실적 19 제3절 2013년도(2차년도) 사업 추진 실적 22 제3장 실사 및 DB 구축_27 제1절 조사 설계 29 제2절 조사 준비 및 실사 36 제3절 데이터 클리닝 및 DB 구축 44 제4장 3차년도 사업성과_55 제1절 기초분석보고서 작성 57 제2절 정책연구 및 자료 활용 현황 60 제3절 언론보도 현황 62 제5장 4차년도 조사 준비 및 향후 계획_65 제2부 박사조사(2014) 기초분석 제1장 조사 결과 개요_73 제2장 박사학위 과정 및 연구 성과_81 제1절 박사학위 과정 83 제2절 연구 성과 95 제3장 노동시장 이행 성과_103 제1절 취업 상태 105 제2절 취업자 109 제3절 비정규직 및 미취업자 123 제4장 해외취업 및 이주계획_131 제1절 해외취업 및 이주계획 133 제5장 박사후과정(Post-doc) 및 시간강사_139 제1절 박사후과정(Post-doc) 141 제2절 시간강사 146 참고문헌_149 부 록_151 1. 박사조사(2014)에 대한 협조 공문 153 2. 2014년도 박사조사 시행 계획(안) 154 3-1. 박사조사(2014) 설문지 158 3-2. 박사조사(2014) 영문 설문지 163 4. 변수 레이아웃 168
○ 박사급 고급 인적자원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및 제공 -장기간에 걸친 전수조사로 박사의 양성-배분-활용에 대한 신뢰성 있고 시의적절한 통계 데이터 생성 -국가 고급인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최근 배출되는 국내 박사 인력에 대한 실태 분석 및 비교 -성별, 지역별, 전공계열별 등으로 박사 인력 양성 및 공급 실태를 분석 -국내 박사의 장기간 조사를 통해 박사 인력의 경제활동 상태 등을 분석
제1부 사업 개요 <표 2-1> 박사조사 최초 설문 구성 18 <표 2-2> 박사조사(2012) 설문 변경 사항 20 <표 2-3> 박사조사(2013) 설문 변경 사항 23 <표 3-1> 국내외 박사조사 관련 설문 주요 내용 30 <표 3-2> 박사조사(2014) 설문 변경 사항 32 <표 3-3> 박사조사(2014) 설문 주요 내용 35 <표 3-4> 박사조사(2014) 기관별 업무 37 <표 3-5> 박사조사(2014) 명부 및 설문지 제출 현황 42 <표 3-6> 용역업체 선정 일정 44 <표 3-7> 변수 레이아웃 예시 48 <표 4-1> 박사조사(2012~2014) 언론보도 현황 62 <표 5-1> 박사조사(2015) 기관별 업무 68 제2부 박사조사(2014) 기초분석 <표 1-1> 응답자의 성별 분포 75 <표 1-2> 응답자의 전공계열별 분포 76 <표 1-3> 응답자의 지역별 분포 77 <표 1-4> 응답자의 연령별 분포 78 <표 1-5> 응답자의 성별․전공계열별 분포 78 <표 1-6> 응답자의 성별․지역별 분포 79 <표 1-7> 응답자의 성별․연령별 분포 80 <표 2-1> 응답자 특성별 입학에서 수료까지 학업 전념 여부 87 <표 2-2> 응답자 특성별 휴학 경험 유무 89 <표 2-3> 응답자 특성별 휴학 사유 91 <표 2-4> 응답자 특성별 박사과정 중 총 학비 지출 현황 93 <표 2-5> 응답자 특성별 박사과정 중 학술지 논문 게재 수 97 <표 2-6> 응답자 특성별 프로젝트 참여 경험 100 <표 3-1> 응답자 특성별 경제활동 상태 107 <표 3-2> 응답자 특성별 종사상 지위 111 <표 3-3> 응답자 특성별 재직 직장 유형 116 <표 3-4> 응답자 특성별 현재 연봉 수준 119 <표 3-5> 응답자 특성별 업무와 전공과의 관련 정도 122 <표 3-6> 응답자 특성별 예상 구직 기간 124 <표 3-7> 응답자 특성별 선호 직장의 종류(1순위) 126 <표 3-8> 응답자 특성별 직장 선택 시 고려 사항 128 <표 3-9> 응답자 특성별 희망 연봉 130 <표 4-1> 응답자 특성별 해외취업 및 이주계획 134 <표 4-2> 응답자 특성별 해외체류 예정 기간 136 <표 4-3> 응답자 특성별 해외취업 및 이주계획 이유 138 <표 5-1> 응답자 특성별 박사후과정 계획 유무 143 <표 5-2> 응답자 특성별 희망 시간강사 유형 148 제1부 사업 개요 [그림 1-1] 박사조사(2014) 사업의 주요 내용 8 [그림 3-1] 박사조사(2014) 프로세스 38 [그림 3-2] 박사조사 조사표 회수율 추이 42 [그림 3-3] 데이터 클리닝 절차 46 [그림 3-4] 펀칭 및 에디팅 가이드 예시 51 [그림 3-5] 단순 에러 추출 SAS 프로그램 예시 53 [그림 3-6] 로직 에러 추출 SAS 프로그램 예시 54 [그림 5-1] 4차년도 조사 프로세스 68 제2부 박사조사(2014) 기초분석 [그림 2-1] 박사과정 진학 이유 84 [그림 2-2] (외국에서 학사 또는 석사학위를 취득한 경우) 한국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유 85 [그림 2-3] 입학에서 수료까지 학업 전념 여부 86 [그림 2-4] 휴학 경험 유무 88 [그림 2-5] 휴학 사유 90 [그림 2-6] 박사과정 중 총 학비 지출 현황 93 [그림 2-7] 박사과정 중 학비 출처 현황 94 [그림 2-8] 박사과정 중 학술지 논문 게재 수 96 [그림 2-9] 프로젝트 참여 경험 99 [그림 3-1] 경제활동 상태 106 [그림 3-2] 구직 계획이 없는 이유 108 [그림 3-3] 종사상 지위 110 [그림 3-4] 직장에서의 일자리 유형 112 [그림 3-5] 박사후과정 또는 전업 시간강사 여부 113 [그림 3-6] 재직 직장 유형 115 [그림 3-7] 현재 연봉 수준 119 [그림 3-8] 업무와 전공과의 관련 정도 122 [그림 3-9] 예상 구직 기간 123 [그림 3-10] 선호 직장의 종류 126 [그림 3-11] 직장 선택 시 고려 사항 127 [그림 3-12] 희망 연봉 수준 129 [그림 4-1] 해외취업 및 이주 국가 137 [그림 5-1] 박사후과정 계획 142 [그림 5-2] 박사후과정 이수 계획 국가 144 [그림 5-3] 박사후과정 소속 기관 144 [그림 5-4] 박사후과정 재원 145 [그림 5-5] 전업 시간강사 계획 비율 14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박사조사(2014)-국내신규박사학위취득자 실태조사 | 2014.01.01~2014.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