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 취업자 후진학 계속교육 실태 분석 및 내실화 방안 : 해외 사례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and the Measures for Substantiality of the College of Further Education of High School Workers
- 저자
- 김기홍 변숙영 최동선 허영준 김영숙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4-15-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4.10.31
- 등록일
- 2015.02.26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5 제3절 연구 방법 6 제2장 독일의 후진학 계속교육 운영 실태 분석_9 제1절 후진학 계속교육 제도 11 제2절 후진학 계속교육 운영현황 분석 28 제3절 후진학 계속교육 운영 사례 33 제3장 핀란드의 후진학 계속교육 운영 실태 분석_43 제1절 후진학 계속교육 제도 45 제2절 후진학 계속교육 운영현황 분석 65 제3절 후진학 계속교육 운영 사례 68 제4장 일본의 후진학 계속교육 운영 실태 분석_83 제1절 후진학 계속교육 제도 85 제2절 후진학 계속교육 운영현황 분석 94 제3절 후진학 계속교육 운영 사례 103 제5장 논의와 시사점_111 제1절 독일에서의 논의와 시사점 113 제2절 핀란드에서의 논의와 시사점 116 제3절 일본에서의 논의와 시사점 119 제4절 종합 비교표 121 참고문헌_123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필요성과 정당성에 기초하여 주요국 후진학 계속교육의 실태 및 운영 사례를 정밀 진단하고, 우리나라 후진학 계속교육 제도의 운영 내실화 및 정책적 개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표 2-1> 이원화 학위과정의 유형별 특성 22 <표 2-2> 이원화 학위과정 유형별 개설 현황 29 <표 2-3> 이원화 학위과정의 운영 현황 32 <표 2-4> 학기별 교육과정 내용 35 <표 2-5> 학기별 교육과정 내용 37 <표 2-6> 학기별 교육과정 모듈내용 41 <표 3-1> 교육수준과 목표에 따른 성인교육 51 <표 3-2> 재직자근로자를 위한 후진학 계속교육의 유형 52 <표 3-3> 2014년 무급학업휴가 동안의 보조금액 64 <표 3-4> 직업자격취득이 목적이 아닌 후진학 계속교육의 유형 66 <표 3-5> 자격취득으로 이어지지 않는 성인교육기관 유형 67 <표 3-6> 땀뻬레전문대학 전문훈련과정 사례 70 <표 3-7> 자동차공학과정의 교과과정 72 <표 3-8> 하멘리나 직업교과과목교사 기본교과과정 80 <표 4-1> 일본 공교육제도에서의 직업교육기관 86 <표 4-2> 교육훈련급부제도의 수급자 수 및 수급총액 추이 101 <표 4-3> 23개 과목군의 인증장 취득상황(2008년 8월 1일) 107 <표 4-4> 2000년대 설립된 일본의 주요 기업내대학 109 <표 5-1> 주요국 후진학 계속교육 실태 및 운영 사례에서의 시사점 121 [그림 2-1] 독일의 기본교육제도 12 [그림 2-2] 직업교육훈련법에 의거한 승진향상교육 구조 17 [그림 2-3] 정규직업양성훈련 이원화 학위과정의 비중 변화 추이 30 [그림 2-4] 정규직업양성훈련 이원화 학위과정의 운영기관 비율 30 [그림 2-5] 대학유형별 이원화 학위과정에 참여하는 학생 수 31 [그림 2-6] 학기별 학점 취득 내용 34 [그림 3-1] 핀란드의 교육제도 46 [그림 3-2] 핀란드 평생직업교육체제 연계경로 48 [그림 4-1] 대학의 사회인 입학 추이 95 [그림 4-2] 사회인의 교육기관 활용도 97 [그림 4-3] 야간대학의 학생 수 추이 99 [그림 4-4] 새틀라이트 교실 정규수업 실시 대학 및 대학원 수 100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고졸취업자 후진학 계속교육 실태 분석 및 내실화 방안 | 2014.01.01~2014.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