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근로빈곤층 자립지원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연계 방안 연구

Embedding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Policy within the Employment and Welfare Linkages in Support for Self-sufficiency of Working Poor
저자
류기락 양정승 노대명 류지영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0.31
등록일
2015.02.26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방법	15
제2장 근로빈곤층 직업능력개발정책의 현황 및 성과_19
제1절  근로빈곤층 직업능력개발사업	21
제2절  고용-복지 통합 지원 사업	30
제3장 근로빈곤층 자립지원 정책과 직업능력개발_41
제1절  근로빈곤층 자립지원정책과 직업능력개발 연계	47
제2절  고용-복지 연계 서비스	61
제3절  직업능력개발정책 개편 방향	71
제4장 근로빈곤층 직업능력개발과 고용서비스의 연계_85
제1절  근로빈곤층 대상자 선정단계 현황	 87
제2절  근로빈곤층 자립지원을 위한 취업지원 및 직업훈련	 99
제3절  공공전달체계의 개선	 113
제4절  현장 관계자 면담 결과	 119
제5장 해외사례: 외국의 근로빈곤층 직업훈련정책_135
제1절  문제제기	137
제2절  각국의 근로빈곤층의 추이	139
제3절  각국 근로빈곤층 지원정책의 개편동향	150
제4절  각국의 노동시장정책과 직업훈련정책	159
제5절  각국의 근로빈곤층 직업훈련정책 개편동향	173
제6절  소결	179
제6장 결론_181
SUMMARY_197
참고문헌_201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 자립 지원 정책의 추이를 파악하고 직업능력개발정책을 효과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Working poor, defined as those who are willing and able to work but have trouble in getting job and moving out of poverty, has drawn much attention from employment and welfare policy makers across the globe. This means that poverty is not only due to loss of job or inactivity in the labor market, but due to the quality and retention of jobs, signifying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social policy that aims to link employment and welfare in resolving the working poverty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s of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policy in supporting self sufficiency of working poor. Focus is given to income maintenance, employment service, and employment incentives, and a critical assesment is made of the roles and positions of skills development policy in terms of the linkage to these policy packages. Delineating the concept, composition, and the roles of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policy in supporting self-sufficiency of working poor, self-sufficiency is defined as ‘exiting poverty through labor market entry and staying ’out of poverty’ status by employment retention’. To achieve self sufficiency of working poor, the configuration of income maintenance, employment incentives, and employment services needs to be established in a more concrete manner. The roles of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policy deserve scrutiny as the welfare benefits are being transformed into individually tailored benefits under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Policy suggestions have been made for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in supporting self-sufficiency of working poor in two aspects: 1) reform of skills development policy into an employment friendly system, 2) strengthening of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welfare linkage services.
  The former includes policy intervention for minimizing skills mismatches between supply of job seekers and demands of business in regard to initial and continuing skills development, launching locally based industry tailor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and fine-tuning of local demands and supply through continuous consultation and adjustment, and strengthening the lifelong employment-skills development-welfare linkages. The latter includes policy intervention for combining employment support and tailored social services, reducing blind spots of unemployment insurance and incentivizing reemployment for benefit claimants as well as for welfare beneficiaries, streamlining delivery services for social welfare and employment services, establishing a network-based administration system, and linking employment services information to human resources development databas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pilot projects be implemented to launch a case management system to better deliver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programs for working poor in the newly opening employment welfare centers and to reshape the existing centers by specific functions the in-house partner agencies perform in delivering their employment and welfare services. 
<표 1-1> 근로빈곤층 개념의 국가별 정의	 8
<표 1-2> 근로빈곤층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2012)	 11
<표 1-3> 근로연령 및 취업여부에 따른 근로빈곤율 추이(경상소득 기준)	 12
<표 1-4> 취업상태에 따른 근로능력빈곤층의 구성	13
<표 1-5> 상대빈곤선에 따른 빈곤층 및 근로빈곤층 추정 규모	14
<표 2-1> 내일배움카드제 취약계층별 대상자 정의	25
<표 2-2> 참여형태별 지원기준 	26
<표 2-3> 취약계층 인적특성별 내일배움카드제 취득현황	27
<표 2-4> 취업성공패키지 참여자 및 고용실적	32
<표 2-5> 기초생활수급자 대상 취업성공패키지 사업 실적	32
<표 2-6> 희망리본 참여자 현황	34
<표 2-7> 희망리본사업 성과(참여기관 성과급 지급 기준)	35
<표 3-1> 근로빈곤층 자립지원 정책의 현황(각 요소별 소계 추가)	46
<표 3-2> 실업급여 수급자격인정자 유형분류	53
<표 3-3> 취업역량평가 결과: 취업성공패키지 사례	55
<표 3-4> 직업능력개발훈련과 기타 자립지원 정책의 연계 요소및 구성	64
<표 3-5>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사업 현황	75
<표 4-1> 조건부과 제외와 조건제시 유예 사유	89
<표 4-2> 일반수급자의 경제활동 유무 및 고용형태 현황 추이	90
<표 4-3> 자활역량평가 점수대별 취업성과	93
<표 4-4> 자활역량평가표	93
<표 4-5> 취업성공패키지 사전단계 추진실적	97
<표 4-6> 취업성공패키지 연도별 사업추진실적	100
<표 4-7> 남성의 취업확률 회귀분석 결과	100
<표 4-8> 기초생활수급자 연도별 사업추진실적	102
<표 4-9> 2012년 자활사업 유형별 참여자	105
<표 4-10> 희망리본사업 및 자활사업의 성과	106
<표 4-11> 희망리본사업 성과급 지급실적	106
<표 4-12> 2011년 말 근로능력수급자의 구성	110
<표 4-13> 취업가능성별 취업실태	111
<표 4-14> 남양주 고용복지플러스센터 개소 전·후 방문자 수 비교(2014.1.1.~2014.5.31)	115
<표 4-15> 남양주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취업실적 건수(2014.1.1.~2014.5.31)	115
<표 5-1> 복지레짐 유형에 따른 근로빈곤층 비율 추이	146
<표 5-2> OECD 각국의 근로연령층 빈곤율 추이	148
<표 5-3> OECD 주요국의 노동시장프로그램 지출 비중 변화	163
<표 5-4> OECD 주요국가의 노동시장프로그램 참여자 규모 변화	172
[그림 3-1] 자활사업과 취업지원서비스 전달체계 조정방안	58
[그림 3-2] 고용-복지 연계 모형	59
[그림 3-3]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별 세부 개편 방안 개요	60
[그림 3-4] 대상별 고용-복지 연계 프로그램 현황	62
[그림 3-5] 맞춤형 개별급여체계 개편	68
[그림 3-6] 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체계 개편과 고용-복지 통합지원 대상 범위	69
[그림 3-7] 공공부조제도의 패러다임 전환	70
[그림 3-8]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훈련 사업 개요	73
[그림 4-1] 취업성공패키지 사전단계 개요	96
[그림 4-2] 조건부과제외 사유별 현황(단위: %)	110
[그림 5-1] 복지레짐 유형에 따른 근로빈곤층 비율 추이	145
[그림 5-2] OECD 각국의 근로빈곤율 추이	147
[그림 5-3]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의 실업급여 관련 지출변화	164
[그림 5-4]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의 ALMP 관련 지출 변화	165
[그림 5-5]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의 직업훈련 관련 지출 변화	166
[그림 5-6] OECD 주요국의 직업훈련정책 관련 지출의 추이	167
[그림 5-7] OECD 주요 국가의 직업훈련정책 관련 지출	168
[그림 5-8] 복지레짐에 따른 직업훈련정책 관련 지출 추이	169
[그림 5-9] 취업지원 프로그램 유형별 소요 재원의 추이	178
[그림 6-1] 근로유인형 급여체계 도입에 따른 가처분 소득 변화 구조 개선 방향	19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근로빈곤층 자립지원을 위한 직업능력개발 연계 방안 연구 2014.01.01~2014.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