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의 질 제고를 위한 훈련성과 평가 모델 개발
Training Evaluation Model for Quality Improvement of Small & Medium Sized Enterprises (SMEs) Employers consignment training
- 저자
- 장혜정 나현미 손희전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4-1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4.10.31
- 등록일
- 2015.03.0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8 제3절 연구 방법 11 제4절 용어의 정의 및 연구의 한계점 16 제2장 선행연구 및 이론적 탐색_23 제1절 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 25 제2절 훈련성과 평가모델 38 제3장 현황분석 및 사례분석_61 제1절 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 현황 63 제2절 국내외 사례분석 96 제3절 시사점 155 제4장 훈련성과 평가모델의 개발_163 제1절 훈련성과 평가모델 개발 절차 165 제2절 훈련성과 평가모델 구성요소 도출 181 제3절 훈련성과 평가 1차 모델 개발 185 제4절 훈련성과 평가모델의 타당성 검증 파일럿 테스트 206 제5절 훈련성과 평가 2차 모델 개발 227 제5장 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의 질 제고를 위한 훈련성과 평가모델 활용방안 및 정책 제언_239 제1절 훈련성과 평가모델 활용방안 241 제2절 정책 제언 247 SUMMARY_261 참고문헌_265 부 록_273 1. 중소기업의 인력수급 현황 275 2. 전문가 의견 조사지 279 3. 설문지(위탁기관 담당자용) 285 4. 설문지(중소기업훈련 담당자용) 288 5. 중소기업훈련에서 훈련성과 평가 현황분석 290 6. 항목별 각 집단 응답 빈도 및 편차제곱합(파일럿테스트 분석 결과) 337
본 연구에서는 위탁훈련기관에서 행하고 있는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사업주 위탁훈련의 성과에 대한 다각적인 평가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중소기업 위탁훈련의 주요 이해관계자들, 즉 훈련정책 담당자, 중소기업, 위탁훈련기관, 재직자가 평가의 주체가 되어 훈련성과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의 훈련성과 평가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2차 개발된 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의 훈련성과 평가모델을 사업주 위탁훈련과정 심사, 훈련기관 평가,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과정 운영 등에서 정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정책방향 제시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raining and evaluat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SME incumbent train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ining, SME employers consig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analyze the problem of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and training and assessment of employer training that is currently being done in small commission. Second, SMEs can contribute new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mployer entrusted training, training performance through presented integrated evaluation model. Third, to the final development through the validation pilot test, the main interests of SMEs consignment trained personnel (SMEs, training institutions, the incumbent, policy makers) are presented integrated training and assessment models that can be used for training and evaluation. Finally, we propose the use of a training plan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to be trained in quality management aspects of SMEs employers consignment training. Although evaluation model, various models, depending on the approach, the present study was to utilize the IPO model of McGrath. IPO model is ‘Input - Process - Outcomes’ an approach based on the process leading to the calculation to analyze the behavior and performance of the group. ...
<표 2-1> 지원 주체에 따른 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종합) 31 <표 2-2> 지원 주체에 따른 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종합) 32 <표 2-3> 중소기업연수원의 주요 훈련과정 36 <표 2-4> IPO 모델 세부 내용 및 절차 51 <표 2-5> 주요 평가모델 비교 51 <표 2-6> 사이버대학 성과분석 모델 개발 절차 54 <표 2-7> 사이버대학 성과분석 모델의 세부 항목 및 자료수집 방법 56 <표 3-1>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노동비용 비교 64 <표 3-2> 훈련 미실시 이유(재직근로자 대상) 66 <표 3-3> 중소기업(제조업/지식기반서비스업)의 훈련 미실시 이유 68 <표 3-4> 중소기업(제조업)의 훈련비용․인원․시간 69 <표 3-5> 훈련 인프라 여부 70 <표 3-6> 기업이 훈련시설을 운영하지 않는 이유(복수 응답) 71 <표 3-7> 중소기업(제조업/지식기반서비스업) 훈련 실시 여부와 형태 73 <표 3-8> 주로 활용하는 훈련방법 74 <표 3-9> 표본 특성 76 <표 3-10> 현황 조사: 조사 내용 개요 78 <표 3-11> 중소기업 및 위탁훈련기관의 자체평가 실시 여부 81 <표 3-12> 투입평가에서의 중소기업-위탁훈련기관 간 항목별 사전 논의 유무 84 <표 3-13> 과정평가에서의 중소기업-위탁훈련기관 간 항목별 논의 유무 87 <표 3-14> 산출평가에서의 중소기업-위탁훈련기관 간 항목별 논의 유무 91 <표 3-15> 중소기업과 위탁훈련기관의 중장기적 자체평가 92 <표 3-16> 결과평가에서의 중소기업-위탁훈련기관 간 항목별 논의 유무 94 <표 3-17> 2012년 평가 대상 훈련기관 수 97 <표 3-18> 평가영역별 평가항목 98 <표 3-19> 사업주훈련-위탁훈련 훈련역량 평가항목 및 평가문항 99 <표 3-20> 사업주훈련-위탁훈련 훈련역량 평가지 100 <표 3-21> 훈련생(재직자) 수요자 평가지 101 <표 3-22> 사업주 수요자 평가지 102 <표 3-23> 사업주 위탁훈련의 훈련기관 역량평가 등급 및 활용 103 <표 3-24> VET 연령별 참여 비율(%) 110 <표 3-25> 구조화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업주 지원 현황 112 <표 3-26> RTO 등록 표준 116 <표 3-27> 미국의 VTE와 CTE 차이 120 <표 3-28> EU 2020 전략(Europe 2020 Strategy) 128 <표 3-29> EQF 8단계 136 <표 3-30> QCF 수준 142 <표 3-31> EQF와 영국자격체계 비교 143 <표 3-32> 일본: 인재육성에 관한 문제점 내역(복수응답) 152 <표 4-1> 1차 전문가 의견 조사 개요 172 <표 4-2> 훈련성과 평가모델 세부 항목(1차) 187 <표 4-3> 교육훈련생의 훈련성과 평가를 위한 세부 항목 및 자료수집 방법(1차) 195 <표 4-4> 중소기업의 훈련성과 평가를 위한 세부 항목 및 자료수집 방법(1차) 198 <표 4-5> 위탁훈련기관의 훈련성과 평가를 위한 세부 항목 및 자료수집 방법(1차) 201 <표 4-6> 정책 담당자의 훈련성과 평가를 위한 세부 항목 및 자료수집 방법(1차) 204 <표 4-7> 훈련생 집단 인구통계정보 208 <표 4-8> 훈련교수 집단 인구통계정보 210 <표 4-9> 중소기업 교육훈련 담당자 집단 인구통계정보 211 <표 4-10> 각 측면별 훈련생 응답 214 <표 4-11> 각 측면별 훈련교수 응답 214 <표 4-12> 각 측면별 중소기업 교육훈련 담당자 응답 215 <표 4-13> 전체 항목에 대한 각 집단별 기술통계량 217 <표 4-14> 이단계 군집분석표 218 <표 4-15> 집단 간 편차제곱의 합이 큰 항목 219 <표 4-16> 집단 간 편차제곱의 합이 작은 항목 221 <표 4-17> 훈련성과 평가모델 세부 항목(2차) 230 [그림 1-1] 연구 내용 10 [그림 1-2] 연구 방법 15 [그림 1-3] 사업주 위탁훈련: 재직근로자의 훈련절차 17 [그림 2-1] 정부의 중소기업 인력양성․훈련사업 지원정책 현황 30 [그림 2-2] Kirkpatrick 모델 45 [그림 2-3] CIPP 모델 46 [그림 2-4] IPO 모델 49 [그림 2-5] 사이버대학 성과분석 모형 55 [그림 3-1] 2012년 훈련 실시 기업(재직근로자) 65 [그림 3-2] 훈련성과 평가 실시 여부와 훈련성과 평가의 필요성 80 [그림 3-3] 자체평가의 필요성 인식 정도 82 [그림 3-4] 위탁훈련기관의 훈련 관련 정보 보고서 제출 85 [그림 3-5] 중소기업의 인사관리 측면에서의 훈련성과 활용 88 [그림 3-6] 위탁훈련기관의 훈련성과 정보 보고서 제출 89 [그림 3-7] 중소기업, 위탁훈련기관의 항목별 결과평가 필요성 93 [그림 3-8] 호주 사업주 제공 교육 프로그램 111 [그림 3-9] 미국 CTE 평균 이수학점 122 [그림 3-10] 영역별 이수학점 변화 123 [그림 3-11] 유로존 주요국 실업률(2012년 현재) 129 [그림 3-12] 2010년 EU 기업체 제공 직업교육 현황 131 [그림 3-13] 2010년 기업 규모별 기업체 제공 직업교육 현황 132 [그림 3-14] 2010년 기업체가 직업교육을 제공하지 않는 이유 133 [그림 3-15] EQARF 사이클 137 [그림 3-16] QCF의 Award, Certificate, Diploma 이수학점 140 [그림 3-17] 일본의 직업능력개발정책 구조 150 [그림 4-1] 평가모델 개발 단계 166 [그림 4-2] 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의 이해관계자 관계도 167 [그림 4-3] IPO 모델의 이론적 활용 근거 169 [그림 4-4] 영역1: 투입-인적․물적 자원의 평가 174 [그림 4-5] 영역2: 과정–훈련 운영에 대한 점검과 평가 176 [그림 4-6] 영역3: 단기적 산출–위탁훈련 후 계획한 목표 달성 평가 178 [그림 4-7] 영역4: 중장기적 결과–위탁훈련 후 사업의 중장기적 영향과 평가 180 [그림 4-8] 훈련성과 평가모델 단계별 평가내용 182 [그림 4-9] 훈련성과 평가모델(1차) 186 [그림 4-10] 훈련성과 평가항목 타당성 검증 흐름도 207 [그림 4-11] 훈련성과 평가 2차 모델(수정 모델) 229 [그림 5-1] 중소기업훈련 질 제고를 위한 훈련성과 평가모델 활용 절차 244 [그림 5-2]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 정책방향 253 [그림 5-3] 중소기업훈련 질 제고를 위한 이해관계자별 수행활동 255 [그림 5-4] 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 질 제고를 위한 유관기관 협력체계 25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중소기업 사업주 위탁훈련의 질 제고를 위한 훈련성과 평가 모델 개발 | 2014.01.01~2014.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