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창조경제 핵심인력 육성정책 연구 : SW산업과 광고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re Manpower Development Policies of Creative Economy: Focused on Software Industries and Advertising Industries
저자
이상돈 정지선 김봄이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2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2.31
등록일
2015.03.17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3
제2절  연구의 목적	5
제3절  연구 내용	7
제4절  국내외 창조경제 관련 문헌 분석	9
제2장 주요 창조산업 핵심인력 육성 현황 분석_25
제1절  창조경제 유망 산업 선정 및 핵심인력 정의	27
제2절  광고산업 핵심인력 육성 현황 분석	31
제3절  SW산업 핵심인력 육성 현황 분석	67
제3장 창조산업 핵심인력 육성 실태조사_99
제1절  개요	101
제2절  광고산업 핵심인력 실태조사 결과 분석	103
제3절  SW산업 핵심인력 실태조사 결과 분석	131
제4절  소결	158
제4장 창조산업 핵심인력 육성방안_163
제1절  교육시장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165
제2절  정부의 창조산업 핵심인력 지원정책	169
제3절  창조경제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교육의 개선방안	174
제4절  창조산업체의 인력양성 기능 활성화 방안	180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_191
제1절  핵심인력 육성을 위한 기본방향	194
제2절  광고산업 핵심인력 육성을 위한 정책 제언	200
제3절  SW산업 핵심인력 육성을 위한 정책 제언	203
SUMMARY_215
참고문헌_221
부 록_231
부록1  광고 전문인력 현황 설문조사(인사담당자용)	233
부록2  SW 전문인력 현황 설문조사(인사담당자용)	244
부표1  광고산업 핵심인력 실태조사 결과	255
부표2  SW산업 핵심인력 실태조사 결과	262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창조경제의 특성을 반영한 한국형 창조산업의 범위를 설계하고, 유망 분야를 선정하여 핵심인력에 대한 현황 및 전망 분석을 토대로, 창조경제 인력의 효율적 육성을 위한 교육ㆍ노동ㆍ능력 간 연계방안을 도출함으로써 한국형 창조경제의 성공적 실현을 위한 실질적 인력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chieve largely the following two purposes: One is to define the scope of creative industries and promising fields among them which reflect the nature of Korean creative economy; and the other is to suggest practical manpower policy measures to realize creative economy successfully by analyzing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and by drawing effective linkage measures between education and labor market.  
  Overseas and domes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oncept and issues of Korean model of creative industry and its leading manpower. In the research advertising industry and software industry a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fields in creative economy, so as to explore the job specifications and its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Especially the balance of core and the rest of the labor force in the specific industries were looked into both in the formal education system and non-formal training system.
  Besides, some survey research were conducted to grasp the conditions of supply and demand of core labor force, which would be applied as grounding to suggest development policy tasks to enrich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to advance the industries. ...
<표 1-1> 국내 문헌에 나타난 창조경제	14
<표 1-2> 국내 문헌에 나타난 창조산업	16
<표 1-3> 국외 문헌에 나타난 창조경제	21
<표 1-4> 국외 문헌에 나타난 창조산업	22
<표 1-5> 국외 문헌에 나타난 창조산업의 범위	22
<표 2-1> 주요 국가와 기관의 창조산업 범위	28
<표 2-2> 창조산업 정의별 공통 분야	29
<표 2-3> 국가별 광고비 순위	32
<표 2-4> 광고산업의 주요 인력 분야 	37
<표 2-5> 광고회사의 종류 	39
<표 2-6> 1인창조기업으로 가장 적합한 광고 분야	41
<표 2-7> 광고제작사의 매출 현황	42
<표 2-8> 단체별 광고인력 실태조사	45
<표 2-9> 업종별 구성비 및 취급액 현황(2012년)	47
<표 2-10> 고용형태별 남ㆍ여 종사자 현황(2012년)	49
<표 2-11> 취급고와 인력의 연도별 개황	51
<표 2-12> 주요 대학 광고 관련 학과의 교과목 	58
<표 2-13> KOBACO 광고교육원의 교육과정	60
<표 2-14> 한국광고협회의 교육과정	61
<표 2-15> 국내 SW 시장 규모 추이	69
<표 2-16> 주요 산업 부가가치율	69
<표 2-17> 과학기술인력의 단계적 역량 모델(Dalton & Thompson)	73
<표 2-18> 과학기술인력의 역량 모델(삼성종합기술원)	74
<표 2-19> 타 산업 전산직 인력 현황	81
<표 2-20> 2014년 세계 ICT SW 전문개발자 수	83
<표 2-21> ICT전문인력 수급차 전망	84
<표 2-22> SW 마에스트로 서바이벌 프로젝트	85
<표 2-23> 코드스터디 커리큘럼	87
<표 2-24> 스마트 앱 창작터 교육과정	88
<표 2-25> 스마트 앱 창작터 교육과정 세부 내용	89
<표 2-26> SCSA 교육과정	91
<표 2-27> Technology Course 세부 교육체계	93
<표 2-28> Content & Startup Course 세부 교육체계	94
<표 2-29> 나이텍 교육센터 교육서비스	96
<표 2-30> 중소기업 IT 핵심인재 성공가이드 사업 세부 내용	97
<표 3-1> 설문 영역과 문항 내용	102
<표 3-2> 표본업체의 구성: 광고산업 분야	103
<표 3-3> 광고산업 핵심인력 수	104
<표 3-4> 광고산업 핵심인력 인원수	105
<표 3-5> 광고산업 핵심인력 신입사원 채용 시 선호하는 전공 분야 - 1순위	106
<표 3-6> 광고산업 핵심인력 신입사원 채용 선발 기준으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 1순위	107
<표 3-7> 광고산업 핵심인력 경력직 사원 채용 시 고려하는 요소 - 1순위	108
<표 3-8> 광고산업 핵심인력 부족인원	109
<표 3-9> 광고산업 핵심인력을 채용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의 정도 - 초급	110
<표 3-10> 광고산업 핵심인력을 채용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의 정도 - 중급	111
<표 3-11> 광고산업 핵심인력을 채용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의 정도 - 고급	112
<표 3-12> 인력 수준에 따른 채용이 어려운 대표적인 이유(초급) - 1순위	113
<표 3-13> 인력 수준에 따른 채용이 어려운 대표적인 이유(중급) - 1순위	114
<표 3-14> 인력 수준에 따른 채용이 어려운 대표적인 이유(고급) - 1순위	116
<표 3-15> 광고산업 핵심인력을 채용하는 데 어려움 대처 방법 - 1순위	117
<표 3-16> 재교육 기회	118
<표 3-17> 재교육 및 훈련의 1인당 평균 소요시간과 비용	118
<표 3-18> 광고산업 핵심인력의 1인당 재교육 예산 증감 정도	119
<표 3-19> 전년 대비 광고산업 핵심인력의 1인당 재교육 예산 비중 증가 정도	120
<표 3-20> 전년 대비 광고산업 핵심인력의 1인당 재교육 예산 비중 감소 정도	120
<표 3-21> 재교육을 이수한 광고산업 핵심인력의 재교육 효과	121
<표 3-22> 광고산업 핵심인력 재교육 및 훈련 추진 과정에서 애로사항 - 1순위	122
<표 3-23> 광고산업 핵심인력 재교육 및 훈련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개선 필요성 부분 - 1순위	123
<표 3-24> 광고산업 핵심인력 능력향상 지원 방법 중 주로 활용하고 있는 방법	125
<표 3-25> 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 예비인력의 기초역량 우수성	126
<표 3-26> 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 예비인력의 실무능력 우수성	127
<표 3-27> 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 예비인력의 기본소양 우수성	128
<표 3-28> 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 전반적 만족도	129
<표 3-29> 표본업체의 구성: SW산업 분야	131
<표 3-30> SW산업 근로자 수	132
<표 3-31> SW산업 핵심인력 수	133
<표 3-32> SW산업 핵심인력 인원	134
<표 3-33> SW산업 핵심인력 신입사원 채용 시 선호하는 전공 분야 - 1순위	135
<표 3-34> SW산업 핵심인력 신입사원 채용 선발 기준으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136
<표 3-35> SW산업 핵심인력 경력사원 채용 시 고려하는 요소  - 1순위	137
<표 3-36> SW산업 핵심인력 부족인원	139
<표 3-37> SW산업 핵심인력을 채용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의 정도 - 초급	139
<표 3-38> SW산업 핵심인력을 채용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의 정도 - 중급	140
<표 3-39> SW산업 핵심인력을 채용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의 정도 - 고급	141
<표 3-40> 인력 수준에 따른 채용이 어려운 대표적인 이유(초급) - 1순위	142
<표 3-41> 인력 수준에 따른 채용이 어려운 대표적인 이유(중급) - 1순위	143
<표 3-42> 인력 수준에 따른 채용이 어려운 대표적인 이유(고급) - 1순위	144
<표 3-43> SW산업 핵심인력을 채용하는 데 어려움 대처 방법 - 1순위	145
<표 3-44> 재교육 기회	146
<표 3-45> 재교육 및 훈련의 1인당 평균 소요시간과 비용	146
<표 3-46> SW산업 핵심인력의 1인당 재교육 예산 증감 정도	147
<표 3-47> 전년 대비 SW 핵심인력의 1인당 재교육 예산 비중 증가 정도	147
<표 3-48> 전년 대비 SW 핵심인력의 1인당 재교육 예산 비중 감소 정도	148
<표 3-49> 재교육을 이수한 SW산업 핵심인력의 재교육 효과	149
<표 3-50> SW 핵심인력에게 가장 필요한 재교육 및 훈련 내용	150
<표 3-51> SW산업 핵심인력 재교육 및 훈련 추진 과정에서 애로사항 - 1순위	151
<표 3-52> SW산업 핵심인력 교육훈련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개선 필요성 - 1순위	152
<표 3-53> SW 핵심인력 능력향상 지원 방법 중 주로 활용하고 있는 방법	154
<표 3-54> 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 예비인력의 기초역량 우수성	155
<표 3-55> 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 예비인력의 실무능력 우수성	155
<표 3-56> 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 예비인력의 기본소양 우수성	156
<표 3-57> 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 전반적 만족도	156
<표 5-1> 산업기능요원제도 폐지논란 연혁	208
[그림 1-1] 창조적 생태계의 선순환적 구조	5
[그림 1-2] OECD 국가 창조경제역량 중 인적자본 비교	6
[그림 2-1] 광고산업의 구조	31
[그림 2-2] 광고산업을 둘러싼 경제적 효과 모형 	36
[그림 2-3] 광고제작 인력 양성의 필요성	44
[그림 2-4] 광고산업 종사자의 변화 추이	46
[그림 2-5] 광고산업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추세	47
[그림 2-6] 우리나라 광고회사의 인력구조 변화와 개선방안	54
[그림 2-7] 광고산업의 핵심인력 양성 과정	55
[그림 2-8] 광고인 대상의 디지털 광고제작 재교육 방안	66
[그림 2-9] 주요 산업별 부가가치유발계수 추이	70
[그림 2-10] 산업별 취업유발계수 추이	71
[그림 2-11] SW산업 인력 현황	81
[그림 2-12] SW 사업체 규모별 미충원 인원 및 미충원율(2012년 하반기)	83
[그림 2-13] 나이텍 교육센터 코스맵	95
[그림 4-1] 거시적 관점에서 이행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166
[그림 4-2] 노동시장과 고등교육 간 연계: 구조, 신호, 대응	16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창조경제 핵심인력 육성정책 연구 - SW산업과 광고산업을 중심으로 - 2014.04.11~201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