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을 통한 지방대학 특성화 전략 연구
Study on Specialization stragegy of Local Universities through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저자
- 주휘정 김안국 정지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4-0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4.10.31
- 등록일
- 2015.03.17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7 제3절 연구의 추진 방법 9 제2장 이론적 배경_13 제1절 대학 특성화의 개념 및 전략 유형 15 제2절 대학 특성화 유형별 산학협력 36 제3절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 특성화 관련 선행연구 45 제4절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 특성화 정책 현황 54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65 제3장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 특성화 현황 분석_70 제1절 지표의 개발 및 분석방법 71 제2절 대학 특성화와 산학협력의 상관관계 95 제3절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 특성화 전략군의 도출 103 제4절 전략군과 대학 재정지원 사업 선정과의 관계 107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111 제4장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 특성화 해외사례 분석_115 제1절 스웨덴 지역 대학의 산학협력 118 제2절 캐나다 워터루대학의 Co-op 프로그램 127 제3절 일본 대학의 산학협력 136 제4절 영국 서섹스대학의 특성화 145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152 제5장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 특성화 국내사례 분석_159 제1절 교내 연구인턴 참여형 162 제2절 지역산업 맞춤형 169 제3절 글로벌 네트워크형 175 제4절 캠퍼스 내 실습형 181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187 제6장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 특성화 전략 및 제언_191 제1절 전략 193 제2절 제언 208 참고문헌_213 SUMMARY_223 부 록_227
본 연구는 우리나라 4년제 일반 대학의 산학협력과 대학 특성화 수준을 대학알리미와 대학특성화알리미 기초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의 전반적인 산학협력과 대학 특성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지표를 개발한 후 지역별, 대학규모별 그 수준은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두 지표를 활용하여 상관 산포도(scatter plot)를 그려 대학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그 후 통계적 분석방법에 따라 군집씨앗(cluster seed)을 설정하고, 대학을 동질적 거리에 따라 분류하여 대학군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군(group)별로 대학재정지원사업 선정과의 비교를 통해 정책 적합성을 진단하였다. 또한, 질적 측면에서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 특성화를 추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아이디어와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국내외 대학의 우수 사례를 분석·제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산학협력을 통해 대학 특성화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 전략을 모색하고 정부와 대학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level of specialization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of local universities in Korea, then suggest specialization strategies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lthough government provides ways to measure the specialization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level of universities, the indicators existing are limited to certain programs and are not adequate to measure all the universities case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indicators to measure the specialization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level of universities. To develop the indicators, we asked experts to weigh the importance of indicators through AHP survey methods. Finally we developed nine indicators for specialization level of universities, and twelve indicators fo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level of universities. With the indicators developed, we collected 202 college data from the information service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website and the information service of speci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website. ...
<표 2-1> 선행연구 분야별 특화/특성화 개념 정리 19 <표 2-2> Rowley & Sherman(2001)의 대학유형 구분 30 <표 2-3> 우리나라 대학유형 분류기준 33 <표 2-4> 기능과 분야집중정도에 따른 대학유형 분류 35 <표 2-5> 산학협력의 형태와 내용 41 <표 2-6> LINC 사업의 대학유형별 산학협력 활동 구분 44 <표 2-7> 대학 특성화 및 산학협력 관련 선행연구 50 <표 2-8> 권역별 사업유형별 지원현황 62 <표 2-9> LINC 사업 선정결과 63 <표 2-10> 역대 정부의 대학지원정책 64 <표 3-1>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의 대학 특성화 지표(안) 73 <표 3-2> 2014년 교육부 CK사업 선정평가 세부지표[대학 자율 기준] 75 <표 3-3> 온타리오 주의 고등교육 차별화 프레임워크(ODPF) 79 <표 3-4> LINC 사업 13개 핵심성과지표 현황 82 <표 3-5> 2014년 교육부 LINC 사업 신규선정·단계평가 지표 82 <표 3-6> 대학 특성화 지표의 일관성 비율 임계치 88 <표 3-7> 대학 특성화 지표에 대한 신뢰성 측정 88 <표 3-8> 대학 특성화 지표의 중요도와 우선순위 89 <표 3-9> 산학협력 지표의 일관성 비율 임계치 90 <표 3-10> 사례수와 일관성 비율 90 <표 3-11> 대학 산학협력 지표 항목별 중요도와 우선순위 91 <표 3-12> 대학 특성화 지표의 산출 방법 92 <표 3-13> 산학협력 지표의 산출 방법 93 <표 3-14> 기술통계량 94 <표 3-15> 지방/수도권 대학 간 차이 96 <표 3-16> 대학규모 간 차이 98 <표 3-17> 대학 특성화와 산학협력 상관분석 100 <표 3-18> 군집 중심 104 <표 3-19> 군집 중심간 거리 104 <표 3-20> 전략군별 지방/수도권대 현황 105 <표 3-21> 지방대 * CK_LINC * 전략군 교차표 108 <표 3-22> 전략군 간 정부 재정지원액 차이 110 <표 3-23> 전략군 활성도와 재정지원과의 상관관계 111 <표 6-1> 전략 유형별 방안 207 [그림 1-1] 연구추진 흐름도 11 [그림 2-1] 대학의 전략적 포지셔닝 모형(Rowley & Sherman, 2001) 26 [그림 2-2] 수준별 대학에서의 전략 설정 27 [그림 2-3] 카네기재단의 4년제 대학유형 분류와 개수 29 [그림 2-4] 미국의 대학과 우리나라 대학유형의 비교(미국/우리나라) 32 [그림 2-5] 우리나라 산학연 협력 정책의 시대적 변화 흐름 38 [그림 2-6] 산학 협력 매커니즘 40 [그림 2-7] 기업내부 혁신 역량별 산학협력 연계 고리 42 [그림 2-8] 산학협력 인력양성의 유형과 인력수급양성 정책 43 [그림 3-1] 2006년 교육인적자원부의 대학 특성화 지표(안)의 개념도 72 [그림 3-2] 2014년 교육부 CK 사업 선정평가 기본 구조(안) 74 [그림 3-3] 대학 특성화 지표의 구성 85 [그림 3-4] 산학협력 지표의 구성 86 [그림 3-5] 대학 특성화와 산학협력 간 상관 산포도 101 [그림 3-6] 대학 특성화와 산학협력 간 상관 산포도(지방) 101 [그림 3-7] 대학 특성화와 산학협력 간 상관 산포도(수도권) 102 [그림 3-8] 대학 특성화·산학협력·규모 3차원 산포도 102 [그림 3-9] 전략군별 지방대학 분포 106 [그림 5-1] C3ube 교육시스템의 6대 요소 166 [그림 5-2] 2트랙 교육과정 및 기업체 맞춤형 교육과정(EOD) 173 [그림 5-3] ㄷ사업단 산학협력 연계 180 [그림 5-4] 엔지니어링 클리닉 운영개념 18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산학협력을 통한 지방대학 특성화 전략 연구 | 2014.01.01~2014.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