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 개발관리 체계화 방안

The Study to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Learning Modules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저자
김덕기 김성남 김지영 장수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3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0.27
등록일
2015.04.22
요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5
제2절 연구의 내용	5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6
  1. 연구 방법	6
  2. 연구 절차	9
  3. 연구의 범위와 한계	10
제2장 학습모듈 개요 및 개발 추진 현황_11
제1절 학습모듈 개요	13
  1. 학습모듈의 개념	15
  2. NCS 능력단위와 학습모듈의 역할	18
제2절 학습모듈 개발‧관리 현황	20
  1. 학습모듈 개발‧관리 체계	20
  2. 학습모듈 구성 및 내용	24
  3. 학습모듈 개발 현황 및 계획	26
  4. 학습모듈 활용 계획 및 방법	30
  5. 시사점	33
제3장NCS 기반 학습교재 개발 운영 사례_39
제1절 국내 사례	41
  1. 특성화고등학교 개발 운영 사례	42
  2. 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 개발 운영 사례	48
  3. 부천대학교 전자과 개발 운영 사례	57
  4. 시사점	64
제2절 해외 사례	66
  1. 스페인	67
  2. 호주	71
  3. 영국	81
  4. 시사점	86
제4장 학습모듈 개발‧관리 요구분석_89
제1절 조사 개요	91
  1. 조사 목적 및 대상	91
  2. 조사 방법 및 내용	91
  3. 조사 대상의 특성	92
제2절 요구조사 분석 결과	94
  1. 학습모듈에 대한 이해	94
  2. 학습모듈 개발 단위와 구성 체계	103
  3. 학습모듈 개발 및 수정 보완	107
제3절 시사점	116
  1. 학습모듈의 활용 가능성	116
  2. 학습모듈 개발 및 수정 보완	117
제5장 학습모듈 개발‧관리 방향 및 정책 제언_119
제1절 주요 논의 사항	121
  1. 학습모듈 활용에 대한 논의	123
  2. 학습모듈 개발 및 수정 보완의 범위에 대한 논의	126
  3. 학습모듈 개발 및 수정 보완에서 정부의 역할에 대한 논의	128
  4. NCS와 학습모듈 개발 및 수정 보완 체계에 대한 논의	133
제2절 기본 방향	136
제3절 정책 제언	140
SUMMARY_145
참고문헌_149
부  록_153
1. 설문 조사지	155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도 학습모듈 개발 사례, 「자격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학습모듈의 성격과 개발· 관리에 관한 내용,  향후 교육훈련기관에서 학습교재로 학습모듈을 활용할 가능성 등을 검토하여 학습모듈 개발· 관리를 체계화하기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The government is developing ‘Learning Modules’ to use it as learning materials of va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But since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odules have not been implemented after a long-term researches and discussions, there is difference in the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and utility of the learning modules depending on governmen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and research institutes. Besides, legal and systematic foundation is at the insufficient level to develop and manage the learning modules. 
  The goals of the research are to review utilization of the learning modules as learning material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and also to suggest basic direction to systematiz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learning modules. ...
<표 2-1> 자격기본법에 의한 학습모듈의 개발 근거 및 역할	16
<표 2-2> 교과용도서의 분류별 정의	17
<표 2-3> NCS와 학습모듈 개발‧관리 체계 비교	21
<표 2-4> 2013년도 학습모듈 개발 현황	27
<표 2-5> NCS와 학습모듈 개발 계획(2014~2015)	28
<표 2-6> 능력단위별 학습모듈 개발진 구성(안)	29
<표 2-7> 2013년도 학습모듈 개발진 현황	30
<표 2-8> 학습모듈 개발 시 고려 사항	34
<표 2-9> 2013년 개발 NCS의 소분류 능력단위 수준 분포	36
<표 3-1>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협의체 구성	44
<표 3-2> 광주공업고 정밀기계과의 최종 교육과정 수립	46
<표 3-3> 광주공업고의 교재개발 관련 추진계획	47
<표 3-4> Gap Analysis 결과를 토대로 한 교과목 진단	50
<표 3-5> 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 개설 교과목 현황	51
<표 3-6> 신구대학교 환경조경과의 교과목 유형별 구성 비율	52
<표 3-7> NCS 교육과정 시범운영을 통한 교재개발 현황	53
<표 3-8> 개발된 교재의 한 개 주차 내용 구성 양식	56
<표 3-9>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참여 주체별 역할	58
<표 3-10> 반도체 장비 관련 교과목 및 해당 모듈	61
<표 3-11> 전공과목 중 NCS 반영 교과목 구성 비율	62
<표 3-12> 교재개발 주체별 역할	63
<표 3-13> 능력단위와 학습모듈의 구조 비교	70
<표 3-14> 호주 훈련패키지 개발 신‧구 기준 비교	73
<표 3-15> 학습 자료 종류 및 주요 내용	76
<표 3-16> 훈련패키지 학습 자료와 NCS 학습모듈 비교	79
<표 3-17> 호주 훈련패키지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승인	80
<표 3-18> NOS와 능력단위(unit)의 구성 비교	83
<표 3-19> 학습 결과와 평가기준의 내용 비교	84
<표 3-20> 외국의 NCS와 학습교재 개발 사례 비교	87
<표 4-1> 설문조사 내용	92
<표 4-2> 응답자 특성	93
<표 4-3> 학습모듈이 수행해야 할 역할 	95
<표 4-4> 학습모듈의 가장 적합한 활용 주체  	96
<표 4-5> 학습모듈의 가장 적합한 활용 기관  	97
<표 4-6> 직업교육훈련 현장에서 학습교재로 활용될 가능성  	98
<표 4-7> 학습교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	99
<표 4-8> 학습교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낮은 이유	101
<표 4-9> 학습교재로 가장 많이 활용될 형태	102
<표 4-10> 학습모듈의 신규 개발 수요가 발생할 경우 개발 여부	107
<표 4-11> 향후 학습모듈의 수정 보완을 담당할 주체 	109
<표 4-12> 학습모듈 수정 보완 주체와 학습모듈의 활용 가능성	109
<표 4-13> 정부가 학습모듈을 수정 보완해야 하는 이유	110
<표 4-14> 학습모듈 수정 보완 시 정부와 민간의 역할 구분 이유	111
<표 4-15> 민간 자율에 맡길 경우 이에 대한 인증의 필요성	113
<표 4-16> 수정·보완을 민간 자율에 맡길 때 인증의 대상	114
<표 4-17> 별도의 교재로 개발하여 발간할 의향	115
<표 5-1> 학습모듈의 활용 유형	124
<표 5-2> 학습모듈 개발 및 수정 보완 NCS 분야	128
<표 5-3> 학습모듈과 교과서 발행 제도 비교 	130
<표 5-4> 학습모듈 개발 및 수정 보완 주체별 특징	131
<표 5-5> 학습모듈 개발 및 수정 보완 주체별 역할	133
<표 5-6> 학습모듈 개발 및 수정 보완의 기본 방향	140
[그림 1-1] 연구 절차 	9
[그림 1-2] 학습모듈 개발 ‧ 관리 범위	11
[그림 2-1] 자격기본법에 의한 학습모듈의 활용 유형	18
[그림 2-2] 능력단위와 학습모듈의 역할 관계	20
[그림 2-3] NCS와 학습모듈 개발 관계	22
[그림 2-4] 2013년 학습모듈 개발 체계	23
[그림 2-5] 학습모듈 개발 절차	24
[그림 2-6] NCS와 학습모듈의 연결 체제	26
[그림 2-7] 학습모듈의 전공교과 개발 유형	32
[그림 2-8] 학습모듈의 교육훈련과정 편성 활용	33
[그림 3-1]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추진 단계	43
[그림 3-2] NCS 능력단위(요소) 선정 양식	45
[그림 3-3] 교과목 도출 양식	45
[그림 3-4] 교재개발 절차	54
[그림 3-5] NCS 기반 조경 분야 전문대학 교육과정 구성 포맷	55
[그림 3-6]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추진 전략	59
[그림 3-7] 교재개발 절차	63
[그림 3-8] 스페인 자격(Qualification)의 구조도	67
[그림 3-9] 능력단위(competence unit) 구조	68
[그림 3-10] 스페인 학습모듈의 구조	69
[그림 3-11] 신규 훈련패키지 개발 기준 이행 일정	74
[그림 3-12] 학습 자료 공증 체크 표시(Tick Logo)	77
[그림 3-13] 영국 자격 및 학점체계(QCF) 예시	82
[그림 3-14] 영국의 NVQ 구조 사례	85
[그림 3-15] 영국의 NOS와 자격개발 절차 	86
[그림 4-1] 학습교재 이외 학습모듈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영역	103
[그림 4-2] 학습교재로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적합한 학습모듈 개발 단위	104
[그림 4-3] 학습모듈을 학습교재로 활용할 경우의 구성 체계	105
[그림 4-4] 학습모듈에서 가장 시급히 개선 및 보완해야 할 부분	106
[그림 4-5] 학습모듈의 수정 보완을 위탁하기에 적절한 기관	112
[그림 5-1] 현 학습모듈 개발 및 수정 보완 체계	134
[그림 5-2] 학습모듈 개발 및 수정 보완 체계 개선(안) 	13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 개발 관리 체계화 방안 2014.04.28~2014.10.27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