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2014)

Work Values and Work Ethics of Korean(2014)
저자
정윤경 박천수 윤수린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2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0.31
등록일
2015.04.22
요  약_ⅷ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7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조사 개요	9
제2장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_27
제1절 주요 개념과 선행 연구	29
제2절 직업 관련 최근 이슈	49
제3절 국제 직업의식 비교	68
제3장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의 실태와 변화_81
제1절 일 중요성	83
제2절 직업가치관	100
제3절 전문직업성과 직업위세	105
제4절 직업윤리	121
제5절 일 적합성 및 이직 의도	139
제6절 소결	162
제4장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관련 최근 이슈 분석_165
제1절 일과 행복	167
제2절 소명의식	177
제3절 신입사원 직장 적응	183
제4절 공정성과 차별	192
제5절 능력중심 사회	200
제6절 워크스마트	205
제5장 요약 및 정책제언_211
제1절 요약	213
제2절 정책제언	229
제3절 향후 연구제언	240
SUMMARY_241
참고문헌_251
부  록_263
1.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조사지(취업자용)
2.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조사지(미취업자용)
3. 타 기관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조사 결과
  본 연구의 목적은 2014년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실태 및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국가 인적자원 개발과 진로교육 분야와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책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실태와 2006년, 2010년 및 2014년 간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의 변화를 파악하는 데 있다. 
  둘째, 청년층, 중장년층 및 노년층 등 세대 및 집단 간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의 차이를 파악하는 데 있다. 
  셋째, 최근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관련 이슈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파악하는 데 있다.
  넷째,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실태를 통해 국가 인적자원 개발과 진로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책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Every 4 years since 1998,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KRIVET) has been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the people in Korea on Korean’s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e research of 2014 is the 5th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Koreans of 2014, and the reality of the work ethics and the aspects of transition through the time series analysis of 2006 and 2010. 
  Also, with the socio-economic change, the newest issu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occupational world and the aspects of the labor market, such as job and happiness, vocation, maladjustment of the new employees, the recognition on unfairness, the competency centered society, and on the Work Smart, have been investigated. 
  By applying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s Sampling method, the household survey was conducted of 1,500 people and the age range was 16-64. 
  Based on the World Values Survey (WVS: 2010??2014),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5 different countries that include Korea, U.S.A., Germany, Japan, and China,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importance of work in life was the highest (extremely important + very important)in Korea (90.6%) and then Japan came in the 2nd place (84.2%), U.S.A., Germany, and China was 79.9%, 79.9%, 79.6% respectively. In general, people in Korea and Japan consider that work is important in life more than the people in the US, Germany, and China. ...
<표 1-1> 전문가 협의회 개최 현황	 10
<표 1-2> 2014년도 설문조사의 영역, 내용 및 문항 수	 13
<표 1-3> 모집단 추정 및 표본 설계 절차	 14
<표 1-4> 모집단 특성(2013년 12월 기준)	 15
<표 1-5> 경제활동인구 자료의 취업자 비율	 16
<표 1-6> 경제활동인구비율을 반영한 모집단 추정-취업자	 17
<표 1-7> 경제활동인구비율을 반영한 모집단 추정-미취업자	 18
<표 1-8> 취업자 표본 비례 배분 할당표	 19
<표 1-9> 미취업자 표본 비례 배분 할당표	 20
<표 1-10> 표본 비례 배분 할당표(취업자, 미취업자)	 21
<표 1-11> 학력 분포	 22
<표 1-12> 본조사 결과(취업자)	 25
<표 1-13> 본조사 결과(미취업자)	 26
<표 2-1> 1-5차 직업의식 조사	 44
<표 2-2> 2014년 설문조사의 내용과 이전 조사와의 관계	 47
<표 2-3> 20대, 40대 및 70대의 사회적 지위 국제 비교	 69
<표 2-4> 삶에서 가족의 중요도 국제 비교	 70
<표 2-5> 삶에서 일의 중요도 국제 비교	 71
<표 2-6> 삶에서 친구의 중요도 국제 비교	 71
<표 2-7> 삶에서 여가시간의 중요도 국제 비교	 72
<표 2-8> 삶에서 종교의 중요도 국제 비교	 73
<표 2-9> 삶에서 정치의 중요도 국제 비교	 73
<표 2-10> 삶의 만족도 국제 비교	 74
<표 2-11> 가정의 경제 상황에 대한 만족도 국제 비교	 75
<표 2-12> 행복 정도 국제 비교	 75
<표 2-13>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생각 빈도 국제 비교	 76
<표 2-14> ‘일자리 부족 시 남성이 여성보다 우선권을 가져야 한다’에 대한 찬반 인식 국제 비교	 77
<표 2-15> ‘일자리 부족 시 자국인이 이민자보다 우선권을 가져야 한다’에대한 찬반 인식 국제 비교	 77
<표 2-16> 실업에 대한 우려 국제 비교	 78
<표 2-17> ‘미래에는 삶에서 일의 중요성이 점차 감소할 것이다’에 대한인식 국제 비교	 78
<표 3-1> 2006-2014년 일 중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	 85
<표 3-2> 일 중요성에 대한 규범적 인식, 집단별 평균값	 86
<표 3-3> 일 중요성에 대한 규범적 인식, 집단별 평균값	 87
<표 3-4>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일의 가치에 대한 동의 정도	 88
<표 3-5> 2006-2014년 삶의 영역별 중요도 변화	 91
<표 3-6> 집단별 삶의 영역별 중요도	 95
<표 3-7> 고용형태에 따른 삶의 영역별 중요도	 96
<표 3-8> 일 중요성 인식 유형에 대한 집단별 분석	 99
<표 3-9> 2006-2014년 직업선택 요인 변화	 101
<표 3-10> 집단별 직업생활에서 중요한 사항	 104
<표 3-11> 전문직업성 인식 정도	 106
<표 3-12> 2006-2014년 전문직업성 인식 변화	 107
<표 3-13> 전문성 유형별 중시하는 직업가치(취업자)	 111
<표 3-14> 직업생활에서 중요한 사항의 유형 간 분산분석(2014년)	 113
<표 3-15> 집단별 전문직업성 유형 분포(취업자)	 114
<표 3-16> 집단별 전문직업성 평가	 116
<표 3-17> 2006-2014년 직업위세 차이	 118
<표 3-18> 2006-2014년 전반적인 윤리 수준 차이	 121
<표 3-19> 2006-2014년 직업윤리 차이	 123
<표 3-20> 2014년 조사에 추가된 직업의 직업윤리 수준에 대한 평가	 124
<표 3-21> 2006-2014년 직업윤리 수준의 평균	 125
<표 3-22> 한국인의 일반적인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 집단별 비교	 126
<표 3-23> 2006-2014년 업무시간 준수 차이	 127
<표 3-24> 직장에서 업무 외의 사적 활동 소비 시간	 128
<표 3-25> 업무 관련 선물 수수 여부	 129
<표 3-26> 직무 관련 선물 수수 인식 	 130
<표 3-27> 직무 관련 선물 허용 한도	 131
<표 3-28> 2006-2014년 조직적 부정 대응 양태 변화	 132
<표 3-29> 조직적 부정에 대한 대응 양태	 133
<표 3-30> 2010-2014년 지식 기술 유출 동의도 차이	 134
<표 3-31> 자신이 개발한 지식 및 기술을 이직 시 가져가도 된다에 대한 동의도	 135
<표 3-32> 일반 국민 및 고용주의 윤리에 대한 인식	 137
<표 3-33> 고용주 및 사용자의 직업윤리에 대한 인식 집단별 비교	 138
<표 3-34> 2006-2014년 일 적합도 차이	 140
<표 3-35> 능력, 적성, 흥미와 직무 적합성	 140
<표 3-36> 전반적인 직무 적합성	 141
<표 3-37> 2010-2014년 일의 수준이 능력보다 낮을 때 행동 양태 변화	 143
<표 3-38> 일의 수준이 능력보다 낮을 때 행동 양태	 144
<표 3-39> 2006-2014년 이직 의도 변화	 146
<표 3-40> 2010-2014년 세계가치관조사의 직업의식 관련 문항 결과	 147
<표 3-41> 3년 이내 직장이나 직업 전환 의향 차이	 148
<표 3-42>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점 - 3년 이내 직장이나 직업 전환 의향 차이	 150
<표 3-43> 현재 경제 상태 - 3년 이내 직장이나 직업 전환 의향 차이	 151
<표 3-44> 2006-2014년 이직 준비 활동 양태 차이	 152
<표 3-45> 이직 준비 활동 양태	 153
<표 3-46> 2006-2014년 성과중심 인식 차이	 154
<표 3-47> 능력에 따른 임금 차등화 인식 차이	 156
<표 3-48> 2006-2014년 임금피크제 인식 차이	 157
<표 3-49> 임금피크제에 따른 정년 연장 인식 차이	 158
<표 3-50> 2010-2014년 부모의 자녀 경제적 지원 기간 인식의 변화	 159
<표 3-51> 부모의 자녀 경제적 지원 기간 의향 차이	 160
<표 4-1> 2006-2014년 전반적 삶 만족도 변화	 167
<표 4-2> 2006-2014년 전반적 일 만족도 차이	 168
<표 4-3> 전반적인 삶 만족도	 170
<표 4-4> 하는 일에 대한 만족도	 172
<표 4-5> 행복한 정도	 174
<표 4-6> 직장생활의 우울 및 불안 정도	 176
<표 4-7> 직무 몰입에 대한 의견	 178
<표 4-8> 직업을 생계수단과 가치실현으로 보는 시각	 182
<표 4-9> 청년층 업무 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	 184
<표 4-10> 신입사원 조기퇴사에 대한 책임	 186
<표 4-11> 조직에 융화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생각	 188
<표 4-12> 청년층 창업에 대한 인식 차이	 190
<표 4-13> 자신과 주변의 공정한 일처리 경향	 192
<표 4-14> 공정한 일처리에 대한 인식	 193
<표 4-15> 불공정 거래에 대한 인식 차이	 194
<표 4-16> 부당한 차별(학력, 여성, 비정규직)에 대한 인식 차이	 196
<표 4-17> 중소기업과 대기업 지원 비중 차이	 198
<표 4-18> 우리 사회의 능력중심 사회 이행에 대한 인식 차이	 202
<표 4-19> 성과 집중형 업무환경의 중요도 차이	 205
<표 4-20> 근무 형태에 따른 성과 집중형 업무환경의 중요도 차이	 206
<표 4-21> 소속 회사의 성과 집중형 업무환경 상황 차이	 208
<표 4-22> 근무 형태에 따른 소속 회사의 성과 집중형 업무환경 상황 차이	 209
[그림 1-1] 연구 내용에 따른 연구 방법	 11
[그림 3-1] “미래에는 삶에서 일의 중요성이 점차 감소할 것이다”에 대한인식 국제 비교	 89
[그림 3-2] 삶의 영역별 중요도 국제 비교	 92
[그림 3-3] 삶에서의 일의 비중과 일 중요성에 대한 규범적 태도에 따른분포(2014)	 98
[그림 3-4] 2006-2014년 직업선택 요인 변화	 102
[그림 3-5]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전문직업성 유형 분포(2014년)	 109
[그림 3-6] 전문직업성 유형별 전반적인 삶 및 일 만족도(2014년)	 110
[그림 3-7] 전문직업성 유형별 중시하는 직업 가치(2014년)	 112
[그림 3-8] 직업위세 평균과 변화 분포	 120
[그림 3-9] 2006-2014년 일 적합도 변화	 139
[그림 3-10] 2010-2014년 일의 수준이 능력보다 낮을 때 행동 양태 변화	 143
[그림 3-11] 2006-2014년 이직 의도 변화	 146
[그림 3-12] 2006-2014년 능력에 따른 임금 차등화 및 임금피크제 인식 차이	 155
[그림 3-13] 2010-2014년 부모의 자녀 경제적 지원 기간 인식의 변화	 159
[그림 4-1] 세계가치관조사: 행복 정도 국제 비교	 175
[그림 4-2] 소명지표와 전반적인 삶 만족도	 179
[그림 4-3] 소명지표와 일에 대한 만족도	 180
[그림 4-4] 소명지표와 행복도 	 181
[그림 4-5] 우리 사회의 능력중심 사회 이행에 대한 인식 분포	 20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2014) 2014.01.01~2014.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