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진로탐색 중심의 자유학기제 성공요인 및 지원 방안

Success Factors and Supporting Strategies for the Free Semester System Focusing on Career Exploration
저자
장현진 이지연 윤수린 이윤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2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0.31
등록일
2015.04.23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용어 정의	7
제3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0
제4절 연구의 제한	22
제2장 자유학기제 관련 정책 및 선행연구_23
제1절 자유학기제 및 연관 정책	25
제2절 국내 자유학기제 및 진로탐색 증진 관련 선행연구	38
제3절 해외 자유학기제 관련 사례와 선행연구	49
제4절 시사점	64
제3장 자유학기제 운영 현황 및 참여 추이_69
제1절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 현황	71
제2절 자유학기제 도입 추진 계획 및 참여 추이	102
제3절 시사점	103
제4장 자유학기제 성공 및 장애 요인_109
제1절 교육과정 편성․운영	112
제2절 수업(교수․학습) 운영	119
제3절 평가 및 환류	128
제4절 인적자원	133
제5절 체험 인프라 확충	142
제6절 지원 체제 및 환경	152
제7절 시사점	158
제5장 자유학기제 활성화 방안: 델파이 조사 기반_167
제1절 기본 방향과 추진 영역	170
제2절 진로탐색 교육과정 편성․운영 강화 방안	175
제3절 진로탐색 수업(교수․학습) 활성화 방안	193
제4절 진로탐색 활동 평가 및 환류 방안	207
제5절 인적자원 역량 및 인식 제고 방안	218
제6절 진로체험 인프라 확충 방안	234
제7절 지원 체제 및 환경 구축 방안	253
제6장 제언_267
제1절 정책 제언	269
제2절 후속 연구․사업 제언	276
SUMMARY_277
참고문헌_285
부    록_295
1. 심층 그룹 인터뷰(FGI) 질문지	297
2. 전문가 델파이(Delphi) 질문지	30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꿈과 끼를 키우는 진로탐색 증진 관점에서 자유학기제의 성공 및 장애 요인을 탐색하고, 진로탐색 중심의 자유학기제 활성화 및 지원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탐색 중심의 자유학기제 운영 현황을 분석한다. 
  둘째, 진로탐색 중심의 자유학기제 성공 및 장애 요인을 탐색한다. 
  셋째, 진로탐색 중심의 자유학기제 활성화 및 지원 방안을 도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uccess factors of and obstacles to the free semester system in terms of the promotion of career exploration, which encourages students to explore their talents and aptitude, and to come up with supporting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To this end, the specific goals were to: first, analyze the operating status of free semester system focusing on career exploration; second, explore success factors of and obstacles to the free semester system on career exploration; and third, promote and come up with supporting strategies for introducing the free semester system. ...
 
<표 1-1> 연구학교 보고서 내용 분석표	13
<표 1-2> 심층 그룹 인터뷰(FGI) 포커스 그룹 구성 및 기준	15
<표 1-3> 심층 그룹 인터뷰(FGI) 회차별 일정 및 대상	16
<표 1-4> 델파이 패널 구성	19
<표 2-1> 자유학기제 정책 추진 과정 및 특징	27
<표 2-2> 해외 자유학기제 유사 사례의 비교	49
<표 2-3> 해외 자유학기제 유사 사례의 진로탐색 측면에서 우수점	53
<표 2-4> 전환학년제(transition year) 중단 사유	61
<표 2-5> 전환학년제(transition year) 미도입 사유	62
<표 3-1> 2013년 2학기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현황 요약	72
<표 3-2> 자유학기제 참여 연구학교 현황	74
<표 3-3> 진로탐색 수업 및 활동 차시	77
<표 3-4> 진로교과 연계 관련 대전 한밭여자중학교 사례	82
<표 3-5> 교과목 코티칭 수업 구성 관련 울산 연암중학교 사례	83
<표 3-6> 교과별 평가 방법 및 척도 관련 대구 천내중학교 사례	85
<표 3-7> 국어 교과 단원별 성취수준 관련 광주 서석중학교 사례	86
<표 3-8> 평가 및 환류 체제 구축 관련 대구 동변중학교 사례	89
<표 3-9> 교사 역량 강화 연수 관련 부산 백양중학교 사례	91
<표 3-10> 직업체험장 대상별 발굴 활동 사례	98
<표 3-11> 2013년 2학기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 현황 종합	104
<표 4-1> 진로탐색 중심 자유학기제의 성공을 위한 각 영역별 시사점	158
<표 5-1> 교육과정 영역의 활성화 방안 평정결과(중요도와 시급도)	176
<표 5-2>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권 증대 방안	190
<표 5-3> 자유학기제 운영 학기의 일원화에 대한 의견	192
<표 5-4> 수업 영역의 활성화 방안 평정결과(중요도와 시급도)	194
<표 5-5> 평가 및 환류 영역의 활성화 방안 평정결과(중요도와 시급도)	208
<표 5-6> 자유학기의 학생 진로탐색 활동에 대한 나이스 작성 주체	211
<표 5-7> 인적자원 영역의 활성화 방안 평정결과(중요도와 시급도)	219
<표 5-8> 예비교원 진로지도 역량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 과정 반영 방법	233
<표 5-9> 체험 인프라 영역의 활성화 방안 평정결과(중요도와 시급도)	235
<표 5-10> 서울시 교육청 관내의 기초지자체 단위 진로체험지원센터 현황	241
<표 5-11> 지원체제 및 환경 영역의 활성화 방안 평정결과(중요도와 시급도)	254
<표 5-12> 자유학기제와 진로교육 지원 조직(인력) 간 통합에 대한 의견	257
<표 6-1> 진로탐색 중심 자유학기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 국가단위	270
<표 6-2> 진로탐색 중심 자유학기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 지역단위	273
<표 6-3> 진로탐색 중심 자유학기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 학교단위	275
[그림 1-1] 연구 추진 절차, 내용 및 방법	10
[그림 1-2]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 절차	12
[그림 1-3] 심층 그룹 인터뷰(FGI) 추진 절차 및 내용	14
[그림 1-4] 델파이 추진 절차 및 내용	18
[그림 1-5] 델파이 질문 영역의 구성 체계도	20
[그림 2-1] 자유학기제 운영 모형 및 방안	31
[그림 2-2]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3단계별 발전 양상	58
[그림 3-1] 자유학기제 참여 학교 및 예상 추이	102
[그림 4-1] 교육과정 편성․운영 영역의 성공 및 장애 요인	112
[그림 4-2] 수업(교수․학습) 운영 영역의 성공 및 장애 요인	119
[그림 4-3] 평가 및 환류 영역의 성공 및 장애 요인	128
[그림 4-4] 인적자원 역량 및 인식 영역의 성공 및 장애 요인	133
[그림 4-5] 체험 인프라 확충 영역의 성공 및 장애 요인	142
[그림 4-6] 지원 체제 및 환경 영역의 성공 및 장애 요인	153
[그림 5-1] 진로탐색 중심의 자유학기제 활성화 기본 방향 및 추진 영역	171
[그림 5-2] 교육과정 영역 중요도와 시급도 교차 비교	178
[그림 5-3] 학교급별 및 자유학기의 진로탐색 로드맵 예시	180
[그림 5-4] (가칭)진로체험 집중 주간 및 블록타임 진로탐색 활동 모식도	182
[그림 5-5] 학생 중심의 진로탐색 활동 교육과정 운영 모식도	185
[그림 5-6] 수업 영역 중요도와 시급도 교차 비교	196
[그림 5-7] 이용자 편의를 위한 홈페이지 제시 방식(예시)	203
[그림 5-8] 교과통합 진로교육 원격연수 과정 화면(예시)	206
[그림 5-9] 평가 및 환류 영역 중요도와 시급도 교차 비교	209
[그림 5-10] 에듀팟 포트폴리오 학생 서비스 사이트	214
[그림 5-11] 지역단위 자유학기제 운영 성과평가 및 환류 시스템	217
[그림 5-12] 인적자원 영역 중요도와 시급도 교차 비교	221
[그림 5-13] 체험 인프라 영역 중요도와 시급도 교차 비교	236
[그림 5-14] 체험 인프라 관련 중앙-지역-학교의 역할 및 MOU 범위	238
[그림 5-15] 지원 체제 및 환경 영역 중요도와 시급도 교차 비교	25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진로탐색 중심의 자유학기제 성공요인 및 지원 방안 2014.01.01~2014.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