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2014)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in 2014
저자
오호영 유한구 양정승 류지영 손희전 신동준 황승록
분류정보
기본사업(2014-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2.31
등록일
2015.04.29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KEEP
요 약
제1장 사업 개요_1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10차(2013)년도까지의 주요 사업 추진 실적	 7
  1. 연도별 조사 현황 개요	 7
  2. 연도별 조사 결과	 9
  3. 학술대회 개최 및 기초분석보고서 발간	 15
 제3절 11차(2014)년도 주요 사업 내용	 16
  1. 제9회 학술대회 개최	 16
  2. 11차(2014)년도 설문지 개발	 17
  3. 11차(2014)년도 본조사 실시	 17
  4. 9차(2012)년도 자료 공개 및 기초분석보고서 발간	 18
  5. 10차(2013)년도 자료 클리닝 및 학술대회용 자료	 18
  6. 제10회 학술대회 준비	 18
  7. 패널브리프 발간	 19
제2장 9차(2012)년도 자료 공개 및 기초분석보고서_21
 제1절 9차(2012)년도 공개 자료의 내용 및 특성	 23
  1. 9차(2012)년도 공개 자료의 내용	 23
  2. 9차(2012)년도 자료 제공 방식	 24
  3. 9차(2012)년도 자료의 특성	 24
 제2절 9차(2012)년도 가중치	 25
  1. 가중치 개요	 25
  2. 9차(2012)년도 가중치	 27
 제3절 9차(2012)년도 기초분석보고서 발간	 42
  1. 작성 원칙과 방향	 42
  2. 목차와 구성 내용	 42
  3. 주요 내용	 43
제3장 10차(2013)년도 조사 결과 및 구축 자료 보급_71
 제1절 10차(2013)년도 조사 결과	 73 
 제2절 10차(2013)년도 데이터 클리닝 및 학술대회용 자료 공개	 75
  1. 10차(2013)년도 데이터 클리닝	 75
  2. 코드화 및 추가 정보	 76
  3. 제10회 학술대회용 자료 배포	 77 
 제3절 제10회 학술대회	 78
  1. 학술대회 개요	 78
  2. 세션 및 연구주제별 구성	 79
  3. 전문가들의 자료에 대한 의견	 79 
 제4절 추가 구축 자료 제공	 84
  1. 직업력 종단 데이터 구축	 84
  2.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 자료 재구축	 85
제4장 11차(2014)년도 설문지 개발_89
 제1절 설문 개발 및 조사 대상	 91
  1. 설문지 개발 	 91
  2. 조사 대상	 92
 제2절 설문 구성 및 조사 내용	 95
  1. 설문 구성 	 95
  2. 조사 내용	 96
  3. 10차(2013)년도와 11차(2014)년도 설문의 조사 내용 변화	 102
 제3절 설문 문항별 조사 지침	 104
제5장 11차(2014)년도 본조사_129
 제1절 조사 준비	 131
  1. 면접원 선정 	 131
  2. 면접원 교육	 133
  3. 패널 관리 	 135
 제2절 11차년도 본조사 현황	 137
  1. 본조사 진행과정	 137
  2. 조사 진행 상황 점검	 137
  3. 조사 진행 상황(9월 25일 기준)	 139
  4. 조사 관련 특이사항	 147
 제3절 향후 조사 방향	 147
 제4절 조사시스템	 148
  1. 조사방식	 148
  2. 11차년도 조사시스템의 특징	 149
제6장 사업 성과 및 향후 계획_153
 제1절 사업 성과	 155
  1. 연구 활성화에 기여	 155
  2. 학술대회를 통한 기여	 157
  3. 정책 발전에의 활용	 158
  4. 언론 홍보	 159
  5. 데이터의 대외적 공신력 유지	 159
 제2절 향후 계획	 160
  1. 10차(2013)년도 조사 자료의 발간	 160
  2. 11차(2014)년도 조사 자료 클리닝	 160
  3. 12차(2015)년도 조사 계획 수립 	 161
  4. 대학 성적 자료 수집	 161
  5. 종단 클리닝 및 특성 데이터 제공	 162
  6. 영문화 작업	 162
  7. 패널조사위원회 구성 필요	 162
  8. 해외 패널조사 동향 파악 및 협력 방안 모색	 163
  9. 『KEEP 2』생성 논의	 164
참고문헌_171
부록_175
 1. 학술대회 보도자료	 177
 2. 패널브리프	 220
 3. 이슈브리프	 285
 4. KEEP자료 활용 리스트(언론보도, 학술 논문 등)	 293
 5. 11차년도 설문지	 339
  본 연구는 청년층의 교육관련 정보를 충분히 생성하면서 교육과 노동시장 간의 관계를 보다 밀도 있게 분석할 수 있도록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며 대표성을 갖는 패널 자료를 생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표 1-1> 1차(2004)년도 조사 결과	 9
<표 1-2> 2차(2005)년도 조사 결과	 9
<표 1-3> 3차(2006)년도 조사 결과	 10
<표 1-4> 4차(2007)년도 기존 패널조사 성공률	 10
<표 1-5> 4차(2007)년도 신규 패널조사 성공률	 11
<표 1-6> 4차(2007)년도 가구조사 성공률	 11
<표 1-7> 4차(2007)년도 담임, 학교 조사 성공률	 11
<표 1-8> 5차(2008)년도 조사 성공률	 12
<표 1-9> 6차(2009)년도 조사 성공률	 12
<표 1-10> 7차(2010)년도 기존·신규 패널조사 성공률	 13
<표 1-11> 7차(2010)년도 보정 패널조사 성공률	 13
<표 1-12> 8차(2011)년도 기존·신규·보정 패널조사 성공률	 14
<표 1-13> 9차(2012)년도 기존·신규·보정 패널조사 성공률	 14
<표 1-14> 10차(2013)년도 기존·신규·보정 패널조사 성공률	 15
<표 1-15> 사업 추진 일정(2014. 1. ~ 2015. 8.)	 20
<표 2-1> 9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2004년 중학교 3학년 코호트)-기존 패널	 29
<표 2-2> 9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2004년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기존 패널	 30
<표 2-3> 9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2004년 전문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기존 패널	 31
<표 2-4> 9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2007년 전문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신규 패널	 33
<표 2-5> 9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2007년 외국어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신규 패널	 33
<표 2-6> 9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2007년 과학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신규 패널	 34
<표 2-7> 9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2007년 일반계고등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36
<표 2-8> 9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2007년 전문계고등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37
<표 2-9> 9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2007년 외국어고등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37
<표 2-10> 9차년도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2007년 과학고등학생 코호트)-전체(기존+신규) 패널	 37
<표 2-11> 9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2007년 2년제 대학 졸업자 코호트)-보정 패널	 40
<표 2-12> 9차년도 무응답 보정 가중치(2009년 4년제 대학 졸업자 코호트)-보정 패널	 41
<표 3-1> 10차(2013)년도 기존·신규·보정 패널조사 성공률	 74
<표 3-2> KEEP자료(데이터) 사용 관점에서의 전문가 의견	 81
<표 3-3> KEEP 설문 문항 관점에서의 전문가 의견	 82
<표 3-4> KEEP에 바라는 점이나 의견	 83
<표 4-1> 응답자 유형별 해당 조사 범주	 93
<표 4-2> 조사 대상별 설문지 변화	 94
<표 4-3> ‘한국교육고용패널 설문지(2014)’ 조사 내용	 97
<표 4-4> 2014년도 설문 변경 내역(2013년도 설문 기준)	 102
<표 5-1> 11차년도 조사의 지역별 면접원 수와 면접원의  조사 참여 경험	 132
<표 5-2> 본조사 준비사항 	 136
<표 5-3> 표본별 11차년도 KEEP 조사 현황(9월 25일 기준)	 140
<표 5-4> 지역별 상세 수행 현황-기존 패널(전체 표본)	 145
<표 5-5> 지역별 상세 수행 현황-신규 패널(전체 표본)	 146
<표 5-6> 지역별 상세 수행 현황-보정 패널(전체 표본)	 146
<표 6-1> 연도별/유형별 자료활용 건 수	 156
<표 6-2> 연도별 원자료 사용 건 수	 157
<표 6-3> 국내 유사패널 특성	 166
<표 6-4> 해외 유사패널 특성	 168
[그림 1-1] 연도별 조사 대상 및 표본 수 현황	 8
[그림 2-1] 전문대 대학생 학교 계열	 44
[그림 2-2] 4년제 대학생 학교 계열	 45
[그림 2-3] 전문대 대학생 학교시설 및 자원 만족도	 46
[그림 2-4] 4년제 대학생 학교시설 및 자원 만족도	 46
[그림 2-5] 4년제 대학생 복수전공 이수 여부	 47
[그림 2-6] 4년제 대학생 복수전공 이수 이유	 48
[그림 2-7] 수업 외 전공 공부 여부	 49
[그림 2-8] 전공 공부 사교육 경험	 49
[그림 2-9] 전공 공부 사교육 시간(일주일 평균)	 50
[그림 2-10] 전공 공부 사교육 비용(월평균)	 51
[그림 2-11] 혼자 전공 공부하는 시간(일주일 평균)	 52
[그림 2-12] 여럿이 전공 공부하는 시간(일주일 평균)	 52
[그림 2-13] 교내 아르바이트 참여 여부	 53
[그림 2-14] 교내 아르바이트 참여 횟수(평균)	 54
[그림 2-15] 취업 시 가장 중요한 요소(1순위)	 55
[그림 2-16] 지난 1년간 구직활동 경험 여부	 56
[그림 2-17] 지난 1년간 구직 실패 경험 여부	 57
[그림 2-18] 지난 1년간 구직 실패 경험 횟수(평균)	 58
[그림 2-19] 취업 준비 경험의 도움 정도	 59
[그림 2-20] 일자리 경험(현 일자리 제외) 여부(2011. 7. ~ 2012. 6.)	 60
[그림 2-21] 일자리 경험 횟수(2011. 7. ~ 2012. 6.)	 61
[그림 2-22] 첫 번째 일자리-일자리 형태	 62
[그림 2-23] 첫 번째 일자리-인턴 과정	 63
[그림 2-24] 첫 번째 일자리-월평균 소득	 64
[그림 2-25] 첫 번째 일자리-일주일 총 근로시간	 65
[그림 2-26] 영어 공부 경험	 66
[그림 2-27] 영어 사교육 경험 여부	 66
[그림 2-28] 취업, 창업, 직무능력개발 교육․훈련 경험 여부	 67
[그림 2-29] 취업, 창업, 직무능력개발 교육․훈련 경험 개수(평균)	68
[그림 2-30] 용돈 액수(월평균)	 69
[그림 5-1] 주별 조사 진행률(유효 표본 기준)	 141
[그림 5-2] 11차년도 조사 전체 수행 상황-기존 패널(전체 표본)	 142
[그림 5-3] 11차년도 조사 전체 수행 상황-신규 패널(전체 표본)	 142
[그림 5-4] 11차년도 조사 전체 수행 상황-보정 패널(전체 표본)	 143
[그림 5-5] 지역별 수행 상황-기존 패널(전체 표본)	 144
[그림 5-6] 지역별 수행 상황-신규 패널(전체 표본)	 144
[그림 5-7] 지역별 수행 상황-보정 패널(전체 표본)	 14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2014) 2014.01.01~201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