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활용방안 연구

Countermeasures for Fostering the NCS Learning Modules
저자
최동선 정향진 이민욱 문한나 추연우 현지훈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4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2.31
등록일
2015.05.13
요  약
제1장_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5
제3절 연구의 방법	7
제4절 연구의 제한	10
제2장_NCS 학습모듈의 현황_13
제1절 NCS의 개념 및 추진현황	15
제2절 NCS 학습모듈의 개념 및 추진 현황	30
제3절 종합 및 시사점	49
제3장_해외의 NCS 및 학습모듈 활용 실태_53
제1절 호주	57
제2절 영국	73
제3절 뉴질랜드	93
제4절 스페인	103
제5절 핀란드	111
제6절 종합 및 시사점	131
제4장_NCS 학습모듈 활용의 주요 이슈_137
제1절 NCS 학습모듈 활용 관련 설문조사 결과	139
제2절 주요 영역별 NCS 학습모듈 활용 관련 쟁점	161
제3절 종합 및 시사점	206
제5장_결론 및 정책제안_213
제1절 NCS 학습모듈 활용 인프라 개선	215
제2절 NCS 학습모듈 개발 체제의 개선	220
제3절 NCS 학습모듈 활용 확대를 위한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명확화	226
SUMMARY_233
참고문헌_239
부    록_247
  본 연구에서는 직업교육과정, 직업능력개발 훈련과정, 평생학습 프로그램 등 NCS 중심의 인력양성체제에서 NCS 학습모듈의 역할과 위상을 분석하고, 분야별 학습모듈 활용에서의 현황 및 이슈를 점검하여 NCS 학습모듈 활용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drawing the policy recommendations for fostering NCS learning modules in the NCS-based human resources systems based upon analyzing the roles and status of NCS learning modules as well as practical issues in using learning modules in various fields. For this research aim, the study used the literature review, consultation from the specialists, and quantitative survey on the using NCS learning modules and developing the NCS-based curriculum. ...
<표 1-1> 전문가 자문회의 운영 실적	8
<표 1-2> 설문조사 내용	10
<표 2-1> 국가직무능력표준 구성 항목	19
<표 2-2> 국정과제-능력중심 사회를 위한 여건 조성	24
<표 2-3>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현황	26
<표 2-4> NCS 활용・확산 계획	29
<표 2-5> 2013년도 NCS 학습모듈 개발 결과	34
<표 2-6> NCS 학습모듈 개발진 유형별 역할 및 자격요건(안)	39
<표 3-1> 미용(Hairdressing) 분야 훈련패키지 자격구성 예시	60
<표 3-2> 호주 ISC 및 산업분야	63
<표 3-3> 호주자격체계 수준별 자격 	67
<표 3-4> Service Skills Australia 자체 개발 훈련패키지 및 지원자료 리스트	69
<표 3-5> CIT 미용분야 자격 IV 교육과정	71
<표 3-6> 영국 NOS 개발기관(SSC/SSB) 현황	75
<표 3-7> 영국 NOS의 필수 구성요소	79
<표 3-8> 영국 NOS의 선택 구성요소	80
<표 3-9> 영국의 직업자격제도 운영체계	87
<표 3-10> QCF 자격구조 예시 : Level 4 Diploma in Management in Recycling Activities(Collection)	90
<표 3-11> 뉴질랜드 자격체계 및 수준에 따른 학점 취득 요건	96
<표 3-12> Hospitality 분야 Level 2 자격 구성 사례	98
<표 3-13> 스페인 국가자격목록(CNCP) 개발현황	104
<표 3-14> 스페인 국가자격체계(NQF)의 수준 체계	107
<표 3-15> 3단계 역량기반 자격의 취득현황	117
<표 3-16> 교육 분야별 도제 훈련 후 자격취득 현황	118
<표 3-17> 중등직업자격 모듈	120
<표 3-18> 심화전문자격모듈	121
<표 3-19> 직업자격 구조 	122
<표 3-20> 중등직업교육 모듈 (핵심교과) 	124
<표 3-21> 마사지사 심화자격	125
<표 3-22> 학교기반 프로그램과 도제훈련	128
<표 4-1> 응답자의 특성	140
<표 4-2> 소속기관의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 현황	142
<표 4-3> NCS기반 교육과정 개편 방식	144
<표 4-4> NCS기반 교육과정 개편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146
<표 4-5> NCS 학습모듈이 수행해야할 역할	148
<표 4-6> 학습모듈의 학습교재 활용 가능성에 대한 평가	151
<표 4-7> 학습모듈의 학습교재로서 활용형태 예측	153
<표 4-8> NCS 학습모듈의 가장 적합한 활용 주체 	155
<표 4-9> NCS 학습모듈의 활용성 제고 방안(중복응답)	157
<표 4-10> NCS 기준학과 및 인력양성 유형(안) 	169
<표 4-11> 교과군별 NCS 개편 시 교과목 편제 예시	172
<표 4-12> 검정형 자격과 과정평가형 자격의 비교	187
<표 4-13> 기존의 일반훈련과정과 NCS 기반 훈련과정 비교	199
[그림 2-1] NCS 관련 추진 경과	23
[그림 2-2] NCS-학습모듈-교육과정 개념도	31
[그림 2-3]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학습모듈의 관계도	32
[그림 2-4] NCS 능력단위와 학습모듈 단위 구성 방법	33
[그림 2-5] NCS 학습모듈 개발절차(안)	36
[그림 2-6] NCS 학습모듈 개발체계	38
[그림 2-7] NCS 학습모듈 개발 계획	41
[그림 2-8] 2013년 신규개발 NCS의 능력단위 수준의 분포	46
[그림 3-1] 호주의 국가훈련체계	58
[그림 3-2] 훈련패키지 개발 및 개정과정	64
[그림 3-3] 영국 NOS 개발절차	77
[그림 3-4] 영국 NOS 개발을 위한 기능분석(Functional Analysis) 개념도	78
[그림 3-5] 영국의 국가자격체계(NQF) 및 자격・학점체계(QCF)의 구조	83
[그림 3-6] 영국의 자격・학점체계(QCF) 체계 및 예시	88
[그림 3-7] 뉴질랜드의 NCS 체제의 운영 주체	99
[그림 3-8] 스페인 직업자격 구조 	105
[그림 3-9] 스페인의 학습모듈 구조 	108
[그림 3-10] 능력단위 구조 	109
[그림 4-1]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비전	163
[그림 4-2]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의 문서 체제(안)	166
[그림 4-3]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의 교과 교육과정 체제(안)	167
[그림 4-4] NCS기반 고교 교육과정 계열 재구조(안)	168
[그림 4-5]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의 교과 편성(안)	171
[그림 4-6]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에서의 성취평가제 개정(안)	173
[그림 4-7] 전문대학 특성화 방안 주요 내용	180
[그림 4-8] NCS 기반 자격체계의 개요	185
[그림 4-9] 新직업자격에서의 경력개발 경로 및 종목별 자격구조 예시	186
[그림 4-10]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수행체계	188
[그림 4-11] 화학분야 국가기술자격 종목 재설계 예시	190
[그림 4-12] NCS와 훈련기준 구성항목의 연계	195
[그림 4-13] 훈련기준의 훈련과정(과목)으로 편성 방안	196
[그림 4-14] 훈련기준의 개발 절차	197
[그림 5-1] NCS-학습모듈-교육과정 개념도	22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국가직무능력표준(NCS)학습모듈 활용방안 연구 2014.04.11~201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