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기반 지원 연구

A Study On Operational Support for Job Competency-Based Assessment System for Lifelong Job Competency Development
저자
김선태 이용순 조희경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1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0.31
등록일
2015.05.13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6
제3절 연구의 제한점	12
제2장 직무능력평가제 운영의 이론적 배경_15
제1절 직무능력평가의 철학적 고찰	17
제2절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NCS 기반 교육과정에 따른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배경	24
제3절 시사점	40
제3장 국내외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현황_43
제1절 국내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현황	45
제2절 국외 주요국의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현황	63 
제3절 시사점	108
제4장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기반 지원 요구 분석_111
제1절 설문 구성 및 조사 방법	113
제2절 NCS 기반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설문 분석	117
제3절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 도입 설문 분석	126
제4절 시사점	132
제5장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기반 지원 방안_135
제1절 NEIS 및 ICDP 연계 운영 방안	137
제2절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 제시 및 도입 방안	161
제3절 시사점	177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_181
제1절 결론	183
제2절 정책 제언	188
SUMMARY_195
참고문헌_203
부  록_211
1. 설문지	213
2. 학교생활세부사항기록부	235
3. NCS 직무능력표준 이력서(가칭) 양식(안)	239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해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구축과 NCS 기반 학습모듈 개발,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등을 토대로 직무능력평가제 운영과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 도입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무엇보다 특성화고 졸업자를 대상으로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기반 조성 및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 시 직무능력평가에 대비하여 단위학교에서의 운영 강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있다.
 ‘학벌이 아닌 능력중심사회 만들기’ 추진 과제인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해 국내외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현황을 분석한다.
  둘째,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해 NCS 기반 직무능력평가제 운영과 NCS 기반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 도입에 대한 이해당사자별 요구를 분석한다.
  셋째,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해 NCS 기반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기반 지원 방안과 NCS 기반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 양식 제시와 도입을 위한 지원 방안을 도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n a job competency-based assessment system operation plan to solve the problems with employment, promotion, and wage disparity according to the educ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as a project to 'create the society focusing on competency, rather than on educational backgrou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NCS-based curriculum which will be applied to all specialized high schools in 2016, this study tries to connect the operation of job competency assessment system with the introduction of job competency standard resume in accordance with the completion of NCS-based curriculum, and thereby make a lifelong career development path. ...
<표 2-1> NCS 기반 교육과정과 전통적 교육과정의 비교	30
<표 2-2> 직무능력 성취수준(가칭)의 기재(안) 예시	35
<표 2-3> 고등학교 교과별 성취평가 등급 비율(안)	38
<표 2-4> 성취평가제가 적용된 학생생활기록부의‘교과학습 발달상황(정량)’기록 예시	38
<표 2-5> 성취평가제가 적용된 학생생활기록부의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상·중·하)의 일반적 특성	39
<표 2-6> 성취평가제가 적용된 학생생활기록부의‘교과학습 발달상황(정성)’기록 예시	39
<표 3-1> 과장급과 고위공무원단의 역량평가 방식 비교	50
<표 3-2> A공사의 평가 요소	52
<표 3-3> N사의 평가 요소	56
<표 3-4> J사의 평가 요소	58
<표 3-5> KCC의 성과평가 체계	60
<표 3-6> KOTRA의 성과평가 체계	61
<표 3-7> 삼성SDS의 성과평가 체계	62
<표 3-8> 독일의 자격 체계 및 각 수준별 설명	66
<표 3-9> 커리큘럼에 다른 역량·기술 체크리스트	71
<표 3-10> 독일의 직무능력평가 기준	72
<표 3-11> 기대성과에 따른 평가활동(예시)	73
<표 3-12> NICATS의 수준별 자료	78
<표 3-13> 직업자격(NVQ)을 인정하는 기본 판단 기준	80
<표 3-14> 능력평가 증거 구성	82
<표 3-15> 평가를 위한 증거 수집 방법	82
<표 3-16> 지식평가 방법	84
<표 3-17> 지식평가 방법	85
<표 3-18> AQF의 각 수준별 설명	91
<표 3-19> 역량평가 증거 수집 방법	95
<표 3-20> 프랑스의 NQF	99
<표 3-21> 직업 Bar.-자동차 생산 체제 운영 전공 분야 시험 규칙  105
<표 4-1> NCS 기반 직무능력평가제 관련 설문 내용과 구성	114
<표 4-2> NCS 기반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 관련 설문 내용과 구성	115
<표 4-3> 직무평가 일반에 대한 응답률	117
<표 4-4> Ⅰ-5. 특성화고 교육과정 결과와 현장 직무수행능력의 차이 이유	118
<표 4-5> Ⅰ-8. 동일직종의 직무평가 기준이 기업마다 다른 이유	119
<표 4-6> NCS 기반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지원에 대한 응답률  	119
<표 4-7> Ⅱ-6.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학교 우선 지원 사항	122
<표 4-8> Ⅱ-16. NCS 기반 직무능력평가제 참여를 위한 산업체 우선 지원 사항	123
<표 4-9> Ⅱ-17. 기존의 기업별 직무능력평가를 NCS 기반 직무능력평가제로 전환하기 위한 해결과제	123
<표 4-10> Ⅱ-18. NCS 기반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시 예상되는 문제점	124
<표 4-11> Ⅱ-19. NCS 기반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시 정부 우선 지원 사항	125
<표 4-12> 이력서 일반에 대한 응답률	126
<표 4-13> Ⅰ-4.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력서(자기소개서 포함) 내용 중 채용 여부와 직무능력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항목
          Ⅰ-5.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력서(자기소개서 포함) 내용 중 채용 여부와 직무능력을 평가하는 데 불필요한 항목 	127
<표 4-14> NCS 기반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 도입에 대한 응답률	128
<표 4-15> Ⅱ-6. NCS 기반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 기입 필요 항목	129
<표 4-16> Ⅱ-10. NCS 기반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의 도입 시 예상되는 문제점	130
<표 4-17> Ⅱ-11. NCS 기반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 도입을 위한 산업체 우선 지원 사항	131
<표 4-18> Ⅱ-12. NCS 기반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의 도입 시 정부 우선 지원 사항	131
<표 5-1>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 작성 원칙	167
[그림 1-1] 연구 절차	11
[그림 2-1]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념	25
[그림 2-2] NCS 개발 절차 	26
[그림 2-3] NCS와 학습모듈의 연결 체제	27
[그림 2-4]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 배경 및 비전	28
[그림 2-5]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따른 과정이수형 자격 관리 운영 체계	33
[그림 2-6]  NCS 기반 성취평가제 개정(안)	37
[그림 3-1]  A공사의 평가 절차 	52
[그림 3-2]  C공사의 평가 요소	54
[그림 3-3]  C공사의 평가 절차	55
[그림 3-4]  N사의 평가 절차	56
[그림 3-5]  J사의 평가 절차	58
[그림 3-6]  KCC의 평가 절차	59
[그림 3-7]  직무능력평가위원회 및 자격기관의 구성 	69
[그림 3-8]  직업훈련의 기대성과와 평가 기준	72
[그림 3-9]  NVQ 자격 발급의 흐름	86
[그림 3-10]  다양한 형태의 역량평가 증거의 종류	94
[그림 3-11]  프랑스의 직업교육과 자격 체계	101
[그림 5-1] NCS-ICDP 시스템(가칭) 메뉴 구성도	148
[그림 5-2] NCS-ICDP 시스템(가칭)의 직무능력평가 개념도	150
[그림 5-3] NCS-ICDP 시스템(가칭)의 직무등록 프로세스	150
[그림 5-4] NCS-ICDP 시스템(가칭)의 직무평가 프로세스	151
[그림 5-5] NCS-ICDP 시스템(가칭)의 NCS 조회(학과별) 기능	153
[그림 5-6] NCS-ICDP 시스템(가칭)의 ICDP에 따른 직무선택 기능	153
[그림 5-7] NCS-ICDP 시스템(가칭)의 ICDP에 따른 직무평가 등록	154
[그림 5-8] NCS-ICDP 시스템(가칭)의 ICDP에 따른 직무평가 결과	155
[그림 5-9] NCS-ICDP 시스템(가칭)의 ICDP에 따른 직무능력표준  이력서(가칭)	156
[그림 5-10] NCS-ICDP 시스템(가칭)의 ICDP에 따른 직무능력표준 이력서(가칭) 세부 구성 내용	157
[그림 5-11] 에듀팟의 구성	158
[그림 5-12] 직무능력표준이력서(가칭) 설계(안)	167
[그림 6-1] 스펙이 필요없는 평생직업교육 체계의 개요도	18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기반 지원 연구 2014.01.01~2014.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