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지식과 좋은 일자리
- 저자
- 반가운 김봄이 나동만 양정승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4-0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4.10.31
- 등록일
- 2015.05.13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제2장 기업의 지식과 좋은 일자리 상보성 분석을 위한 이론틀 _13 제1절 문제제기 15 제2절 기업의 지식, 숙련노동 수요, 좋은 일자리의 관계 16 제3절 제도 간 상보성과 임계점이 도입된 이론틀 40 제4절 소결 51 제3장 지식, 숙련수요, 좋은 일자리에 관한 기업차원 지표_55 제1절 문제제기 57 제2절 지식에 대한 기존연구 검토 및 기업차원의 지표 추출 57 제3절 좋은 일자리에 대한 기업차원의 지표 78 제4절 숙련노동 수요에 대한 기업차원의 지표 100 제5절 소결 105 제4장 기업의 지식, 숙련노동 수요, 좋은 일자리의 상보성실증분석_109 제1절 문제제기 111 제2절 노사공동의 사회적 책임 지수(UCSR)를 활용한 실증분석 111 제3절 사업체패널조사(WPS)를 활용한 실증분석 127 제4절 소결 143 제5장 기업의 지식과 숙련노동 수요의 기업 간 파급효과 실증분석_145 제1절 문제제기 147 제2절 지식과 숙련의 기업 간 파급효과 실증분석 모형 149 제3절 지식과 숙련의 기업 간 파급효과 실증분석 결과 161 제4절 소결 176 제6장 결 론_179 제1절 분석결과 종합 181 제2절 정책적 함의 186 SUMMARY_195 참고문헌_197 부 록_213
본 연구는 기업의 지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기업의 지식축적 행위와 좋은 일자리 제공 행위가 어떠한 상보성을 가지는지 분석하려고 한다. 기업의 지식투자가 좋은 일자리 제고로 이어지는지, 또는 그 반대 경로가 작동하는지, 더 나아가 기업 지식과 좋은 일자리가 제도적 상보성을 가지고 기업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이는 한국경제의 고용문제가 기업의 지식축적 문제로 환원될 수 있는지 확인해 보는 작업이기도 하다. 기업의 지식에 대한 투자, 즉 연구개발과 교육훈련, 지식경영 활동 등은 기업이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수적인 경영행위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일자리 질 규제에 비해 기업의 저항감이 낮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Currently, the most important issue of the Korean economy is employment. Hereupon, while employment rate which means the problem related to amount of employment has been the subject of social and political considerable interest, the problem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has been a target to be relatively marginalized from policy and research. However, in the Korean economy where the polarization of the labor market is becoming even more serious, the labor market policy’s research project must be oriented with the goal of improvement of both the amount of employment and its quality. As the main agents which offer a job are companies,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to allow companies to offer a good job. In this study, I tried to provide analysis on how the act of accumulation of knowledge and the act of offering a good job have mutual complementaries. It is also a work which helps to make sure if the problem of employment can be a same problem of knowledge accumulation of a company. Good job and knowledge of the company is an important concept of this study, so we have developed the theory framework of the mutual complementarity of these two concepts. This complementarity is working beyond each individual company. Namely, our theory framework covers the firm’s relations. Empirically this paper analyzes relationships between the knowledge and good job at the firm level. If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increases the demands of skilled labor by companies, and if the companies improve the custom of working condition for the supply and the maintenance of skilled labor, the companies knowledge will create good jobs with skilled labor. Or, the improvement of the jobs quality can stimulate the accumulation of human capital of the employees within the companies. This paper empirically proved these paths. It is possible to say the quality of work and knowledge of the company has an associated in any way. Firm’s balance knowledge investment of education&training and research&development creates more high skilled and higher-paid good jobs. And this article analyzes the spillover effect of firm’s knowledge on firm’s job quality focused on high skilled and higher paid jobs between chaebol large sized firms, other large sized firms, and small&medium sized firms. Empirically I found that trickle-up effect and trickle-down effect both are not working. This means that the relation among firms is very short-term in Korean economy. And I conclude that chaebol firms’ strategy to exploit the value from small firms are more strengthened after the 1997-98 financial crisis.
<표 3-1> 기존 연구의 지적자본 측정 70 <표 3-2> 지식의 세부요인 72 <표 3-3> 기업의 지식의 세 가지 차원과 세부지표의 구성 76 <표 3-4> 방하남 외(2007)의 기업단위 좋은 일자리 측정지표 83 <표 3-5> 고몰입 경영과 고성과 작업조직의 특징 86 <표 3-6> 인적자본기업패널(HCCP)을 기반으로 한 좋은 일자리 지수 88 <표 3-7> 좋은 일자리의 9가지 차원과 세부지표의 구성 89 <표 3-8> 기존 지표들과 본 연구 지표의 차이점 96 <표 3-9> 기업의 지식, 숙련노동 수요, 좋은 일자리 경영관행 지표 105 <표 4-1> 분석대상 기업의 업종분포 114 <표 4-2> 기술통계량 115 <표 4-3> 피어슨 상관계수 118 <표 4-4> 스피어만 상관계수 119 <표 4-5> UCSR 대분류 분석결과 121 <표 4-6> UCSR 중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좋은 일자리) 122 <표 4-7> UCSR 중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지식) 124 <표 4-8> UCSR 중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숙련노동수요) 125 <표 4-9 > WPS 분석대상 기업의 업종분포 130 <표 4-10> 기술통계량 130 <표 4-11>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133 <표 4-12> 스피어만 상관계수(Spearman Correlation) 134 <표 4-13> WPS 대분류 분석결과 137 <표 4-14> WPS 중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좋은 일자리) 138 <표 4-15> WPS 중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지식) 139 <표 4-16> WPS 중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숙련노동수요) 141 <표 5-1> 분석대상 기업의 업종별 분포 150 <표 5-2> 기술‑지역‑산업 근접도 계수 예시(1) 152 <표 5-3> 기술‑지역‑산업 근접도 계수 예시(2) 153 <표 5-4> 기술‑지역‑산업 근접도 계수 예시(3) 153 <표 5-5> 기업의 지식이 숙련수요에 미치는 효과 163 <표 5-6> 기업의 교육훈련과 숙련수요 교호효과 164 <표 5-7> 기업의 연구개발과 숙련수요 교호효과 165 <표 5-8> 기업의 지식과 숙련수요 파급효과 170 <부표 3-1> 괜찮은 일(decent work) 지표 215 <부표 3-2> Quality in Work 지표 216 <부표 3-3> Quality of Employment 지표 217 <부표 3-4> ISO26000 노동관행 쟁점 218 <부표 3-5> Jencks et al.(1988)의 Good Job 지표 219 <부표 3-6> WPS를 활용한 기업의 지식을 측정하기 위한 세부지표 220 <부표 3-7> 기업의 숙련수요를 측정하기 위한 세부지표 221 <부표 3-8> UCSR를 활용한 기업의 좋은 일자리를 측정하기 위한 세부지표 221 <부표 3-9> WPS를 활용한 기업의 좋은 일자리를 측정하기 위한세부지표 222 <부표 4-1> UCSR 설명변수 분위별 대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좋은 일자리) 224 <부표 4-2> UCSR 설명변수 분위별 대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지식) 224 <부표 4-3> UCSR 설명변수 분위별 대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숙련노동수요) 225 <부표 4-4> UCSR 세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좋은 일자리) 225 <부표 4-5> UCSR 세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지식) 227 <부표 4-6> UCSR 세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숙련노동수요) 228 <부표 4-7> WPS 설명변수 분위별 대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좋은 일자리) 229 <부표 4-8> WPS 설명변수 분위별 대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지식) 230 <부표 4-9> WPS 설명변수 분위별 대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숙련노동수요) 230 <부표 4-10> WPS 세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좋은 일자리) 231 <부표 4-11> WPS 세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지식) 232 <부표 4-12> WPS 세분류 분석결과(종속변수: 숙련노동수요) 23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기업의 지식과 좋은 일자리 | 2014.01.01~2014.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