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정보의 현장 활용실태와 개선방안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n Utilization and Improvements of Career Information
- 저자
- 김승보 유한구 장현진 방혜진 신선미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4-2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4.10.31
- 등록일
- 2015.05.13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범위 8 제3절 연구의 방법 11 제2장 진로정보의 개념과 의의_21 제1절 정보의 동태적 성격과 진로정보 23 제2절 진로개발 패러다임의 변화와 진로정보 32 제3절 진로지원활동에 있어서 진로정보의 위상과 역할 51 제4절 진로정보의 개념 및 의의 분석의 시사점 62 제3장 진로정보의 생산 및 전달 실태_65 제1절 국가 단위 진로정보의 생산 및 전달 67 제2절 지역 단위 실태 89 제3절 진로정보의 생산 및 전달 실태 분석의 시사점 117 제4장 진로정보의 현장 활용 실태_123 제1절 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본 진로정보의 활용 실태 126 제2절 진로정보의 요구와 수요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157 제3절 교사 및 학부모 FGI를 통해 본 진로정보 활용 실태 178 제4절 진로정보의 현장 활용 실태 분석의 시사점 191 제5장 진로정보의 정책 개선방안_195 제1절 연구의 정책적 함의와 정책 방향 197 제2절 주요 정책 추진과제 204 SUMMARY_213 참고문헌_217 부 록_223 1. 학생 대상 진로정보의 현장 활용 실태 설문조사 문항 225 2. 학생 대상 진로정보의 현장 활용 실태 설문조사 결과 232
본 연구는 생성된 진로정보의 유통 및 활용에 대한 실태 분석 및 평가를 통해 학교진로교육 현장에 제공될 진로정보의 생성, 유통 및 활용에 대한 전반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서 그 의의가 있다. 또 진로교육 현장의 진로정보에 대한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최종 정보 수요자인 학생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학부모 그리고 진로상담 및 지도 과정을 통해 진로정보를 전달하는 일선 교사 및 진로상담자(career counselor)의 입장에서 진로정보의 양과 질, 내용 및 전달 체계상의 문제점 등을 검토함으로써 진로정보 생성 및 배분(delivery) 과정의 실효성을 제고하고 정책 수립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Career information is in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information and knowledge based societ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the baseline data that can be utilized for making holistic policy on generati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career inform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and feedback. Also this research looked at the effectiveness of careers information generation and delivery process by reviewing some issues, amount, quality, content, and delivery system of careers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r career counselors. ...
<표 1-1> 2012~2013년 생성된 진로교육 콘텐츠 자료(교육부) 6 <표 1-2> 진로정보 생산 및 유통기관 담당자 FGI 대상자 13 <표 1-3> 진로정보 생산 및 유통기관 담당자 FGI 질문 개요 14 <표 1-4> 교사 FGI 대상자 15 <표 1-5> 교사 대상 FGI 질문 개요(1차) 16 <표 1-6> 교사 대상 FGI 질문 개요(2차) 17 <표 1-7> 학부모 FGI 대상자 19 <표 1-8> 학부모 대상 FGI 질문 개요 19 <표 2-1> 직업체험 분야 및 체험 형태별 정보제공 체계 49 <표 2-2> 진로지원서비스 제공 방식에 따른 유형 54 <표 2-3> 진로지원서비스 제공 방식의 확장 방향 59 <표 3-1> 진로정보 유형 및 생산기관별 생산 현황 69 <표 3-2> 직업동영상의 시청 대상별 현황 77 <표 3-3> 교육정보 유형별 제공 기관별 현황 78 <표 3-4> 진로심리검사 실시율, 만족도 및 계속 참여 의향 79 <표 3-5> 시․도교육청 산하 진로진학정보센터 목록 90 <표 3-6> 시․도교육청 산하 취업지원센터 목록 93 <표 3-7>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 취업지원센터의 목적과 기본 운영 방향 94 <표 3-8> 시․도교육청 산하 취업지원센터 인력 구성 95 <표 3-9>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의 대학입시정보 내용(전체) 100 <표 3-10> 기타 지역 진로진학정보센터의 대학입시정보 내용(요약) 101 <표 3-11> 학교알리미 OO고등학교 입학생 현황(사례) 102 <표 3-12> 기타 지역 진로진학정보센터의 대학입시정보 내용(요약) 103 <표 4-1> 조사 대상 및 방법 128 <표 4-2> 조사 대상의 특성 분석 130 <표 4-3> 설문조사 문항 구성 131 <표 4-4> 자료의 처리 133 <표 4-5> 중학생 기초통계 167 <표 4-6> 고등학생 기초통계 168 <표 4-7> 중학생 다층모형 분석 결과 171 <표 4-8> 중학생 다층모형 양호도 172 <표 4-9> 고등학생 다층모형 분석 결과 174 <표 4-10> 고등학생 다층모형 양호도 175 [그림 1-1] 커리어넷 활용 경험 5 [그림 2-1] 정보와 데이터 및 지식의 관계 25 [그림 2-2] 생애 과정의 구조 35 [그림 2-3] MyFuture 시스템의 콘텐츠 구성 체계 45 [그림 2-4] 진로박람회 참여 프로세스 50 [그림 3-1] 제작 연도별 직업동영상 현황 80 [그림 3-2] 국가 단위의 진로정보의 전달 체계(경로) 개념도 82 [그림 4-1] 진로정보의 5가지 영역 132 [그림 4-2] 진로정보 유형별 필요도 및 충분도 134 [그림 4-3] 진로정보 유형별 필요도와 충분도의 차이 136 [그림 4-4] 진로정보 습득방법 137 [그림 4-5] 진로 관련 고민사항 139 [그림 4-6] 학교급별 진로 관련 고민사항 139 [그림 4-7] 진로고민에 대해 상담하는 대상 140 [그림 4-8] 진로고민 상담 시 활용하는 정보 141 [그림 4-9] 진로고민 해결을 위한 인터넷 사용 수단 142 [그림 4-10] 주 인터넷 이용 수단의 사용 이유 143 [그림 4-11] 인터넷 활용 시 주 사용 매체 144 [그림 4-12] 진로수업에서 제공받는 진로정보 145 [그림 4-13] 학교급별 진로수업에서 제공받는 진로정보 145 [그림 4-14] 학교급별․학년별 진로수업에서 제공받는 자기이해 정보 비율 146 [그림 4-15] 진로상담에서 제공받는 진로정보 147 [그림 4-16] 학교급별 진로상담에서 제공받는 진로정보 148 [그림 4-17] 진로체험활동에서 제공받는 진로정보 149 [그림 4-18] 학교급별 진로체험활동에서 제공받는 진로정보 150 [그림 4-19] 전문 진로정보 사이트 방문 경험(복수응답) 151 [그림 4-20] 학교급별 전문 진로정보 사이트 방문 경험(복수응답) 151 [그림 4-21] 전문 진로정보 사이트 활용도 평가(1순위) 152 [그림 4-22] 진로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시기 154 [그림 4-23] 고등학교 진학 시 고려사항 155 [그림 4-24] 학교급별 고등학교 진학 시 고려사항 156 [그림 4-25] 일반고․특목고 학생의 고등학교 계열 선택 시 고려사항 15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진로정보의 현장 활용실태와 개선방안 | 2014.01.01~2014.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