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창업교육훈련 생태계 조성 방안
A Study on Cultivating Ecosyste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in Korea’s Universities
- 저자
- 박동 박천수 이종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4-0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4.10.31
- 등록일
- 2015.05.14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8 제3절 연구 방법 및 분석틀 9 제2장 대졸 창업과 정부의 창업교육훈련 지원정책 현황_23 제1절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과 창업 25 제2절 정부의 창업교육훈련 관련 지원정책 현황 31 제3절 대졸 창업 현황 59 제4절 소결 86 제3장 주요국의 대학 창업교육훈련 사례 분석_91 제1절 미국 MIT대학의 창업교육훈련 사례 분석 93 제2절 독일 엑지스트 창업교육훈련 사례 분석 110 제3절 주요국 사례의 정책적 시사점 115 제4장 대학 창업교육훈련 실태 분석_121 제1절 조사 개요 123 제2절 조사 결과 분석 131 제3절 분석의 시사점 177 제5장 정책제언_181 제1절 교내 벤처 창업 촉진으로 성공창업 롤모델 창출 183 제2절 학생 등 수혜자 중심 창업교육훈련으로 전환 185 제3절 사업계획서 경연대회 등 창업훈련의 강화 187 제4절 실전 지향의 창업교육 확충 및 창업교육의 이론화 지양 189 제5절 청년창업 단계별 정부지원 프로그램의 체계적 확충 190 제6장 결 론_193 SUMMARY_197 참고문헌_201 부 록_20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창업생태계 전반에 대한 분석보다는 대학 내 창업교육 및 각종 창업활동에 한정하여 창업교육훈련의 전반적 실태를 살펴보고, 국외 사례의 벤치마킹 등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청년들의 창업교육만이 아니라 창업훈련을 망라하는 굳건한 창업교육훈련 생태계를 조기에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표하에 이루어졌다. 첫째, 대학 창업교육훈련 생태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여기서는 기존의 이론 중심의 청년창업 논의보다는 살아 있는 체험에 근거한 실전적 창업교육훈련에 대한 새로운 논거를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둘째, 안정 위주, 스펙 중심의 직업선택 및 고용관행을 타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cultivate a reliable ecosyste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through examining overall startup situations in Korea and benchmarking good examples of overseas. Especially we focused on finding viable alternatives to activate practical youth entrepreneurship activities. The main findings are as fe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level of youth entrepreneurship activities turned out to be the existence of entrepreneurial success model within the university. In addition, the degree of financial aid from the university had a major impact on youth startup activities. Second, there exists a wide gap between expert groups and student groups in interpreting the ecosyste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within the universities. The expert groups have highly evaluated the ecosystem. On the contrary, the student groups who are the practical subjects of the startup ecosystem in universities have answered very negatively. Third, among the five groups we set to comparison group, so-called world class university group was recorded the lowest score. This means that the members of the world class universities are more risk averse than others. Fourth, the university members who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s project, ‘Leading Universities for start-up Business’ have different opinions and ideas on their own entrepreneurial activities. Especially many students have negative view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Fifth, it turned out that the most of Korean students are risk averse. They prefered stable and high-paying jobs to breaking fresh ground. Particularly Korean students are afraid of failure due to financial reasons. Based 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 proposed several policy suggestions. First, to activate students’ entrepreneurial activities, we need to create a roll model of successful business startups in the universities. Furthermore it is needed to expand financial aid to embody startup items. Second, we have to change financial support schemes from university headquarter-centered startup assistance to student-centered aid to promote their involvement. Third, it is needed to strengthen entrepreneurship training to prev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from formalization or ideation. Entrepreneurship training includes various startup contests, business plan contests, entrepreneurship internships, capstone designs, prototype productions, lab startups etc. Fourth, in this study we found out that theoretic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alone could not be a catalyst or bridge to practical startups. Every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needed to be practice-oriented. Finally, to enhance undaunted entrepreneurship sprit, we need to institutionalize startup ecosystems in the universities to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trials and errors repeatedly despite failures.
<표 2-1> 15~29세 청년층의 학력 수준별 실업률 26 <표 2-2> 15~29세 청년층의 학력 수준별 고용률 27 <표 2-3> 청년층의 학력별 취업자 중 자영업자 비중 29 <표 2-4> 성별 분야별 노동시장 이행 30 <표 2-5> 대학 내 창업교육훈련 지원사업 현황(2013년 기준) 32 <표 2-6> 산학협력선도대학 1단계 사업(’12~’13년) 4년제 대학 주요 성과 36 <표 2-7> 산학협력선도대학 1단계 사업(’12~’13년) 전문대학 주요 성과 36 <표 2-8> 입소형 창업선도대학육성사업 지원 사항 38 <표 2-9> 연도별 창업보육센터 지원 규모 39 <표 2-10> 창업보육센터의 운영 성과 40 <표 2-11> 창업보육센터의 중장기 고도화 방향 41 <표 2-12> 대학생 창업아카데미 사업 창업동아리 및 창업강좌 실적 42 <표 2-13> 창업대학원(석사과정) 설치 현황 42 <표 2-14> 창업대학원 졸업생 및 취・창업 실태(2010년 3월 말 기준, 누계) 43 <표 2-15> 캠퍼스 CEO 발굴 지원사업 유형별 주요 사항 44 <표 2-16> 캠퍼스 CEO 육성사업 교육수료생 배출 실적(2013년 12월 31일 기준) 45 <표 2-17> 청년창직인턴제 예산안 현황 46 <표 2-18> 청년창직인턴제 사업 성과 47 <표 2-19> 벤처・창업 자금 생태계 선순환 방안 과제별 실천계획 54 <표 2-20>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 57 <표 2-21> 창업 대졸자의 창업 이유 60 <표 2-22> 대졸 창업자 분포 62 <표 2-23> 성별 분야별 평균 창업비용 64 <표 2-24> 자금 확보의 어려움 66 <표 2-25> 기술 확보의 어려움 67 <표 2-26> 인력 확보의 어려움 68 <표 2-27> 행정적인 절차의 어려움 70 <표 2-28> 업종 선정의 어려움 71 <표 2-29> 사업장 위치 선정의 어려움 72 <표 2-30> 창업정보 수집의 어려움 74 <표 2-31> 전공지식의 도움 정도 75 <표 2-32> 이전 일자리 경험의 도움 정도 76 <표 2-33> 동호회 활동 경험의 도움 정도 77 <표 2-34> 정부 창업지원의 도움 정도 79 <표 2-35> 민간 창업 컨설팅의 도움 정도 80 <표 2-36> 창업보육 과정의 도움 정도 81 <표 2-37> 고용구조에 따른 대졸자의 임금비교 83 <표 2-38> 청년창업가로 좋은 점 84 <표 2-39> 청년창업가로 힘든 점(학교 유형별) 85 <표 3-1> MIT대학 창업 관련 강의 95 <표 3-2> MIT대학 벤처 멘토링 서비스 현황(2000~2007년) 103 <표 3-3> MIT대학 역대 $100K 경쟁자들의 기업 주식상장 가치 109 <표 4-1> 조사 설계 개요 124 <표 4-2> 조사 내용 125 <표 4-3> 문항신뢰도 검정 결과 127 <표 4-4> 세부 문항 신뢰도 분석 결과 128 <표 4-5> 응답자 특성 129 <표 4-6> 대학특성별 창업교육훈련 응답자 특성별 결과 135 <표 4-7> 연구중심대학 응답자 그룹별 창업교육훈련 차원별 결과 검증 137 <표 4-8> 창업선도대학(4년제) 응답자 그룹별 창업교육훈련 차원별 결과 검증 139 <표 4-9> 산학협력선도대학 응답자 그룹별 창업교육훈련 차원별 결과 검증 140 <표 4-10> 창업선도+산학협력선도대학 응답자 그룹별 창업교육훈련 차원별 결과 검증 142 <표 4-11> 창업선도대학(2년제) 응답자 그룹별 창업교육훈련 차원별 결과 검증 143 <표 4-12> 대졸 청년들의 안정적 일자리 취업 선호에 대한 평가 144 <표 4-13> 대학의 핵심전략으로서 청년창업 추진에 대한 인식 145 <표 4-14> 창업 관련 지식 및 훈련 축적에 따른 취업가능성 향상 여부 146 <표 4-15> 창업활동 및 추후 창업 실패에 대한 위험감수 의사 146 <표 4-16> 친구, 동료의 창업에 대한 지지의 정도 147 <표 4-17> 대학의 혁신과 창업활동 주력에 대한 의견 148 <표 4-18> 가까운 시일 내 창업계획 여부에 대한 인식 148 <표 4-19> 소속대학의 창업교육 활성화 정도에 대한 인식 149 <표 4-20> 소속대학의 창업교육이 침체된 이유 150 <표 4-21> 소속대학의 창업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요건 151 <표 4-22> 소속대학의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마련 정도에 대한 인식 151 <표 4-23> 창업교육 참여 학생 수의 정도에 대한 인식 152 <표 4-24> 창업교육 과정과 내용의 충분성에 대한 인식 153 <표 4-25> 대학 창업교육의 실질적인 창업에 도움 정도 153 <표 4-26> 창업(전공)동아리 활동의 필요성 154 <표 4-27> 창업(전공)동아리 참여 또는 지도 경험 155 <표 4-28> 창업(전공)동아리 활동의 활성화 수준 155 <표 4-29> 학생 창업(전공)동아리 활동이 침체된 이유 156 <표 4-30> 학생 창업(전공)동아리의 활성화 요건 157 <표 4-31> 창업(전공)동아리 참여 학생 수에 대한 인식 157 <표 4-32> 창업(전공)동아리 활동을 위한 지원의 충분성 158 <표 4-33> 창업보육센터의 활성화 정도 159 <표 4-34> 창업보육센터의 침체된 원인 159 <표 4-35> 창업보육센터의 활성화를 위한 요인 160 <표 4-36> 청년창업 희망 학생의 창업보육센터 입주 정도 161 <표 4-37> 창업보육센터 입주의 실질적 창업 도움 정도 161 <표 4-38> 교내 창업지원기관의 활성화 정도 162 <표 4-39> 교내 창업훈련 제도의 활성화 정도 163 <표 4-40> 교내 창업훈련 제도가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 163 <표 4-41> 교내 창업훈련이 활성화되기 위한 요인 164 <표 4-42> 교수, 창업보육센터 매니저 등의 청년창업을 위한 멘토링 정도 165 <표 4-43> 성공한 청년창업가와의 만남 경험 빈도 165 <표 4-44> 소속대학의 청년창업 훈련 실시에 대한 적극성 166 <표 4-45> 창업훈련이 실질적인 청년창업에 도움 정도 167 <표 4-46> 청년창업 지원을 위한 외부로부터의 자본투자 활성화 정도 167 <표 4-47> 실제 창업활동을 위한 외부투자액의 충분 정도 168 <표 4-48> 아이디어 창업의 성공 가능 여건 조성 정도 169 <표 4-49> 실제 청년창업을 통한 매출기록 빈도 169 <표 4-50> 실제 청년 창업활동에 대한 교수, 선배의 경험, 정보의 공유 정도 170 <표 4-51> 청년창업을 위한 인근 산업단지, 연구기관과의 협력 정도 171 <표 4-52> 소속대학 출신의 청년창업 성공사례 정도 171 <표 4-53> 우리나라 청년 창업활동의 수준 172 <표 4-54> 청년 창업활동 수준이 낮은 이유 173 <표 4-55> 정부지원 창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청년창업 활성화 기여 정도 173 <표 4-56> 청년 창업활동을 위한 환경개선에서 필요한 요건 174 <표 4-57> 청년 창업활동의 각 차원 간 상관분석 결과 175 <표 4-58> 7개 차원과 우리나라 청년 창업활동 수준 간 상관관계 176 <표 4-59> 청년 창업활동 수준에 대한 창업생태계 차원별 영향 요인 177 [그림 1-1] 창업생태계 세부 영역 및 구성 요소 12 [그림 1-2] 대학 창업교육훈련 생태계(예시) 18 [그림 1-3] 창업교육훈련 생태계의 구성 요소 19 [그림 2-1] 대학 창업교육 5개년 계획 개관 49 [그림 2-2] 벤처・창업 자금 생태계 선순환 방안 개관 52 [그림 2-3] 벤처 창업 투자 자금 선순환 효과 53 [그림 2-4] 경제혁신 3개년 계획 기본방향 56 [그림 3-1] MIT대학 TLO 특허 사용 신규기업 추이(1998~2007년) 100 [그림 4-1] 창업교육훈련 결과(전체 평균) 131 [그림 4-2] 응답 대상별 창업교육훈련 결과 132 [그림 4-3] 연구중심대학 창업교육훈련 차원별 및 응답자 그룹별 결과 136 [그림 4-4] 창업선도대학(4년제) 창업교육훈련 차원별 및 응답자 그룹별 결과 138 [그림 4-5] 산학협력선도대학 창업교육훈련 차원별 및 응답자 그룹별 결과 140 [그림 4-6] 창업선도+산학협력선도대학 창업교육훈련 차원별 및 응답자그룹별 결과 141 [그림 4-7] 창업선도대학(2년제) 창업교육훈련 차원별 및 응답자 그룹별 결과 14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대학 창업교육훈련 생태계 조성 방안 | 2014.01.01~2014.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