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직업능력개발 촉진을 위한 국가역량체계(NQF) 운영 방안
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 Operation Plan for the Promotion of Lifelong Skill Development
- 저자
- 김상진 김미숙 김상호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4-19)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4.10.31
- 등록일
- 2015.05.1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1. 연구 필요성 3 2. 연구 목적 5 제2절 연구 내용 6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7 1. 연구 방법 7 2. 연구 절차 9 제4절 연구 범위 10 1. 방안의 범위 10 2. 국가역량체계의 범위 11 제2장 NQF 적용 관련 이론적 논의_13 제1절 NQF 도입 목적 및 기능 15 1. NQF 도입 목적 15 2. NQF의 기능 25 제2절 NQF와 지역역량체계(RQF) 29 1. 유럽자격체계(EQF) 29 2. NQF와 EQF의 차이 31 3. 아태지역자격체계(APQC) 33 제3절 NQF 수준별 자격 배치 34 1. 자격 배치 원칙 및 방법 34 2. NQF 수준별 자격 배치 사례(덴마크) 36 3. 자격 배치 시 유의사항 40 제4절 NQF 선행연구 분석 42 1. 선행연구 분석 배경 42 2. 주요 선행연구별 내용 분석 43 3. 요약 및 정리 53 제5절 시사점 57 제3장 기업체의 NQF 인식 현황 조사_61 제1절 조사 개요 63 제2절 조사 결과 64 1. 신규직원 채용 현황 64 2. NQF 인식 현황 68 제3절 시사점 75 제4장 NQF 적용 기반 분석_79 제1절 분석 배경 81 제2절 분석 영역 설정 82 1. NQF 적용 시 고려 사항 82 2. NQF 적용 기반 분석 영역 86 제3절 분석 영역별 분석 사항 87 1. NQF 기본 체계 관련 영역별 주요 분석사항 88 2. NQF 포함 자격 관련 영역별 주요 분석사항 95 제4절 분석 영역별 분석 결과 98 1. NQF 기본 체계 관련 영역별 분석 98 2. NQF 포함 자격 분야별 현황 분석 104 제5장 정책 제언_115 제1절 NQF 기본 체계 구축 관련 117 제2절 NQF 포함 자격 개선 관련 120 SUMMARY_123 참고문헌_135 부록_141 1. NQF 수준별 설명지표(level descriptor)(안) 사례 143 2. EQF 참조(Referencing) 과정을 위한 10개 준거 및 절차 147 3. EQF 고등교육 및 직업교육훈련 질 관리 기준 150 4. 설문조사지 151 5. NQF 적용 분야별 현황 자료 156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필요성을 기초로 하여 NQF를 도입하기 위한 절차와 내용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NQF를 적용하고자 하는 각 부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실제 NQF를 운영하게 될 경우 적용 대상 부문별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과 이를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Current 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 (NQF) has become a global phenomenon as it has been implemented or is under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in more than 155 nations. As South Korea is also one of the nations that prepare for NQF implementation, it is going under the process of NQF implementation as a part of government project to ‘create a competence based society, not on academic clique’.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re planning to build up NQF, ultimately until 2017, through demonstration projects by establishing ‘Basic Plan of 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 (2013.12)’. However, even though the purpose of NQF is respectable, if it is difficult to be absorbed by existing system or has some implementation limit, it is considered that its original policy goal cannot be fully achiev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have systematic examination and analysis about the foundation for NQF and the existing system. ...
<표 1-1> 설문조사 항목 8 <표 2-1> NQF와 EQF의 차이점 비교 32 <표 2-2> 아태지역 국가의 NQF 개발 현황 33 <표 2-3> 교육훈련 연계를 감안한 NQF 학점(Credit) 설정(안) 50 <표 2-4> NQF 관련 선행연구 결과 개요 53 <표 3-1> 신규직원 채용 시 고려 사항 65 <표 3-2> 신규직원 채용 시 고려 사유 67 <표 3-3> 신규직원 채용 시 직무능력 판단 가능 정도 68 <표 3-4> NQF에 대한 사전 인식 69 <표 3-5> NQF상 동일 수준에 대한 이해 71 <표 3-6> NQF 수준 표기의 필요성 72 <표 3-7> NQF의 신규직원 채용 시 도움 여부 74 <표 3-8> NQF 도입 시 주요 고려 사항(중복응답) 75 <표 4-1> NQF 구축 시 사전분석(preliminary analysis) 사항 89 <표 4-2> EQF 수준별 설명지표(descriptor) 구성 요소 93 <표 4-3> NQF 적용 기반 분석 영역 및 주요 분석 사항 97 <표 4-4> 중등교육단계 이후 학위, 졸업장, 자격증, 이수증이 발급되는 교육․훈련․자격․학점인정 주관기관 현황 106 <표 4-5> 기능·기술 분야 국가기술자격 검정기준 109 <표 4-6> 학교급별 교육목표 110 [그림 1-1] 연구 절차 9 [그림 2-1] 최적합 원칙에 따른 NQF 자격 배치 사례(1) 38 [그림 2-2] 최적합 원칙에 따른 NQF 자격 배치 사례(2) 39 [그림 2-3] 국가자격체계와 국내 자격 간의 연관관계(안) 44 [그림 2-4] KQF 구조(안) 45 [그림 2-5] 국가자격체제 수준체계(안) 46 [그림 2-6] 직무 수준과 국가자격체제(안) 수준 비교 47 [그림 2-7] NQF 도입 단계 48 [그림 2-8] 교육·훈련·자격 연계 NQF 모형(안) 49 [그림 2-9] 국가역량체계를 활용한 자격․교육훈련․현장경력 연계 방안 예시 52 [그림 3-1] 신규직원 채용 시 고려 사항 65 [그림 3-2] NQF에 대한 사전 인식 69 [그림 3-3] NQF상 동일 수준에 대한 이해 70 [그림 3-4] NQF 수준 표기의 필요성 72 [그림 3-5] NQF의 신규직원 채용 시 도움 여부 73 [그림 4-1] NQF 구축 절차 84 [그림 4-2] NQF 적용 기반 분석 영역 8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평생직업능력개발 촉진을 위한 국가역량체계(NQF) 운영 방안 | 2014.01.01~2014.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