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2014)

The Study of Korean Occupational Index (2014)
저자
한상근 김안국 정윤경 장혜정 장주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2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2.31
등록일
2015.05.1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직업지표의 구성 	 6
제3절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11
제2장 해외의 직업지표 현황_27
제1절  미국의 직업지표 사례 	 29
제2절  영국의 직업지표 사례 	 35
제3절  호주의 직업지표 사례 	 43
제4절  독일의 직업지표 사례 	 50
제5절  일본의 직업지표 사례 	 57
제6절  소결 	 67
제3장 한국의 기초 직업지표 분석_69
제1절  종합 기초 직업지표 	 71
제2절  영역별 직업지표 	 76
제3절  주요 영역 간 교차비교 	 90
제4절  10년 후의 직업전망 	 98
제5절  한국의 직업지표 추세와 변화 	 124
제6절  소결 	 156
제4장 직종별 특성 분석_159
제1절  관리 및 경영재무직 	 161
제2절  사회 서비스직 	 181
제3절  판매 및 개인 서비스직 	 202
제4절  엔지니어·건설·생산직 	 231
제5절  농림어업 관련직 	 239
제6절  소결 	 247
제5장 한국의 응용 직업지표 분석_249
제1절  숙련수준	 251
제2절  핵심역량	 261
제3절  직무만족도	 281
제4절  이직	 292
제5절  일‧가정의 균형	 299
제6절  장애인 적합정도	 309
제7절  단시간근무	 322
제8절  소결	 341
제6장 정책 제언_343
SUMMARY_371
참고문헌_375
부  록_383
<부록 1> 한국의 직업지표 개발을 위한 조사 설문지	 385
<부록 2> 설문조사 통계 자료 처리 절차	 393
<부록 3> 중분류 직업군에 따른 응답자 특성	 394
<부록 4> 기초 직업지표 주요 영역의 교차비교 결과	 400
<부록 5> 핵심역량 영역별 상·하위 직업	 415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직, 사회·판매 및 개인 서비스직, 농림어업직의 현직자와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직업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직업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한다. 
  둘째, 2013년과 2014년에 확보한 전체 직업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직업들의 현황과 10년 후 전망을 제시한다.  
  셋째, 양성평등, 단시간근무, 숙련수준, 직무만족도 등 직업과 관련된 쟁점을 분석하고, 정책 과제를 도출한다.
  넷째, 2007년 이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확보한 직업지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직업세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변화 추세를 파악한다.
  다섯째, 일반 국민들에게 직업의 현황과 전망을 소개하는 직업정보서로 『2014 한국의 직업지표』(연구자료)를 편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urth year of “The study of Korean Occupational Index (2011-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collect the data for analyzing Korean occupations by doing a occupational index survey of the working people who are in the position or the experts related to the occupations of social, sales and personal services, administrations, an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econd, to present the current state and after-10-year prospect of occupations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of Occupational Index. 
  Third, to analyze issues related to occupation, such as gender equality, short-time working, occupational complexity, and job satisfaction, and to draw policy tasks.   
  Fourth, to show the changing trend of the world of work by analyzing the research data of Korean Occupational Index started since 2007. 
  Fifth, to publish“2014 Korean Occupational Index”(sourcebook) as informational book for introducing the current state and the prospect of occupation to the people. ...
<표 1-1> 기초 직업지표의 항목별 가중치 	 8
<표 1-2> 응용 직업지표의 항목 	 10
<표 1-3> 한국 직업지표 개발을 위한 조사 대상 직업군 	 14
<표 1-4> 연차별 주요 연구 내용 	 18
<표 1-5> 한국의 직업지표 조사의 응답자 특성 	 22
<표 1-6> 한국의 직업지표 조사결과와 잡맵 조사결과의 기준 타당성 지수	 23
<표 1-7> 임금이 과대추정된 직업 	 24
<표 1-8> 임금이 과소추정된 직업 	 25
<표 2-1> 한국의 직업지표와 유사한 미국 사례 	 31
<표 2-2> 직업연봉 및 고용변화율 순위 	 32
<표 2-3> 복리후생의 하위 영역 및 세부내용 	 33
<표 2-4> GSS에 반영되는 발전가능성·직업전문성 관련 설문 및 척도 	           	 34
<표 2-5> 한국의 직업지표와 유사한 영국 사례 	 36
<표 2-6> 영국의 연령별 직업에서의 행복감(2012) 	 37
<표 2-7> 영국의 직업별 행복 여부(2012) 	 38
<표 2-8> 영국의 직업별 평균수입과 직업만족도(2014) 	 39
<표 2-9> NQF 수준별 직업 분류(2013) 	 40
<표 2-10> 영국의 NQF 수준별 임금 및 평균 초임 상위 직업(2013)	 41
<표 2-11> 한국의 직업지표와 유사한 호주 사례 	 43
<표 2-12> 호주의 직업 이미지 순위(2013년) 	 45
<표 2-13> 스킬수준 정의와 AQF 	47
<표 2-14> 한국의 직업지표와 유사한 독일 사례 	 50
<표 2-15> 직업 위세 순위 	 53
<표 2-16> 좋은 일 지수의 평가영역 및 세부항목 	 54
<표 2-17> 직종별 좋은 일 지수(2009년) 	 56
<표 2-18> 한국의 직업지표와 유사한 일본 사례 	 58
<표 2-19> 직업별 급여 수준 상위 30선 	 60
<표 2-20> 직업별 월 근로시간 및 연령, 근속 	 62
<표 2-21> 일내용과 급여 만족도 	 64
<표 2-22> 직장 및 노동환경 만족도 	 65
<표 3-1> 중분류 직업별 기초 직업지표(현재) 	 73
<표 3-2> 기초 직업지표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75
<표 3-3>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77
<표 3-4> 일자리수요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79
<표 3-5>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81
<표 3-6>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83
<표 3-7>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85
<표 3-8>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87
<표 3-9>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현재) 	 89
<표 3-10> 중분류 직업별 기초 직업지표(10년 후) 	 99
<표 3-11> 기초 직업지표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02
<표 3-12>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04
<표 3-13> 일자리수요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06
<표 3-14>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08
<표 3-15>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10
<표 3-16>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12
<표 3-17>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14
<표 3-18>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116
<표 3-19> 영역별 지표의 분포 추세와 변화 	 128
<표 3-20> 기초 직업지표가 지속적으로 상승 또는 하락하는 직업	 146
<표 3-21> 보상 지표가 지속적으로 상승 또는 하락하는 직업 	 147
<표 3-22> 일자리수요 지표가 지속적으로 상승 또는 하락하는 직업	 149
<표 3-23> 고용안정 지표가 지속적으로 상승 또는 하락하는 직업	 150
<표 3-24> 발전가능성 지표가 지속적으로 상승 또는 하락하는 직업	 151
<표 3-25> 근무여건 지표가 지속적으로 상승 또는 하락하는 직업	 153
<표 3-26> 직업전문성 지표가 지속적으로 상승 또는 하락하는 직업	 154
<표 3-27> 고용평등 지표가 지속적으로 상승 또는 하락하는 직업	 156
<표 4-1>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관리직) 	 164
<표 4-2>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관리직) 	 168
<표 4-3>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경영재무직)	173
<표 4-4>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경영재무직)	177
<표 4-5>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교육·연구·문화·예술 관련직)	 184
<표 4-6>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교육·연구·문화·예술 관련직)	 186
<표 4-7>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법률·경찰·소방·교도 관련직)	 191
<표 4-8>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법률·경찰·소방·교도 관련직)	 193
<표 4-9>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보건·복지 관련직)	 198
<표 4-10>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보건·복지 관련직)	 200
<표 4-11>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판매·운송 관련직)	 207
<표 4-12>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판매·운송 관련직)	 210
<표 4-13>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경비 및 청소 관련직) 	 216
<표 4-14>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경비 및 청소 관련직) 	 219
<표 4-15>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개인 서비스 관련직) 	 226
<표 4-16>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개인 서비스 관련직) 	 229
<표 4-17>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엔지니어·건설·생산직)	 235
<표 4-18>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엔지니어·건설·생산직)	 237
<표 4-19>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농림어업 관련직)	 243
<표 4-20>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농림어업 관련직) 	 245
<표 5-1> 해당 직업 입문에 필요한 기본 학력 	 254
<표 5-2> 필요숙련기간 상위 20개 직업 	 255
<표 5-3> 숙련지표 변수들과 직업지표 변수들의 상관관계 	 257
<표 5-4> 중분류 직업별 핵심역량의 평균 비교 	 264
<표 5-5> 중분류 직업에 대한 영역별 핵심역량의 평균비교 	 266
<표 5-6>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전반적 핵심역량의 차이 	 271
<표 5-7> 핵심역량과 직업지표와의 상관관계분석 	 277
<표 5-8> 핵심역량과 직업지표와의 회귀분석 	 278
<표 5-9> 핵심역량 항목과 단시간근무 항목과의 상관관계 	 280
<표 5-10>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전반적 직무만족도의 차이 	 282
<표 5-11> 중분류 직업군별 직무만족도 평균 비교 	 284
<표 5-12> 전반적 직무만족도 상·하위 20개 직업	 285
<표 5-13> 직무만족도와 기초 직업지표 세부 항목과의 상관관계 	 287
<표 5-14> 직무만족도와 응용 직업지표 세부 항목과의 상관관계 	 288
<표 5-15> 기초 직업지표 및 응용지표 세부항목과 직무만족도의 회귀분석             	 290
<표 5-16> 이직 상·하위 20개 직업	 294
<표 5-17> 이직에 영향을 주는 직업지표 	 297
<표 5-18> 중분류 직업군별 일·가정의 균형 평균 비교 	 301
<표 5-19> 일·가정의 균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	 302
<표 5-20>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일·가정의 균형 	 303
<표 5-21> 일·가정의 균형과 기초 직업지표의 상관관계	 305
<표 5-22> 일·가정의 균형과 응용지표와의 상관관계	 306
<표 5-23> 일·가정의 균형과 관련 변인들의 회귀분석 결과 	 307
<표 5-24> 장애유형별 적합 상위 직업(원점수 3점 이상) 	 312
<표 5-25> 장애인 적합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	 314
<표 5-26> 장애인 적합정도와 기초 직업지표 7개 영역의 상관관계	 315
<표 5-27> 장애인 적합정도와 기초 직업지표 세부 항목과의 상관관계 	 316
<표 5-28> 장애인 적합정도와 응용 직업지표와의 상관관계 	 318
<표 5-29> 직업지표 영역 변수가 장애인 적합정도에 미치는 영향 	 320
<표 5-30> 노동시간의 유연성 	 323
<표 5-31> 탄력적·선택적 노동시간제 	 325
<표 5-32> 주요 국가별 주당 평균 근로시간 	 326
<표 5-33> 단시간근무지표의 평균 비교 	 329
<표 5-34> 단시간근무 가능성 지표의 상·하위 20개 직업 	 331
<표 5-35> 근무시간 선택가능성 지표의 상·하위 20개 직업 	 332
<표 5-36>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단시간근무지표의 차이 	 334
<표 5-37> 단시간근무지표와 직업지표의 상관관계 	 337
<표 5-38> 단시간근무지표와 직업지표의 회귀분석 	 338
<표 6-1> 주요 선진국의 계속전문교육 의무시간 	 351
<표 6-2> 현생 근로기준법과 근로기준법 개정안 	 357
<표 6-3> 가족친화 프로그램의 유형(가족친화인증제도) 	 359
[그림 1-1] 한국의 직업지표 구성	 7
[그림 1-2] 본 연구의 연구 추진 단계	 12
[그림 1-3] 『2014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자료 직업설명 예시	 21
[그림 2-1] 직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의 비율(호주, 1985년-2013년)	 46
[그림 2-2] 직업군별 직업교육훈련 및 고등교육 자격의 취득 비율	 49
[그림 2-3] 직업별 신뢰의 추이	 66
[그림 3-1] 현재 보상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91
[그림 3-2] 현재 보상과 발전가능성의 교차비교	 93
[그림 3-3] 현재 직업전문성과 발전가능성의 교차비교	 95
[그림 3-4] 현재 직업전문성과 고용평등의 교차비교	 97
[그림 3-5] 10년 후 보상과 일자리수요의 교차비교	 117
[그림 3-6] 10년 후 보상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119
[그림 3-7] 10년 후 보상과 근무여건의 교차비교	 120
[그림 3-8] 10년 후 보상과 발전가능성의 교차비교	 122
[그림 3-9] 10년 후 일자리수요와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123
[그림 3-10] 기초 직업지표의 변화 추세 	 129
[그림 3-11] 보상 영역의 직업지표 변화 추세 	 132
[그림 3-12] 일자리수요 영역의 직업지표 변화 추세 	 133
[그림 3-13] 고용안정 영역의 직업지표 변화 추세 	 135
[그림 3-14] 발전가능성 영역의 직업지표 변화 추세 	 137
[그림 3-15] 근무여건 영역의 직업지표 변화 추세 	 139
[그림 3-16] 직업전문성 영역의 직업지표 변화 추세 	 141
[그림 3-17] 고용평등 영역의 직업지표 변화 추세 	 143
[그림 5-1] 필요숙련기간의 분포 	 254
[그림 5-2] 기술변화의 속도 분포 	 256
[그림 5-3] 근로형태별 근로자 구성(2014년 3월)	 32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2014) 2014.01.01~201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