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노동시장 이행 성과 분석

A Performance Analysis on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저자
김종우 김형만 주인중 최수정
분류정보
기본사업(2014-0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12.31
등록일
2015.06.2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마이스터고 졸업생노동시장 이행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3  
제2절 연구 내용5  
제3절 연구 방법6  
제2장 1차년도 조사결과 및 조사도구 설계 _11  
제1절 1차년도(2013년) 조사 개요13  
제2절 1차년도(2013년) 조사 주요 결과17  
제3절 1차년도(2013년) 조사결과 시사점 및 조사도구 설계25  
제3장 졸업생 및 기업체 조사 결과_31  
제1절 ’14.2 졸업생 조사 결과34  
제2절 ’13.2 졸업생 조사 결과64  
제3절 기업 담당자 조사 결과94  
제4장 연구의 요약 및 정책 제언_117  
제1절 연구의 요약119  
제2절 정책 제언131  
참고문헌_141  
부록_143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의 취업실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노동시장 이행 요인(이전, 이후)이 노동시장 정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노동시장 이행 실패 및 성공 요인을 밝혀 향후 기업선택 및 학교 취업지도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 이를 위해 2013~14년에 걸쳐 조사가 완료되었으며, 2015년도를 끝으로 3개년간의 조사가 완료됨. 다만 2015년도에는 정량적 지표를 통해 졸업생들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는 영역들에 대해서는 좀더 심층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 일부 영역은 면담조사를 병행하여 수행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음. 
<표 2-1> 2차 조사 설문지 구성	15
<표 2-2> 조사대상 개요	16
<표 2-3> 학력 및 스킬 불일치의 조합	20
<표 2-4> 조사 설문지 구성	29
<표 3-1> 응답자의 특성	35
<표 3-2> 진로선택과정	37
<표 3-3> 학교 입학 결정	38
<표 3-4> 학교 교육 만족도	39
<표 3-5> 학교 교육 만족도(’13.2 졸업생과 ’14.2 졸업생 차이)	40
<표 3-6> 기업의 규모에 따른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14.2 졸업생)	41
<표 3-7> 월평균 임금에 따른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14.2 졸업생)	42
<표 3-8> 업무 수행 유용도	43
<표 3-9> 업무수행 유용도(’13.2 졸업생과 ’14.2 졸업생 차이)	44
<표 3-10> 기업의 규모에 따른 업무 수행 유용도 차이(’14.2 졸업생)	44
<표 3-11> 월평균 임금에 따른 업무수행 유용도 차이(’14.2 졸업생)	45
<표 3-12>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일치도	47
<표 3-13>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만족도	49
<표 3-14> 직장에 대한 만족도	50
<표 3-15> 직장에 대한 만족도(’13.2 졸업생과 ’14.2 졸업생 차이)	51
<표 3-16> 기업의 규모에 따른 직장에 대한 만족도 차이(’14.2 졸업생)	51
<표 3-17> 월평균 임금에 따른 직장에 대한 만족도 차이(’14.2 졸업생)	53
<표 3-18> 군 입대 계획	55
<표 3-19> 제대 후 현 직장으로 돌아올 의향	56
<표 3-20> 현 직장 근무 계획	56
<표 3-21> 이직 계획	57
<표 3-22> 이직 계획 이유	58
<표 3-23> 기업의 규모에 따른 이직계획 분포	59
<표 3-24> 월평균 임금에 따른 이직계획 분포	59
<표 3-25> 학위 취득 계획	60
<표 3-26> 학위 취득 계획 이유	61
<표 3-27> 학위 취득을 고려하는 전공의 종류	61
<표 3-28> 학위 취득 방식	62
<표 3-29> 진학 대학의 유형	63
<표 3-30> 업무 수행 시 직업기초능력	63
<표 3-31> 응답자의 특성	64
<표 3-32> 재직 중 상태	65
<표 3-33> 실업상태	67
<표 3-34> 군복무 중이거나 예정인 졸업생의 휴직 상태 여부	67
<표 3-35> 군복무 중이거나 예정인 졸업생의 전역 후 계획	68
<표 3-36> 전역 후 기존 직장으로 돌아가지 않는 이유	68
<표 3-37> 기타상태	69
<표 3-38> 학교 교육 도움 정도	70
<표 3-39> 학교 교육 도움 정도(2013년-2014년 결과 차이)	71
<표 3-40> 기업의 규모에 따른 학교 교육 도움 정도 차이(2014년 결과)	72
<표 3-41> 월평균 임금에 따른 학교 교육 도움 정도 차이(2014년 결과)	73
<표 3-42> 학교 교육의 충분성	74
<표 3-43> 학교 교육의 중요도	75
<표 3-44> 학력 및 능력 수준 일치도	76
<표 3-45> 특성화고 및 전문대 졸업생 대비 역량 수준	77
<표 3-46> 직장에 대한 만족도	78
<표 3-47> 직장에 대한 만족도(2013년-2014년 결과 차이)	79
<표 3-48> 기업의 규모에 따른 직장 만족도 차이(2014년 결과)	79
<표 3-49> 월평균 임금에 따른 직장 만족도 차이(2014년 결과)	81
<표 3-50> 직장 내 고졸자에 대한 차별	83
<표 3-51> 직장 내 고졸자에 대한 차별 영역	84
<표 3-52> 군 입대 계획	85
<표 3-53> 제대 후 현 직장으로 돌아올 의향	86
<표 3-54> 현 직장 근무 계획	86
<표 3-55> 이직 계획	87
<표 3-56> 이직 계획 이유	87
<표 3-57> 기업의 규모에 따른 이직계획 분포	89
<표 3-58> 월평균 임금에 따른 이직계획 분포	89
<표 3-59> 학위 취득 계획	90
<표 3-60> 학위 취득 계획 이유	91
<표 3-61> 학위 취득을 고려하는 전공의 종류	91
<표 3-62> 학위 취득 방식	92
<표 3-63> 진학 대학의 유형	93
<표 3-64> 직업기초능력	93
<표 3-65> 응답자의 특성	95
<표 3-66> 마이스터고 졸업생 채용 여부	96
<표 3-67> 채용 이유(처음 채용)	96
<표 3-68> 채용 이유(2년 연속 채용)	97
<표 3-69> 올해 채용하지 않은 이유 	98
<표 3-70> 학교 교육 만족도	99
<표 3-71> 학교 교육 만족도(2013년-2014년 결과 차이)	99
<표 3-72> 기업의 규모에 따른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2014년 결과)	100
<표 3-73> 연 매출액에 따른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2014년 결과)	100
<표 3-74> 학교 교육의 질에 대한 인식	102
<표 3-75> 기업의 규모에 따른 학교 교육의 질에 대한 인식 차이(2014년 결과)	102
<표 3-76> 기업의 연 매출액에 따른 학교 교육의 질에 대한 인식 차이(2014년 결과)	103
<표 3-77> 학교 교육 개선점	104
<표 3-78>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일치도	106
<표 3-79> 학력 및 능력 수준에 대한 만족도	107
<표 3-80>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발전가능성	108
<표 3-81> 마이스터고 졸업생이 갖추어야 할 능력	108
<표 3-82> 향후 채용 계획	109
<표 3-83> 채용 계획 이유	110
<표 3-84> 채용 미계획 이유	111
<표 3-85>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적절한 군입대 시기에 대한 인식	112
<표 3-86> 졸업생의 경력개발 지원	113
<표 3-87> 졸업생의 현행능력수준	113
<표 3-88> 졸업생의 향후 보강이 필요한 능력	114
[그림 1-1] 연구의 모형	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노동시장 이행 성과 분석 2014.01.01~2014.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