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학습성과 표기 방안
Notation Plan of Learning Outcomes for Vocational Courses based on NCS
- 저자
- 전종호 김대영 추연우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4-3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4.10.20
- 등록일
- 2015.08.05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6 제3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7 제4절 연구의 범위 및 한계 10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관련 선행연구 분석_13 제1절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15 제2절 학습성과 평가 18 제3절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학습성과 평가 33 제3장 현황 분석_51 제1절 분석 개요 53 제2절 고등학교 학습성과 표기 관련 현황 54 제3절 전문대학 학습성과 표기 관련 현황 64 제4절 NCS 평가 방법 제시 현황 69 제4장 사례 분석_79 제1절 분석 개요 81 제2절 사례 1: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운영 사례 82 제3절 사례 2: 졸업생 인증제 운영 사례 105 제4절 사례 3: 국제 공동학위 및 자격과정 운영 사례 113 제5절 사례 4: 호주와 유럽 일부 국가의 직업교육훈련 평가 사례 120 제5장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학습성과 표기 방안_127 제1절 요구 분석 129 제2절 학습성과 표기 방안 143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_151 제1절 결론 153 제2절 정책 제언 155 SUMMARY_157 참고문헌_159 부록_169
본 연구의 목적은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해 직업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NCS 기반으로 개편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수요자인 기업이 신뢰하며 활용할 수 있고, 공급자인 직업교육기관이 효과적·효율적으로 도입하여 운영할 수 있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학습성과 표기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와 함께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서 연구 결과로 제시되는 방안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Learning Outcome Description Scheme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a consumer, i.e. a company can apply in confidence, and a supplier, i.e.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can introduce & operat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is being induced to be reorganized on the basi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hereinafter, referred to as 'NCS') in order to realize the competency-based society. This study set up its major object of this research with a specialized high school, Meister high school, and junior college, which are operated with focus on the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contents of learning outcome description scheme of NCS-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pinion supporting learning outcome description by correcting & supplementing a part of the present system was dominant, together with applications through separate development of a desirable form of system in the medium & long term. Second, it's necessary for a systematic, phased support policies( teachers' training, manual development & distribution, etc.)to back up such a desired purpose in order for evaluation and learning outcome description to be properly fixat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Third, this study found out that from the position of industries, they want a reliable, clear, concise description of learning outcome. It's because there existed an insurmountable limit in practically applying the complicated, strict evaluation and learning outcome description even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Fourth, it's necessary to gradually materialize the application plan in the light of the connection with the process evaluation-type qualification system, and general & particular research results of NCS-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s extra elements of school education.
<표 2-1>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 연구(총론) 요약 17 <표 2-2> 학습성과의 범위 19 <표 2-3> 평가시기에 따른 교육평가의 종류 28 <표 2-4> 참조준거에 따른 교육평가의 종류 29 <표 2-5> 수행평가의 장단점(구조화된 전통적 평가 방법과의 비교 중심) 33 <표 2-6> 지필평가의 장점 요인 비교 34 <표 2-7>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학습성과 평가 방법 도출(안) 38 <표 2-8> 학습성과 평가 방법별 평가 도구 예시 40 <표 2-9> 학습성과 평가 방법의 구체적 내용, 장단점 및 강점 요인 46 <표 3-1> 성취평가제 – 성취율 및 성취도 61 <표 3-2> 성취평가제 – 석차등급 및 석차누적비율 61 <표 3-3> A 전문대학 학업성적 등급, 배점, 평점 사례 67 <표 3-4> NCS 개발 매뉴얼의 평가 방법 71 <표 4-1> 양영디지털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사례 분석 83 <표 4-2> 충남기계공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사례 분석 85 <표 4-3> 광주공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사례 분석 87 <표 4-4> 부천대학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지원 사업 운영 사례 94 <표 4-5> 계명문화대학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지원 사업 운영 사례 96 <표 4-6> 백석문화대학교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지원 사업 운영 사례 97 <표 4-7> 수성대학교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지원 사업 운영 사례 98 <표 4-8> 동의과학대학 –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지원 사업 운영 사례 99 <표 4-9> 한국바이오마이스터고 졸업생 인증 영역 및 인증 기준 106 <표 4-10> ITEC 2수준 과정 유닛 구성 117 <표 4-11> ITEC 2수준 과정평가 현황 117 <표 4-12> 호주 훈련 패키지의 평가 요소 및 평가 기준 120 <표 4-13>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도제 훈련생 평가 비교 125 <표 4-14> 덴마크, 네덜란드, 영국 도제 훈련생 평가 비교 126 <표 5-1> 델파이 위원 구성 130 <표 5-2> 델파이 1차 조사 문항 131 <표 5-3> 델파이 2차 조사 문항 132 <표 5-4> 델파이 조사 결과-학습성과 표기 항목(안) 135 <표 5-5> 성취기준 표기 항목 관련 추가 고려사항 136 <표 5-6> 수행평가 점수 표기 항목 관련 추가 고려사항 137 <표 5-7> 성취도 표기 항목 관련 추가 고려사항 137 <표 5-8> 델파이 조사 결과-학습성과 표기 방법(안) 138 <표 5-9> 학습성과 표기 방법 관련 추가 고려사항 138 <표 5-10> 산업체 평가 관련 추가 고려사항 139 <표 5-11> 학습성과 평가 관련 추가 고려사항 140 <표 5-12> 능력단위 중심으로의 평가 전환 관련 추가 고려사항 141 <표 5-13> 평가 양식 개발 및 보급 관련 추가 고려사항 142 <표 5-14> 학습성과 표기 항목과 참고 사항 145 <표 5-15> 학습성과 표기 방법과 세부 내용 147 <표 5-16> 학습성과 표기 시기 14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학습성과 표기 방안 | 2014.04.21~2014.10.2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