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대학에서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 운영실태 분석 및 정책적 개선 방안

The Operation Condition Analysis and Political Improvement Plans of the Work-Based Learning and its Semester System in Junior Colleges
저자
김기홍 조희경 오병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4-35-01) , 이슈페이퍼(2014-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4.09.12
등록일
2015.08.05
주제어
전문대학, 현장실습, 실습학기제
Ⅰ. 문제 제기	2
Ⅱ. 이론적 배경: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에 대한 개요	3
Ⅲ.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 운영실태 조사 분석	7
Ⅳ. 정책 제언	20
Abstract	25
부록	28
참고문헌	34
  전문대학에서의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에 대해서는 「고등교육법」 제22조(수업 등)에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대학에서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가 만족할 만한 교육적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문대학의 교육기간이 짧아 이론교육과 현장실습교육을 잘 설계하지 않으면 단순한 현장체험의 수준을 넘어설 수가 없다. 또 산업체는 현장실습을 수업의 하나로 인식하기보다는 저임금 노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오해하고 조기에 요청하거나, 대학에서도 실습학기제를 취업의 형태로 인식하여 2학년 마지막 학기에 실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에서의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 인식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여기에는 대학차원, 산업체 차원, 정부 차원에서의 다양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Currently, the education of the junior colleges has problems: a lack of the role as a key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training of skilled-quality manpower; operation of the supplier-oriented curriculum; a lack of acceleration and diversification reflections of industrial structure. There is a need for Intensification in performing a key role as a further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fostering highly qualified professionals to meet acceleration of the industrial structure; operating NCS-based, industry demand-oriented curriculum; manpower fostering that medium- and long- term supply and demand were reflected; training field-centered education linked to a regional industry to foster a specialized college. To achieve this policy goal, it needs to break from fragmentary field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and intensify and substantialize education with a type of diverse work-based learning and its semester system linked, systematized with a theory-based lesson.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eek political improvement plans by conducting a detailed diagnosis and analysis on the operational condition and cases of the work-based learning and its semester system to contribute to college education by intensifying the industry field-oriented education to set up current junior colleges as a key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This research applied its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actual condition investigation, and expert conferences to produce objective and appropriate results.
...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전문대학에서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및 정책적 개선 방안 2014.05.28~2014.09.12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