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전공과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Post-secondary Vocational Program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저자
이지연 장주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15-3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0.30
등록일
2015.11.2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3
제2절 연구의 목적	 8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9
제4절 용어의 정의	 14
제5절 연구의 제한점	 17
제2장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전공과 운영의 개요_19
제1절 전공과 설치의 법적 근거 및 정체성	 21
제2절 전공과 현황	 25
제3절 전공과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관련 선행연구	 42
제4절 전공과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52
제3장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전공과 운영의 실태 분석_57
제1절 설문조사 개요	 59
제2절 설문조사 분석 결과	 69
제3절 현장방문 및 인터뷰 결과	 109
제4절 시사점	 121
제4장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전공과 운영 활성화 방안_125
제1절 전공과 운영 활성화를 위한 기본 방향	 127
제2절 전공과 운영 활성화 방안	 132
제3절 제언	 148
SUMMARY_154
참고문헌_157
부  록_161
1. 전공과 운영에 관한 법령 분류표	 163
2. 학교관리자 설문지	 171
3. 교사 설문지	 184
4. 학부모 설문지	 196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의 자립적인 생활과 원활한 취업으로의 연계를 도모하기 위해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에 설치된 전공과의 내실 있는 운영방안을 제안하고, 전공과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시점에서의 전공과 운영 모형을 진단하고,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한다.
  둘째, 내실 있는 전공과 운영을 위한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전공과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관련 이해관계자의 요구의견을 수렴한다.
  셋째, 현재 전공과 운영 모형에 기초하여 운영상의 문제점에 대응하며, 전공과의 역할과 목적에 부합한 방안을 제안한다.
  넷째, 전공과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전략과 지원체계 방안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post-secondary vocational program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both in special and general school. 
  For the purpo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ere used. For quantitative methodology, the survey instruments were developed for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and parents in three factors; input, process, and output based on the related legislation. The input factor wa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and the process and output factors were consisted with two and four categories respectively. This survey were conducted during 2 weeks(from September 2 to September 16, 2015) through e-mail and post with the support of the Ministry of Special Education Policy division to all schools both in special and general school where post-secondary vocational program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were running. A total number of 1,051(158 school administrators, 367 teachers, and 526 parents) from 88 schools were responded. For qualitative methodology, school visiting and face to face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four special schools and teachers for getting more detail information about how to improve the post-secondary vocational program for the future. ...
<표 1-1>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영역	15
<표 2-1> 전공과, 진로 및 직업교육 관련 법과 조항	22
<표 2-2> 2015년 기준 전공과 설치 학교 현황	25
<표 2-3> KECO 분류 기준에 따른 전공과 설치과정	27
<표 2-4> 전공과에 설치된 기타과정 분류	30
<표 2-5> KECO 분류 기준에 따른 장애유형별 특수학교 전공과 설치과정	33
<표 2-6> 장애유형별 특수학교 전공과에 설치된 기타 과정 분류	35
<표 2-7> 고등학교 특수교육 졸업생의 취업 현황(2010년, 2015년) 	36
<표 2-8> 전공과 졸업생의 취업 현황(2010년, 2015년)	38
<표 2-9> 전공과 졸업생의 고용방식	40
<표 2-10> 전공과 졸업생의 고용형태	41
<표 2-11> 전공과 졸업생의 급여 수준	42
<표 2-12> 선행연구에서 파악한 전공과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44
<표 3-1> 설문조사의 모집단	60
<표 3-2> 설문조사의 표본 집단	61
<표 3-3> 응답자의 일반적 현황	63
<표 3-4> 설문조사도구 구조	65
<표 3-5> 전공과 설치	71
<표 3-6> 전공과 학생 및 학급 구성	74
<표 3-7> 전공과 담당 교원 실태	77
<표 3-8> 전공과 시설 및 장비	79
<표 3-9> 전공과 지원행정	81
<표 3-10> 전공과 교육과정 운영	83
<표 3-11> 전공과 현장실습	86
<표 3-12> 전공과 취업	91
<표 3-13> 전공과 운영지원체제	94
<표 3-14> 전공과 학생의 졸업 후 진로관리	95
<표 3-15> 전공과 유관기관과의 협력	98
<표 3-16> 전공과 운영 관련 기타 요구의견	99
<표 3-17>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전공과 학생의 장애유형 비교	101
<표 3-18>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전공과 투입 관련 영역 비교	103
<표 3-19>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전공과 과정 관련 영역 비교	106
<표 3-20>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전공과 산출 관련 영역 비교	108
<표 3-21> 현장방문 특수학교 면담조사 대상자	109
<표 3-22> 인터뷰 조사항목 및 질문내용 	110
<표 4-1> 투입 단계의 전공과 활성화 방안	138
<표 4-2> 과정 단계의 전공과 활성화 방안	142
<표 4-3> 중증장애인 고용방법 및 내용	144
<표 4-4> 산출 단계의 전공과 활성화 방안	147
[그림 1-1] 전공과 운영 모형	5
[그림 1-2] 연구 절차, 내용 및 방법	10
[그림 1-3] 설문조사 도구 개발 과정	12
[그림 2-1] 전공과 설치과정 분석(KECO 중분류 기준)	31
[그림 2-2] 전공과 설치과정 분석(KECO 소분류 기분)	32
[그림 2-3]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전공과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1
[그림 3-1]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전공과의 설치 목적 비교	101
[그림 3-2]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전공과 학생의 장애정도 비교	102
[그림 3-3] 전공과 투입 관련 5개 영역(19개 요소) 비교	104
[그림 3-4] 경증장애학생의 중점적 교육과정	105
[그림 3-5] 중증장애학생의 중점적 교육과정	105
[그림 3-6] 전공과 과정 관련 2개 영역(14개 요소) 비교	106
[그림 3-7] 전공과 산출 관련 2개 영역(11개 요소) 비교	108
[그림 4-1] 전공과의 교육과정 내용(안)	129
[그림 4-2] 전공과 운영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체제로의 개편	132
[그림 4-3] ‘투입-과정-산출’ 단계별 주요 영역	133
[그림 4-4] 전공과 운영 활성화 방안	13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전공과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2015.06.01~2015.10.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