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정 연구
Research on the revision of the standard curriculum for career counselor training
- 저자
- 장현진 이종범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5-2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5.09.19
- 등록일
- 2015.12.22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용어 정의 9 제3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0 제4절 연구의 범위 16 제2장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제도 및 선행연구_17 제1절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관련 제도 19 제2절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내용 분석 31 제3절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교육과정 관련 선행연구 34 제4절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분석 및 역량분석 결과 고찰 38 제5절 시사점 41 제3장 표준교육과정 개정 요구: FGI 중심_47 제1절 기본이수과목에 대한 개선 의견 49 제2절 교과교육과목에 대한 개선 의견 53 제3절 선택과목에 대한 개선 의견 56 제4절 현장실습과목에 대한 개선 의견 60 제5절 표준교육과정 전반 및 과목 추가 의견 61 제6절 시사점 67 제4장 해외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교육과정 사례_73 제1절 미국 75 제2절 영국 86 제3절 프랑스 89 제4절 아일랜드 95 제5절 뉴질랜드 100 제6절 핀란드 105 제7절 덴마크 111 제8절 일본 116 제9절 시사점 122 제5장 표준교육과정 타당화 및 개정(안) : 델파이 조사 중심_133 제1절 표준교육과정 개정 방향 137 제2절 표준교육과정 검토 및 타당화: 제1차 델파이 조사 140 제3절 표준교육과정 검토 및 타당화: 제2차 델파이 조사 162 제4절 표준교육과정 개정안의 구성체계 184 제5절 표준교육과정 개정안의 교과목 프로파일 194 제6장 제언_215 제1절 표준교육과정 활용 관련 제언 217 제2절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222 SUMMARY_225 참고문헌_233 부 록_241 <부록 1> FGI 질문지 241 <부록 2> 델파이 조사 질문지 (제1차 조사) 244 <부록 3> 델파이 조사 질문지 (제2차 조사) 261 <부록 4> 제2차 델파이 조사 결과 292 <부록 5> 안선회 외(2015)의 직무분석 및 역량분석 결과 309 <부록 6> 델파이 조사 참여 협력진 315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의 개정(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제도 및 선행연구 분석 둘째, 진로진학상담교사 표준교육과정 개정에 관한 현장 요구 수렴 셋째, 해외 주요국의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교육과정 사례분석 넷째,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정(안) 개발 이 연구를 통하여 산출된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정(안)은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 및 운영하는데 있어서 기준과 지침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existing standard curriculum for career counselor training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collect opinions on necessary improvements and finally propose a revised standard curriculum for career counselor training with full justification. The standard curriculum for career counselor training consists of a set of basic subjects (or fields) that aspiring teachers should learn in order to obtain the certification of career counselor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the Certification of Teachers' Qualification. It also forms the foundation upon which training programs to certify the minor in career guidance are drawn. ...
<표 1-1> 심층그룹인터뷰 참석 대상자 구성 및 운영 방법 12 <표 1-2> 델파이 조사 대상(패널) 구성 15 <표 2-1> 진로진학상담교사 표시 과목별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 22 <표 2-2>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 변화(2011~2013) 25 <표 2-3> 진로진학상담교사 표준교육과정 변천 32 <표 2-4>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및 연수 관련 주요 선행연구 34 <표 2-5>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2015년 개정)의 대영역 및 중영역 37 <표 2-6>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데이컴 직무분석 결과 도출된 직무 39 <표 3-1> 기본이수과목 교과목명 및 비중 개선 의견 50 <표 3-2> 교직 및 학교현장실습 영역 교과목명 및 비중 개선 의견 54 <표 3-3> 선택과목 교과목명 및 비중 개선 의견 56 <표 3-4> 학교현장실습 영역 교과목명 및 비중 개선 의견 61 <표 3-5>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개선 의견 61 <표 3-6> 신규 교과목 및 내용 추가 의견 64 <표 3-7> 현행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선 의견 종합 68 <표 4-1> 미국 주별 학교상담가 배치 현황 76 <표 4-2> 학교 상담 모형의 영역과 지침 80 <표 4-3> 캘리포니아 주의 학교상담가 자격 요건 81 <표 4-4> 캘리포니아 주립대학(LA) 학교 상담 리더십 석사학위 교육과정 82 <표 4-5> 영국 진로개발기관(CDI)이 제시하는 학습모듈 및 목표 88 <표 4-6> 프랑스 진로 심리상담교사 활동 내용 91 <표 4-7> 프랑스 진로 심리상담교사자격시험 92 <표 4-8> 프랑스 진로 심리상담교사 양성과정 93 <표 4-9> 프랑스 진로 심리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의 평가 종류 94 <표 4-10> 아일랜드 진로지도상담가의 세부 역할 및 직무 96 <표 4-11> 더블린 시티 대학교 지도상담 석사학위 프로그램 교육과정 98 <표 4-12> 오클랜드 대학교 상담 이론 준석사 교육과정 104 <표 4-13> 핀란드의 진로교육 관련 인력 106 <표 4-14> 학교상담교사의 자격 요건 108 <표 4-15> 핀란드 학교상담교사 훈련과정 종합 109 <표 4-16> 핀란드 JAMK 대학교의 역량기반 상담교사 양성 교육과정 110 <표 4-17> 덴마크 진로교육 담당 인력의 학사학위 프로그램 구성 114 <표 4-18> 덴마크 진로교육 담당 인력의 석사과정 115 <표 4-19> 일본 교원 면허장 취득을 위한 조건 119 <표 4-20> 일본의 교직과목 최소 이수단위 119 <표 4-21> 신임 진로지도주사 연수 일정과 내용 사례 121 <표 4-22> 해외의 진로진학상담교사 명칭, 역할 및 고용 특징 종합 123 <표 4-23> 해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입직자격, 양성과정 및 기관 종합 125 <표 4-24> 해외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교육과정 종합 127 <표 5-1>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초안 예시 140 <표 5-2> 기본이수과목의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45 <표 5-3> 교직과목의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51 <표 5-4> 선택과목의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55 <표 5-5> 현장실습과목의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61 <표 5-6> 표준교육과정 개정(안) 1차에서 2차로의 변경 사항 162 <표 5-7> 기본이수 과목의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66 <표 5-8> ‘학교 진로교육 기획’ 과목명 투표 결과 169 <표 5-9> ‘교육 기회와 진학정보 탐색 지도’ 과목명 투표 결과 170 <표 5-10> ‘진로 심리 특성 이해와 검사도구 활용’ 과목명 투표 결과 171 <표 5-11> ‘학교 진로상담 이론과 실제’ 과목명 투표 결과 172 <표 5-12> ‘진로체험 운영과 지역사회 연계’ 과목명 투표 결과 172 <표 5-13> 교직과목의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74 <표 5-14> ‘진로진학상담교사론’ 과목명 투표 결과 176 <표 5-15> 선택과목의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79 <표 5-16> ‘진로학습 코칭’ 과목명 투표 결과 182 <표 5-17> 현장실습과목의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83 <표 5-18> 교원 양성 교과목체계에 따른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교육과정 185 <표 5-19> 진로진학상담교사 역할에 따른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교육과정 187 <표 5-20>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부전공자격 특별연수과정 편성(안) 예시 190 <표 5-21>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교육대학원 석사학위과정 편성(안) 예시 193 <표 5-22> ‘진로교육 개론’ 교과목 프로파일 194 <표 5-23> ‘학교 진로교육 기획 및 운영’ 교과목 프로파일 195 <표 5-24> ‘진로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교과목 프로파일 196 <표 5-25> ‘진로체험 운영과 지역사회 연계’ 교과목 프로파일 197 <표 5-26> ‘직업세계와 직업정보 탐색 지도’ 교과목 프로파일 198 <표 5-27> ‘교육 기회와 진학정보 탐색 지도’ 교과목 프로파일 199 <표 5-28> ‘진로 심리 특성 이해와 검사도구 활용’ 교과목 프로파일 200 <표 5-29> ‘학교 진로상담 이론과 실제’ 교과목 프로파일 201 <표 5-30> ‘진로진학상담교사론’ 교과목 프로파일 202 <표 5-31> ‘진로교육 교재론’ 교과목 프로파일 203 <표 5-32> ‘진로교육 교수 방법론’ 교과목 프로파일 204 <표 5-33> ‘진로교육 평가론’ 교과목 프로파일 205 <표 5-34> ‘학부모 진로교육 실제’ 교과목 프로파일 206 <표 5-35> ‘진로학습 코칭’ 교과목 프로파일 207 <표 5-36> ‘진로 취약 집단 진로지도 실제’ 교과목 프로파일 208 <표 5-37> ‘고용시장과 취업지도 실제’ 교과목 프로파일 209 <표 5-38> ‘입시제도와 진학지도 실제’ 교과목 프로파일 210 <표 5-39> ‘미래 사회와 진로교육’ 교과목 프로파일 211 <표 5-40> ‘진로교육 현장 연구 방법’ 교과목 프로파일 212 <표 5-41> ‘진로교육 현장실습’ 교과목 프로파일 213 [그림 1-1] 표준교육과정 개정 연구의 연구 내용 및 방법 10 [그림 2-1]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에 근거한 역할 기대 27 [그림 2-2] 진로상담 활동과 진로상담 관련 인적 구성 28 [그림 2-3] 진로진학상담교사와 학교 진로교육 관련 주체 간의 관계 29 [그림 4-1] 핀란드의 상담교사자격증 획득 경로 108 [그림 4-2] 덴마크의 학교 진로지도(진로교육) 내용 및 인력 112 [그림 4-3] 진로지도주사의 위치 117 [그림 5-1]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정(안) 도출 과정 136 [그림 5-2]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정안의 과목 구성체계 184 [그림 6-1] 표준교육과정 개정(안) 활용 흐름도 21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정 연구 | 2015.05.20~2015.09.19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