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임금체계 개편방안

Reform of Wage System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저자
정원호 김미란 노용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5-2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0.14
등록일
2015.12.28
요  약
제1장  서론_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선행연구 검토	7
제3절 연구의 내용	8
제4절 연구의 방법 	9
제2장  NCS의 개발ㆍ활용과 구조적 특성_13
제1절  NCS의 개발과 활용	13
제2절 NCS의 구조적 특성	24
제3장  임금체계의 현황과 개편의 필요성_39
제1절 임금체계의 개요	39
제2절 임금체계의 현황과 변천	43
제3절 연공급 체계의 한계와 개편의 필요성	50
제4절 연공급 체계 개편의 방향 	54
제4장  국내외의 임금체계 (개편) 사례_65
제1절 직무급 개편 사례: A사	65
제2절 직능급 개편 사례: B사	74
제3절 호주의 (N)CS와 임금체계	90
제5장  임금체계 개편에서 NCS 활용과 과제_101
제1절 직무급 개편에서 NCS 활용	101
제2절 직능급 개편에서 NCS 활용	108
제3절 임금체계 개편에서 NCS 활용의 한계와 향후 과제	111
Summary_115
참고문헌_119
부    록_123
[부록 1] NCS 사례 (인사)	125
[부록 2] NCS 직무기술서 사례 (인사기획)	133
[부록 3] A사 직무기술서 사례 (인사기획)	135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우선, 현 시기 우리나라 임금체계의 현황과 특징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그에 따라 왜 임금체계의 개편이 필요한지, 즉 임금체계 개편의 필요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어서 가장 핵심적인 목적은 임금체계의 개편 과정에서 NCS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The Park government has been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motivated by the national agenda of “a realization of a competence-based rather than a degree-based society.” So the government has completed the development of 797 NCS during 2013 and 2014, which the government is pushing ahead various initiatives in order to implement the NC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ET) and corporate HRM. In the midst of this, the government also announced plans for the NCS’ implementation in wage system reform during the second half of last year, but the specifics are yet to be determined. This study has revealed the need for a job-based and skill-based wage system to replace the current seniority-based wage system, and the goal is to examine ways in which the NCS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this purpose. ...
<표 2-1> 박근혜 정부 이전 NCS 개발의 주요 경과	14
<표 2-2> 박근혜 정부 이전 NCS 개발 현황	15
<표 2-3> 최근의 NCS 분류체계 변화 과정	17
<표 2-4> NCS 분류기준	26
<표 2-5> 2015년도 NCS 분류체계	27
<표 2-6> NCS 능력단위의 구성	29
<표 2-7> NCS의 수준체계	31
<표 3-1> 기본급의 유형과 변화	43
<표 4-1> B사 임금체계 변천사 개요	76
<표 4-2> AQF의 부문 및 수준체계	93
[그림 2-1] NCS 능력단위의 구성	30
[그림 2-2] 능력단위구조도	34
[그림 2-3] 평생경력개발체계도	34
[그림 2-4] 평생경력개발경로	35
[그림 3-1] 기본급의 유형과 변화	44
[그림 3-2] 세 가지 임금곡선: 2012년도 남자	46
[그림 4-1] A사의 직급체계	70
[그림 4-2] 직무중심 인사제도하에서의 보상체계	71
[그림 4-3] 급여밴드 관리	72
[그림 4-4] 기본급 인상률 matrix	73
[그림 4-5] 기본급 조정 예시(동일 밴드 내 인상 사례)	73
[그림 4-6] 기능직의 직능자격등급	8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임금체계 개편방안 2015.04.15~2015.10.14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