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정보서 발간 사업(2013-2017)

The Project for Pub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2013~2017)
저자
이지연 김나라 김민경 이윤진
분류정보
기본사업(2015-1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2.28
등록일
2015.12.30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특수교육대상학생진로정보서
요약
제1장 사업 개요_1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사업 내용 및 방법	7
제2장 2015 진로정보 개발을 위한 「사회서비스직」특징_13
  제1절「사회서비스직」개요 	15
  제2절「사회서비스직」장애인 노동시장 특징	22
  제3절「사회서비스직」장애 근로자 현황	31
  제4절 2015년 진로정보 개발에 주는 함의	 35
제3장 2015 사업 콘텐츠 개발 과정 및 결과물 발간_39
  제1절 2015년 진로정보 생성 접근 틀 	41
  제2절 2015년 진로정보 생성 과정	45
  제3절 2015년 진로정보서 발간	63
제4장 해외 주요국의 장애학생 진로정보 정책_77
  제1절 미국	79
  제2절 캐나다	119
  제3절 호주	126
  제4절 싱가포르 	138
  제5절 진로정보 사업에 주는 함의	153
제5장 사업 중간점검 및 정책제언_163
  제1절 사업 중간점검 및 향후 추진 방향 	165
  제2절 정책제언	178
SUMMARY_201
참고문헌_203
부  록_209
  1. 3차 연도(2015) 진로정보서 인쇄책자 예시	211
  2. 2015년 세미나 개최 보도자료 	212
  3. 3차 연도(2015) 인터뷰 동의서	216
  4. 기초연구 및 1~3차 연도 진로정보서 수록 120개 직업명 목록	217
  5. 기초연구 및 1~3차 연도 진로정보서 수록 120개 직업별 직장예절 유형별 목록	220
  6. 1차 연도(2013), 2차 연도(2014) 사업 성과물 	226
  본 사업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신뢰롭고 정확한 진로정보의 생성·보급·확산을 목적으로 한다. 이 사업은 또한 5개년(2013~2017)에 걸친 연속 사업으로, 연차적으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6개 대분류 직업별 30개 직업을 선정하여 진로정보를 생성하고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에 보급·확산을 목적으로 한다. 2015년은 3차 연도 사업으로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6개 대분류(① 관리직, ② 경영·재무직, ③ 사회서비스직, ④ 판매 및 개인서비스직, ⑤ 엔지니어·건설·생산직, ⑥ 농림어업직) 중 「사회서비스직」의 30개 직업을 선정하고, 교사와 학부모 대상의 진로정보서를 보급·확산하며, 해외 사례의 심층적 분석을 통해 특수교육 진로정보정책 발전의 시사점을 모색한다. 
  This is the third year project for the Publication of Career Inform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which is expected to be conducted from 2013 to 2017. Throughout the five years of the research, career information about thirty occupations will be developed year by year, based on the six major classifications of KECO(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 and consequently, career information of total 150 occupations will be chosen and developed. 
  The main purposes of this year were to develop the accurate and reliable career information to publish three kinds of career information related products on the “Social Service”. In addition, for dissemination and diffusion of the research outcomes, a seminar was held on 2nd of December, 2015 with more than 200 teachers and researchers at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selection of occupation to be included in 2015 Career Information Book, based on the 2014 survey results, total thirty occupations were chosen in the area of ‘Social Service’, and they were finally confirmed through researchers’ workshops and experts advisory meeting. Thirty occupations which 2015 Career Information Book includes were chosen according to following criteria: the easy job seeking occupations, the desirable occupations, and the challengeable but achievable occupations in the future from the view of students and teachers. 
  The Career Information Book cover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of thirty occupations. Several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in order to create quantitative information. For creating qualitative information such as required competences and current status of each occupation, task analysis, the interview and visitation were conducted with workers of thirty occupations. And It will be published both in paper and e-book. 
  Lastly, several policy suggestions were recommended for providing better career information to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f special schools based on the experience of long term research. In addition, research directions and guidelines for conducting next year project of 2016 were also suggested.
<표 1-1> 2013~2017년 진로정보 생성 전략을 위한 직업군	8
<표 1-2> 2015년 진로정보서 발간을 위한 연구협력진 구성	10
<표 2-1> 한국고용직업분류	16
<표 2-2> 한국고용직업분류상의 「사회서비스직」 직업	18
<표 2-3> 장애인 특성별 경제활동 현황 	24
<표 2-4> 장애인 취업자의 산업 구성비	26
<표 2-5> 「사회서비스직」 취업자 비중 	29
<표 3-1> 2015년도 진로정보 생성의 기본 방향	49
<표 3-2> 양적․질적 정보생성 항목, 내용 및 방법	51
<표 3-3> 1~3차 연도 진로정보서 삽화 디자인의 직업별 장애유형	62
<표 3-4> 3차 연도(2015) 진로정보서 포함 직업 및 조사 대상 직업인 특징	66
<표 3-5> 2015년 세부 진로정보 개발 내용 및 정보원 확정 	73
<표 4-1> Going to College: 대학 진학을 위한 정보	91
<표 4-2> 10대 장애학생의 진로 성공을 지원하는 투입 요소별 특징	93
<표 4-3> DO-IT 장애학생 진로정보와 관련된 프로그램	97
<표 4-4> 캘리포니아 주의 특수교육부 역할	102
<표 4-5> 캘리포니아 주의 특수학교 및 서비스부의 업무	103
<표 4-6> 캘리포니아 주 시각장애특수학교의 운영 목적	105
<표 4-7> 캘리포니아 청각장애특수학교 소개	106
<표 4-8> 캘리포니아 진단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108
<표 4-9> 캘리포니아 진단센터 소개	108
<표 4-10> 커리어캐스트 선정 10개의 미국 유망직업 	110
<표 4-11> 미국의 업무상 장애특성을 보조하는 보조기구 유형	114
<표 4-12> 카통중학교 직업교육 주요 내용	147
<표 4-13> 델타고등학교 직업교육 주요 내용	148
<표 5-1> 기초연구(2011~2012년) 및 1-3차 연도 진로정보서 사업의 내용 및 특징 비교 	168
<표 5-2> 장애유형에 따른 장애인 보조기구 필요/소지 비율 비교	195
<표 5-3> 2015년 장애 근로자 사업주의 정책제언 내용	198
[그림 1-1] 3차 연도(2015년) 사업 방법 및 주요 내용	12
[그림 2-1] 장애인 경제활동 현황	22
[그림 2-2] 성별 장애인 경제활동 현황	23
[그림 2-3] 장애인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	25
[그림 2-4] 장애인 취업자의 직업구성비	27
[그림 2-5] 장애인 임금근로자 인적구성 변화(2010~2014년)	32
[그림 2-6] 직장(일자리) 산업 구성비 및 ‘사업, 개인, 공공서비스 및 기타’ 분야의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주요 특성	34
[그림 3-1] 2015년 진로정보서의 생성에서 보급까지의 전체적인 접근 틀	42
[그림 3-2] 2015년 진로정보 생성 절차	46
[그림 3-3] 30개 직업 선정 7단계 과정	54
[그림 3-4] 직접적(질적) 자료 수집 및 정보생성 절차	55
[그림 3-5] 2015년 진로정보서 30개 직업 삽화디자인	62
[그림 3-6] 일러두기 예시	75
[그림 4-1] 장애인과 비장애인 고용 비율 비교(2008~2013년)	80
[그림 4-2] 장애인 근로자 산업별 종사 비율(2013년)	81
[그림 4-3] 장애인 근로자 직업별 종사 비율(2013년)	82
[그림 4-4] 장애인 근로자 고용에 따른 성별 비율(2013년)	83
[그림 4-5] 장애인 근로자 직업에 따른 성별 비율(2013년)	84
[그림 4-6] 장애유형별 전체 고용 현황(2012년)	85
[그림 4-7] 장애유형별 상시근로자 비율(2012년)	87
[그림 4-8] 미국 연방정부 교육부 조직도	89
[그림 4-9] 미국 연방정부 노동부 조직도	90
[그림 4-10] 10대 장애학생의 진로 성공 지원 요소	92
[그림 4-11] 10대 장애학생의 진로 성공을 지원하는 투입 요소	93
[그림 4-12] DO-IT Scholars 프로그램 일반적인 시간표	99
[그림 4-13] 캘리포니아 특수교육 서비스를 받고 있는 장애유형별    인구수(2013~2014년)	100
[그림 4-14] 캘리포니아 주정부 교육부 조직도	101
[그림 4-15] 캘리포니아 주 특수학교 체제	104
[그림 4-16] 미국 교육부의 보조공학 지원 전달체계	112
[그림 4-17] 호주의 장애출연율	127
[그림 4-18] 호주의 장애인 경제활동참가율	128
[그림 4-19] 호주의 장애인 고용률	129
[그림 4-20] 호주의 장애인 실업률	129
[그림 4-21]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 경로	140
[그림 4-22] SPED 특수교육과정체계	142
[그림 4-23] APSN 재단의 학교교육체계	145
[그림 4-24] 오픈도어 잡포털 사이트	151
[그림 4-25] 청각장애인 고용주를 위한 가이드북	153
[그림 5-1] 기초연구 및 1~3차 연도 진로정보서의 특징 비교	167
[그림 5-2] 향후 사업 추진 방향	178
[그림 5-3] 장애인 경제활동인구 구성 비교(2013~2014년)	181
[그림 5-4] 장애유형․장애정도별 근로시간 형태	184
[그림 5-5] 시간제 근무 사유	186
[그림 5-6] 15∼64세 과거 취업경험이 있는 장애인 실업자의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	187
[그림 5-7] 장애인 취업자의 근무 장소	188
[그림 5-8] 국가에서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해가장 먼저 해야 할 일	190
[그림 5-9] 장애인 근로자가 일터에서 느끼는 애로 사항	193
[그림 5-10] 장애인의 주요 취업경로 	194
[그림 5-11] 필요 장애인 보조기구를 구입하지 않는 이유	19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정보서 발간 사업(2013-2017) 2015.01.01~201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