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유망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인력 연구

A Study on Core Manpow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mising Service Industry
저자
박동 정향진 반가운 권우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5-0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0.31
등록일
2015.12.30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7
제2장 유망서비스산업의 선정과 핵심 인력의 정의_13
제1절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고용 현황과 문제점	15
제2절 유망서비스산업의 선정과 핵심 인력의 정의	27
제3절 유망서비스산업의 인력수요 전망	44
제4절 분석의 시사점	56
제3장 유망서비스산업 국제 비교 분석_59
제1절 유망서비스산업의 국제 비교를 위한 자료 매칭	61
제2절 유망서비스산업 국제 비교 결과 분석	64
제3절 분석의 시사점	82
제4장 유망서비스산업 노동시장 현황 및 정부정책 분석_85
제1절 유망서비스산업별 현황	87
제2절 유망서비스산업별 노동시장 현황과 전망	114
제3절 정부의 유망서비스산업 지원 정책 현황	120
제4절 분석의 시사점	132
제5장 유망서비스산업 핵심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_135
제1절 유망서비스산업 핵심 인력 양성을 위한 NCS 활용 필요성	137
제2절 유망서비스산업 선정 분야의 NCS 개발 현황	141
제3절 NCS 수준 체계를 활용한 핵심 인력 양성	144
제4절 분석의 시사점	157
제6장 유망서비스 사업체 실태조사 분석_161
제1절 조사 개요	163
제2절 실태조사 결과 분석	164
제3절 분석의 시사점	202
제7장 정책 제언_207
SUMMARY_217
부록_233
  본 연구는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기초하여 일자리 창출 및 성장잠재력 제고 효과가 높은 대표적인 고기술 분야의 유망서비스산업을 선정하고, 해당 산업에 대한 실태조사 및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통해 핵심 인력을 도출하며,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연계한 핵심 인력 양성 및 활용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유망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실질적 인력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importance of service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and a source of new jobs for youth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service industry consistently ranks as one of the lowest among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countries and the productivity of service industry relative to manufacturing is very poor compared to major countr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industry, more research is clearly necessary with regard to how to train and utilize core manpower who may be the foundation of the improved productivity through innovation in the promising high-tech service industry that has a great capacity to create jobs and improve growth potential.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manpower policy measur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mising service industry. Accordingly, we selected promising high-tech service industry, that has a great capacity to create jobs and improve growth potential, based on the Korean government’s Medium- and Long-term Manpower Supply and Demand Forecast in promising service industry. The core manpower was extracted through an investigation on actual conditions of and expert opinions about the promising service industry. A plan for core manpower training was suggested using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
<표 2-1> 시대별 서비스산업의 고용탄성치 변화 추이	15
<표 2-2> 서비스산업 유형분류(한국표준산업분류)	16
<표 2-3> 서비스업 업종별 취업자 변화 추이	17
<표 2-4> 서비스업 취업자의 성별, 연령별 비중(2013년)	20
<표 2-5> 서비스업 취업자의 학력별 비중(2013년)	22
<표 2-6> 서비스업의 고용 및 취업(유발)계수(2012년)	24
<표 2-7> 서비스산업의 실질부가가치 추이	30
<표 2-8> 서비스산업 인력수요 전망	32
<표 2-9> 서비스산업의 직업별 구성(2013년)	35
<표 2-10> 학력별 경력 연수 평균 분포(업종별)	43
<표 2-11> 유망서비스산업의 인력수요 전망	45
<표 2-12> 출판업의 직업별 인력수요 전망	48
<표 2-13>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의 직업별 인력수요 전망	49
<표 2-14> 방송업의 직업별 인력수요 전망	50
<표 2-15>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의 직업별 인력수요 전망	51
<표 2-16> 창작, 예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직업별 인력수요 전망	52
<표 2-17> 출판업의 학력별 인력수요 전망	53
<표 2-18>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의 학력별 인력수요전망	53
<표 2-19> 방송업의 학력별 인력수요 전망	54
<표 2-20>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의 학력별 인력수요 전망	55
<표 2-21> 창작, 예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의 학력별 인력수요 전망	55
<표 3-1> 서비스산업 국제 비교 매칭표	62
<표 3-2> 노동생산성 국제 비교 산업구분	63
<표 3-3> 2005년 기준 구매력평가지수(PPP) 및 대미환율	64
<표 3-4> 출판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환율 적용)	65
<표 3-5>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배급업 및 방송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환율 적용)	68
<표 3-6>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관리업 및 정보서비스업취업자당 노동생산성(환율 적용)	70
<표 3-7>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환율 적용)	72
<표 3-8> 출판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PPP 적용)	74
<표 3-9>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배급업 및 방송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PPP 적용)	76
<표 3-10>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관리업 및 정보서비스업취업자당 노동생산성(PPP 적용)	78
<표 3-11>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PPP 적용)	80
<표 4-1> 소프트웨어 품목분류 체계와 산업분류 체계	88
<표 4-2> 세계 주요국의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	92
<표 4-3> 콘텐츠산업 분류 체계	101
<표 4-4> 세계 콘텐츠 시장의 분야별 규모 및 전망	106
<표 4-5> 세계 주요국의 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	107
<표 4-6> 우리나라 콘텐츠산업의 부문별 수출액 현황	111
<표 4-7> 우리나라 콘텐츠산업의 매출액 규모별・부문별 사업체 수현황(2013년 기준)	113
<표 4-8>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산업의 채용 및 퇴직 현황(2013년 기준)	115
<표 4-9>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산업의 전문 인력 수급 전망	116
<표 4-10> 우리나라 문화콘텐츠산업의 인력수급 전망	118
<표 4-11> 문화콘텐츠 관련 전공 신규 배출 인력 수급차 전망	119
<표 5-1> NCS 관련 국정과제 및 인력 유형	139
<표 5-2> 유망서비스산업 선정 분야 해당 NCS	141
<표 5-3> 유망서비스산업 선정 분야 NCS 분류명, 세분류 및 능력단위(개수)	143
<표 5-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수준 체계	145
<표 5-5> 문화예술경영 관련 인력 양성 및 종사자 현황(2014년 기준)	148
<표 5-6> 실용예술 관련 인력 양성 및 종사자 현황(2014년 기준)	149
<표 5-7> 공연예술 관련 인력 양성 및 종사자 현황(2014년 기준)	150
<표 5-8> 문화재관리 관련 인력 양성 및 종사자 현황(2014년 기준)	151
<표 5-9> 디자인 관련 인력 양성 및 종사자 현황(2014년 기준)	151
<표 5-10> 문화콘텐츠제작 관련 인력 양성 및 종사자 현황(2014년 기준)	152
<표 5-11> 영상제작 관련 인력 양성 및 종사자 현황
(2014년 기준)	154
<표 5-12> 정보기술 전략・계획 관련 인력 양성 및 종사자 현황(2014년 기준)	154
<표 5-13> 정보기술개발 관련 인력 양성 및 종사자 현황(2014년 기준)	155
<표 5-14> 정보기술운영 관련 인력 양성 및 종사자 현황(2014년 기준)	156
<표 5-15> 정보기술관리 관련 인력 양성 및 종사자 현황(2014년 기준)	156
<표 5-16> 정보기술영업 관련 인력 양성 및 종사자 현황(2014년 기준)	157
<표 6-1> 조사설계 개요	164
<표 6-2> 현재 직장 주요 업종	165
<표 6-3> 유망서비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수준에 대한 영향 요인	201
[그림 1-1] OECD 국가의 서비스산업 부가가치 비중(2012년)	5
[그림 1-2] 연구 추진 흐름도	11
[그림 3-1] 2009년도 출판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환율 적용)	66
[그림 3-2] 2010년도 출판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환율 적용)	67
[그림 3-3] 2009년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배급업 및 방송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환율 적용)	69
[그림 3-4] 2010년도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배급업 및 방송업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환율 적용)	69
[그림 3-5] 2009년도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관리업 및 정보서비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환율 적용) 	71
[그림 3-6] 2010년도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관리업 및 정보서비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환율 적용)	71
[그림 3-7] 2009년도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취업자당노동생산성 비교(환율 적용)	73
[그림 3-8] 2010년도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환율 적용)	73
[그림 3-9] 2009년도 출판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PPP 적용)	75
[그림 3-10] 2010년도 출판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PPP 적용)	75
[그림 3-11] 2009년도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배급업 및 방송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PPP 적용)	77
[그림 3-12] 2010년도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배급업 및 방송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PPP 적용)	77
[그림 3-13] 2009년도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관리업 및 정보서비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PPP 적용)	79
[그림 3-14] 2010년도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관리업 및 정보서비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PPP 적용)	79
[그림 3-15] 2009년도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PPP 적용)	81
[그림 3-16] 2010년도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PPP 적용)	81
[그림 3-17] 한국의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격차	82
[그림 3-18] 2012년 서비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 비교(PPP 적용)	83
[그림 4-1]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의 규모 및 추이	90
[그림 4-2] 세계 소프트웨어 시장의 부문별 규모 및 추이	91
[그림 4-3]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산업의 생산액 규모 및 추이	93
[그림 4-4]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산업의 부문별 생산액 규모 및 추이	94
[그림 4-5]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산업의 연도별 수출액 규모 및 추이	95
[그림 4-6] 2013년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산업의 권역별 수출액 및 비중	96
[그림 4-7]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기업 수 추이	97
[그림 4-8]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산업 매출 규모별 기업 수(2013)	98
[그림 4-9]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산업의 부가가치율	99
[그림 4-10] 세계 콘텐츠 시장의 규모 및 추이	105
[그림 4-11] 우리나라 콘텐츠산업의 매출액 규모 및 추이	108
[그림 4-12] 우리나라 콘텐츠산업의 부문별 매출액 규모와 비중	109
[그림 4-13] 우리나라 콘텐츠산업의 연도별 수출액 규모 및 추이	110
[그림 4-14] 우리나라 콘텐츠산업 사업체 수 추이	112
[그림 4-15] 우리나라 콘텐츠산업의 부문별 부가가치액 비중(2013년 기준)	114
[그림 4-16]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산업의 종사자 수 추이	115
[그림 4-17] 우리나라 콘텐츠산업의 종사자 수 추이	118
[그림 4-18] 소프트웨어 혁신 전략의 비전과 추진 전략	121
[그림 4-19] 소프트웨어 혁신 전략의 기대 효과	125
[그림 4-20] 제2차 콘텐츠산업 진흥계획(2014~2016)의 비전과 전략	127
[그림 4-21] 제2차 콘텐츠산업 진흥계획(2014~2016)의 과제별 소요 예산	130
[그림 4-22] 2015 콘텐츠산업진흥 시행계획의 기본 방향	131
[그림 6-1] 해당 산업 분야가 겪고 있는 어려움	167
[그림 6-2] 해당 산업의 경쟁력이 낮은 이유	168
[그림 6-3] 해당 산업의 갑을관계 폐해	170
[그림 6-4] 다단계 하청구조 개선을 위한 필요사항	171
[그림 6-5] 해당 산업의 원청기업 횡포 행태	172
[그림 6-6] 해당 산업의 전문 인력 부족 수준	173
[그림 6-7] 해당 산업의 인력 미유입 이유	174
[그림 6-8] 해당 산업의 이직률 수준	176
[그림 6-9] 해당 산업의 이직률이 높은 이유	177
[그림 6-10] 신입의 바람직한 경력 취득 경로	178
[그림 6-11] 해당 산업 분야의 창조적 아이디어의 필요성	180
[그림 6-12] 우리 사회의 창조인재 양성 수준	181
[그림 6-13] 대학의 중장기적 창조인재 양성 수준	182
[그림 6-14] 정부의 중장기적 창조인력 양성을 위한 제도적 지원 수준	183
[그림 6-15] 해당 산업 분야의 핵심 인력 양성 방안	184
[그림 6-16] 이공계 유인 방안	185
[그림 6-17] 신규 대졸자 직무능력 수준	186
[그림 6-18] 신규 대졸자 현장 적응성	187
[그림 6-19] 낮은 현장성 개선 방안	188
[그림 6-20] 대학 교육 내용의 산업수요 반영 수준	188
[그림 6-21] 대학 교육 현장 적합도 제고 방안	189
[그림 6-22] 해당 산업의 산학 협력 수준	190
[그림 6-23] 정부의 개입이 산업 발전에 미치는 도움 정도	191
[그림 6-24] 노임단가표 제도 폐지의 정책 실효성 제고 영향	192
[그림 6-25] 게임이 해로운 것이라는 주장에 대한 의견	193
[그림 6-26] 정부의 ‘창조산업 육성사업’이 산업 발전에 미치는 도움 정도	194
[그림 6-27] 창조경제 정책의 실효성 제고 방안	195
[그림 6-28] 해당 산업 발전 수준이 시장 포화상태라고 평가되는 이유	197
[그림 6-29] 해당 산업의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역할	199
[그림 6-30] 신규 사업 아이템 확보 방안	20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유망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인력 연구 2015.01.01~2015.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