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지역-대학 상생의 인력양성 지원체계 구축 방안

Building Strategies of HRD Support System through a link between Region and University
저자
전재식 김봄이 남기곤 이희수
분류정보
기본연구(2015-26)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0.15
등록일
2015.12.30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문제의 제기	3
제2절 연구 목적 및 분석 틀	5
제3절 연구 내용 및 보고서 구성	7
제2장  지역-대학 간 인력 양성・활용과 미스매치_11
제1절 지방대학의 인력양성과 미스매치	13
제2절 지역인재의 활용과 미스매치	29
제3절 지역사회와 지방대학 간 미스매치	35
제3장  지역-대학 연계 인력양성 정책 및 사업 현황_43
제1절 정부의 지역-대학 인력양성 지원정책 추진 경과	45
제2절 정부의 지역-대학 인력양성 지원사업 현황	53
제4장  지역-대학 연계 활성화를 통한 지방대학 지원 추진전략_69
제1절 기본방향	71
제2절 정부의 지역사회-지방대학 연계 지원 추진 방안	77
제5장  지역-대학 간 바람직한 역할 및 기능 분담_117
제1절 지역-대학 인재육성 네트워크 구축	119
제2절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한 네트워크 구축	123
제6장  요약 및 결언_127
제1절 연구 요약	129
제2절 결론 및 향후 과제	134
SUMMARY_137
참고문헌_141
인용통계_142
기타 참고자료_143
  본 연구는 지역-대학 간 연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역산업이 요구하는 인력양성 지원체제 구축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하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지역-대학-산업이 원활한 연계체계를 갖추기 위한 정책 방향 및 세부 방안을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velop a support system for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needs of local industry through a link between region and university. Concretely, it proposed the policy directions and detailed plans to set the smoothly linking system for regions-universities-industries. Also, the study had a purpose to support “support for the promotion of local universities and local human resources” by government. It was legislated the 「Law on the Promotion of Local Universities and Local Human Resources」 as a local universities support comprehensive plan on January 2014. And, it is being established 「the Promotion of Local Universities and Local Human Resources master plan」 as a follow-up action. ...
<표 2-1> 지역별 인구변화 : 15~19세 	15
<표 2-2> 학령인구 감소와 입학정원 변화 예측	17
<표 2-3> 지역별 인구 1,000명당 고등교육기관 학생 수	19
<표 2-4> 전임교원 1인당 연구 관련 비교(일반대학 기준)	23
<표 2-5> 학생 1인당 교육비 비교 	24
<표 2-6> 학생 1인당 대학 시설・설비 비교	24
<표 2-7> 해외대학 교류 실적: 수도권/지방 비교	28
<표 2-8> 어학연수 경험 및 어학성적 비교	29
<표 2-9> 지역별 취업률 및 대기업 취업률 	30
<표 2-10> 대졸자의 월평균 임금 수준	30
<표 2-11> 지역별 대학→직장 소재지 변화	31
<표 2-12> 출신대학 지역과 첫 직장 및 현 직장 지역의 일치율	34
<표 2-13> 미국 일리노이 주의 ‘커뮤니티 아웃리치 파트너십 프로그램’ 사례	41
<표 3-1> 정부의 ‘지방대학 지원 확대’를 위한 5대 중점과제 주요 내용	47
<표 3-2>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	50
<표 3-3> 지역인재 선발 권역 및 선발 비율	51
<표 3-4> 지방대학 육성을 위한 특성화 전략 지도	52
<표 3-5> 부처별 지역-대학 인력양성사업 개요	56
<표 4-1> 정책영역별 세부 과제 설정	76
<표 4-2> 외국인 유학생 유치 우수사례	80
<표 4-3> 선도연구센터 분야별 사업목적	82
<표 4-4> 국가장학금 2유형 학생선발 가이드라인	85
<표 4-5>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 우수사례 	88
<표 4-6> 지방대학의 한국형 교육 ODA 발굴 사례	90
<표 4-7> 일·학습 병행 추진 경과	92
<표 4-8> 이전 공공기관 관련 협력체계 구축 사례	95
<표 4-9> 고교-전문대 연계 해외사례	99
<표 4-10> 산학맞춤 기술인력 양성사업별 지원내용	101
<표 4-11> 지역별 특화산업 현황	110
<표 4-12> 지역별 63개 주력산업 분야 현황	110
<표 4-13> 지역별 스토리랩 프로그램 운영 실적 현황	115
[그림 1-1] 연구 분석 틀 설정	6
[그림 2-1] 지역별 대학 수 및 졸업생 수 분포(2014년 기준)	13
[그림 2-2] 인구의 비수도권→수도권 순유입 규모	14
[그림 2-3] 유소년 및 학령(6~21세)인구 변화 	16
[그림 2-4] 지역별 고등교육기관당 평균 17세 인구수	18
[그림 2-5] 수도권-비수도권대학 간 성과 비교	21
[그림 2-6] 지역별 인구 규모 변화 : 30~69세	25
[그림 2-7] 지역별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	26
[그림 2-8] 외국인 유학생 유치 실적 통계	27
[그림 2-9] 지역별 미충원율	32
[그림 2-10] 지역별 전공-직업 일치도 	33
[그림 2-11] 지역별 학교교육 현장적합성	35
[그림 2-12] 지역별 경제 여건 분포	36
[그림 2-13] 지역별 대기업 및 벤처기업 분포 	37
[그림 2-14] 지역별 문화공연시설 분포	37
[그림 2-15] 과거 지역격차와의 인식 비교	38
[그림 3-1] 지방대학 경쟁력 제고를 통한 창의적 지역인재 육성 방안 추진	48
[그림 3-2] 부처별 지역-대학 인력양성 지원사업 현황	55
[그림 3-3] 정책영역별 정부의 지역-대학 인력양성 지원사업 현황	63
[그림 3-4] 부처별 지역-대학 인력양성 지원사업 예산 규모	64
[그림 4-1]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에 따른 악순환 구조	71
[그림 4-2] 지방대학・지역인재 선순환 구조 	72
[그림 4-3] 추진체계도	74
[그림 4-4] 성인학습자 친화적 지방대학 개편체계	79
[그림 5-1] 중앙-지방 간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체계도	120
[그림 5-2] 지방 자율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체계도	122
[그림 5-3]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중심의 인력관리체계	123
[그림 5-4]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 전담 대기업 및 산업 분야	12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지역-대학 상생의 인력양성 지원체계 구축 방안 2015.04.16~2015.10.15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