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후진학 계속교육 수요조사 및 장·단기 발전 방안

The Demand Survey and the Short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 of College of Further Education
저자
김기홍 강일규 이수경 허영준 조희경
분류정보
기본연구(2015-1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0.30
등록일
2015.12.30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8
제3절 연구 방법	10
제2장 후진학 계속교육 관련 연구 및 정책 동향 분석_15
제1절 후진학 계속교육 관련 선행 연구 분석	17
제2절 후진학 계속교육 수요 전망의 중요성과 특성	21
제3절 후진학 계속교육 정책 동향 분석	28
제4절 논의와 시사점	58
제3장 후진학 계속교육 수요조사 분석_67
제1절 후진학 계속교육에 대한 재직근로자 수요 분석	69
제2절 후진학 계속교육에 대한 산업체 수요 분석	215
제3절 후진학 계속교육 담당 교수와 참여 학생에 대한면담조사 분석	259
제4절 논의와 시사점	284
제4장 후진학 계속교육 수요 및 질 관리 확보를 위한 장・단기 발전 방안_301
제1절 후진학 계속교육 수요 및 질 관리 확보를 위한 장·단기 발전 방향	303
제2절 후진학 계속교육 수요 및 질 관리 확보를 위한장·단기 발전 방안	309
제3절 추진 주체별 정책 방안	328
제4절 결론 및 제언	329
SUMMARY_333
참고문헌_339
부록_343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과 정당성에 기초하여 후진학 계속교육의 주 대상자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교육수요를 정밀 진단하고, 실태 및 요구 조사를 통하여 재직근로자가 원하는 후진학 유형별 계속교육 수요를 파악하여 장·단기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진학 계속교육 제도에 대한 정책적 변화 추이를 진단하고, 후진학 계속교육 수요조사의 중요성과 한계성을 진단하는 데 있었다.
  둘째,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현황 분석과 문제점을 진단하는 데 있었다.
  셋째,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주체인 재직근로자와 산업체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참여 수요와 원하는 교육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교수와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제도 발전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넷째, 후진학 계속교육 제도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 장?단기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ccording to the pre-employment·post-entrance into a college support policy the portion of employ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is on the rise. Nevertheless, their desire for entrance to college after employment remains unaba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a policy that expands opportunity for college of further education, most of junior colleges, four-year universities and cyber universities including the air and correspondence college provide college of further education such as contract departments, special admission for incumbent workers and industrial consignment education. Operating colleges and entrance quota for college of further education are recently sharply growing but substantial educational needs do not meet the circumstances. And demand survey on college of further education of incumbent workers form specialized high school or meister high school, the main object of the pre-employment·post-entrance into a college support policy remains unfulfilled. It is important to secure sustainable demand of incumbent workers involving in college of further education to invigorate college of further education, and it needs to establish a system for securement of quality management so that they can supply college of further education that secure the opening of the departments considering regional condition that they desire and the educational quality of the departments. The research aims to and present short and long term development plan by conducting the detailed analysis of educational demand on college of further educ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or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and grasping demand by type of college of further education that incumbent workers desire through actual state and needs investigation based on such necessity and legitimacy. Also the research methods to draw objective and valid results include literature research, field interviews and expert councils.
<표 1-1> 조사 내용	12
<표 2-1> 산업체 위탁교육의 추진 경과	30
<표 2-2> 연도별 산업체 위탁교육 실시 현황	32
<표 2-3> 2014, 2015년 산업체 위탁교육 등록인원	33
<표 2-4> 계약학과 제도의 추진 경과	37
<표 2-5> 계약학과 제도의 주요 내용	39
<표 2-6> 2014년 전체 계약학과 설치 현황	40
<표 2-7> 전년 대비 현황	41
<표 2-8> 연도별 추이	42
<표 2-9> 2014년 계약학과 계열별 현황	42
<표 2-10> 재직자 특별전형 운영 현황	49
<표 2-11> 연도별 등록률 현황	49
<표 3-1> 조사 대상의 성별, 졸업학교 유형, 전공계열	70
<표 3-2> 조사 대상의 졸업연도	71
<표 3-3> 조사 대상의 학과(전공)	72
<표 3-4> 재직회사의 특성	73
<표 3-5> 재직회사의 규모	75
<표 3-6> 조사 대상의 근무형태	76
<표 3-7> 조사 대상의 주간 실제 근무시간	77
<표 3-8> 월 평균 임금(세금 공제 후)	79
<표 3-9> 재직회사의 고용안정도	81
<표 3-10> 재직근로자의 전공과 직무와의 연관성	83
<표 3-11> 재직근로자의 직무에 대한 전공의 도움 정도	86
<표 3-12> 현재 직무가 전공과 관계없음에도 계속 근무하는 주된 이유	88
<표 3-13> 직무(일)의 내용과 학력 수준의 적합도	90
<표 3-14> 후진학 계속교육에 대한 인지 여부	93
<표 3-15> 재직자 특별전형(과정)에 대한 인지 여부	94
<표 3-16> 계약학과에 대한 인지 여부	95
<표 3-17> 산업체 위탁교육에 대한 인지 여부	97
<표 3-18> 학점은행제에 대한 인지 여부 	99
<표 3-19> 후진학 계속교육에 대한 필요도	101
<표 3-20> 고용안정도에 따른 후진학 계속교육에 대한 필요도	103
<표 3-21> 고졸 취업자의 후진학 계속교육에 대한 향후 3년간 수요 증가 정도	105
<표 3-22> 향후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의향	107
<표 3-23> 고용안정도에 따른 후진학 계속교육에 대한 참여 의향	109
<표 3-24> 향후 학위취득을 위한 후진학 계속교육에 참여를 원하지 않는 이유	111
<표 3-25> 애로 사항이 해결될 경우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의향	113
<표 3-26> 재직회사의 정기적인 교육훈련 등의 과정 제공(지원) 정도	116
<표 3-27> 후진학 계속교육을 받기 원하는 이유	119
<표 3-28> 후진학 계속교육의 참여 효과	123
<표 3-29> 후진학 계속교육 진학 시 희망 대학 유형	126
<표 3-30>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희망하는 프로그램 유형	129
<표 3-31>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희망 시기	131
<표 3-32> 계속교육 참여 시 희망하는 학위 정도	133
<표 3-33>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 	135
<표 3-34>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회사의 허락 가능성	138
<표 3-35>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회사의 지원 가능성	141
<표 3-36> 현재 여건에서 고졸 취업자의 직장생활과 대학교육 병행 기회 정도	144
<표 3-37> 현재 여건에서 직장생활과 대학교육 병행에 대한 어려움 정도	147
<표 3-38> 직장생활과 대학교육 병행 시 예상되는 주된 어려움 	150
<표 3-39>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납부 가능한 등록금 범위	153
<표 3-40>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희망 학과(전공) 	154
<표 3-41>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희망 계열	156
<표 3-42> 희망한 학과(계열)를 선택하려는 가장 중요한 이유	158
<표 3-43> 희망 학과와 고등학교 때 전공과의 일치도	161
<표 3-44> 희망 학과와 현재 직무와의 일치도	164
<표 3-45> 희망 학과에서 배우고 싶은 교육내용	167
<표 3-46> 희망 계열 또는 학과(전공) 선택 시 중요도	169
<표 3-47> 희망 학과 선택 시 교양교과 교육 내용 및 수준의 중요도	171
<표 3-48> 희망 계열 또는 학과(전공) 선택 시 전공교과 교육 내용 및 수준의 중요도	174
<표 3-49> 학과의 교육시설, 장비, 기자재의 중요도	176
<표 3-50> 교수진의 중요도	179
<표 3-51> 대학의 행정지원 및 편의시설의 중요도	181
<표 3-52> 교육 운영시간의 중요도	184
<표 3-53> 이론·실습 비중의 중요도	186
<표 3-54> 출석수업 비중의 중요도	189
<표 3-55> 후진학 계속교육 시 적합한 재정지원 정도	191
<표 3-56>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희망하는 수업시간	192
<표 3-57>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희망하는 수업시간 ①	194
<표 3-58>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희망하는 수업시간 ②	196
<표 3-59>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희망하는 수업시간 ③	198
<표 3-60>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희망하는 정부 차원의 지원	201
<표 3-61>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희망하는 소속 산업체의 지원	205
<표 3-62>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시 필요한 대학의 지원	209
<표 3-63> 후진학 계속교육을 위해 희망하는 기타 지원(n=49)	211
<표 3-64> 후진학 계속교육을 통한 학위취득 시 승진 또는 연봉 인상 등에 대한 기대 	213
<표 3-65>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	215
<표 3-66> 학교급별 졸업생에 대한 향후 3년간 인력수요 	217
<표 3-67> 특성화고(구 전문계고) 졸업생에 대한 향후 3년간 인력수요 	218
<표 3-68> 2년제 전문대학에 대한 향후 3년간 인력수요 계획	220
<표 3-69> 4년제 대학에 대한 향후 3년간 인력수요 계획	222
<표 3-70> 최근 3년간 신입사원의 전공과 업무 일치도	223
<표 3-71> 최근 3년간 특성화고 졸업 신입사원의 전공과 업무 일치도	224
<표 3-72> 최근 3년간 전문대 졸업 신입사원의 전공과 업무 일치도	226
<표 3-73> 최근 3년간 대졸 신입사원의 전공과 업무 일치도	228
<표 3-74> 산업체 재직근로자를 위한 후진학 계속교육에 대한 인지 여부	229
<표 3-75> 재직자 특별전형(과정)에 대한 인지 여부	230
<표 3-76> 계약학과에 대한 인지 여부	231
<표 3-77> 산업체 위탁교육에 대한 인지 여부	232
<표 3-78> 학점은행제에 대한 인지 여부	233
<표 3-79> 현재 재직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또는 지원 여부	235
<표 3-80> 현재 재직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지원) 유형	236
<표 3-81> 재직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지원)에 대한기업체의 만족도	238
<표 3-82> 향후 재직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지원) 계획 여부	239
<표 3-83> 향후 참여(지원)를 희망하는 후진학 계속교육 유형	241
<표 3-84> 재직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지원)를 고려하지 않는 이유	243
<표 3-85> 애로 사항이 해결될 경우,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여부	245
<표 3-86> 정기적인 교육훈련 등의 과정 제공 정도	246
<표 3-87>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및 지원(계획) 이유	248
<표 3-88> 재직자의 후진학 계속교육을 위한 재정적 지원 계획 여부	250
<표 3-89> 향후 재직자의 후진학 계속교육을 위한 재정적 지원 정도 	253
<표 3-90> 향후 재직자의 후진학 계속교육을 위한 지원 시간	254
<표 3-91> 재정적 지원 계획 여부에 따른 시간지원 정도	255
<표 3-92> 재정적 지원 정도에 따른 시간지원 정도	256
<표 3-93> 재직자의 후진학 계속교육을 위한 제도적 개선	257
<표 3-94> 후진학 계속교육 담당 교수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60
<표 3-95>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학생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61
<표 3-96> 담당하고 있는 후진학 계속교육에 대한 향후 교육수요	262
<표 3-97> 담당하고 있는 후진학 계속교육 교육과정 개발 시 활용 방법	263
<표 3-98> 담당하고 있는 후진학 계속교육 운영상 주된 애로점	264
<표 3-99> 재직근로자 참여 학생 모집 시 주된 애로점	264
<표 3-100> 재직근로자 학생 교육과정 운영 시 주된 애로점	265
<표 3-101> 후진학 학과와 기존 정규학과의 차이점과 내용	266
<표 3-102> 후진학 유형의 통합 및 단순화에 대한 개선 의견	267
<표 3-103> 후진학 참여 학과 및 분야의 대학별 특성화 유도에 대한 개선 의견	268
<표 3-104> 재직자 특별전형 요건의 완화에 대한 개선 의견	269
<표 3-105> 후진학 계속교육과정에 대한 질 관리를 위한 정례적인 교육과정 운영 평가 시행에 대한 개선 의견	270
<표 3-106> 재직자의 경력별·능력별·직무별 특화 교육과정 개발 지원 체계 구축에 대한 개선 의견	271
<표 3-107> 후진학 계속교육에 대한 산업체 인식 제고 및 홍보 강화에 대한 개선 의견	272
<표 3-108> 학교별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수요 전망에 따른 학과 개설 유도 및 제한에 대한 개선 의견	273
<표 3-109> 기초학습능력 부족 참여 학생에 대한 지원 체계구축에 대한 개선 의견	274
<표 3-110> 재직자에 대한 등록금, 장학금 등의 지원 확대에 대한 개선 의견	275
<표 3-111> 후진학 계속교육에 참여한 가장 중요한 목적	276
<표 3-112> 후진학 계속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얻은 가장 긍정적인 효과 	276
<표 3-113> 현재 참여하고 있는 학과(전공)교육에 대해 가장 만족하는 부분과 이유	278
<표 3-114> 현재 참여하고 있는 학과(전공)교육에 대해 가장 불만족하는 부분과 이유	279
<표 3-115> 회사와 대학교육을 병행하면서 느끼는 어려움	280
<표 3-116> 대학 진학에 대한 소속기업의 지원	281
<표 3-117> 향후 재직근로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확대를 위한 개선점	281
<표 3-118> 후진학 계속교육 제도의 문제점	282
<표 3-119> 재직자 후진학 계속교육 참여 확대를 위한 정부와 대학의 지원	283
<표 4-1> 후진학 계속교육 유형별 운영 요건의 개정	313
<표 4-2> 후진학자 친화적인 계속교육 운영 모델 개발의 고려 사항	320
<표 4-3> 후진학 계속교육 추진 주체별 정책 방안	328
[그림 1-1] 연구 내용과 방법 및 절차	9
[그림 2-1] 교육기회 균등 전형 모집정원 연도별 변화	47
[그림 2-2] 일·학습 병행제 운영 절차	54
[그림 2-3] 평생교육 단과대학 개편 모형	57
[그림 2-4] 평생교육 단과대학 운영과정	5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후진학 계속교육 수요조사 및 장·단기 발전방안 2015.01.01~2015.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