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인지적 스킬의 감소 시점에 관한 기존 연구 정리 35
<표 2-2> 숙련퇴화율 측정에 활용되는 변수 64
<표 2-3> 숙련퇴화율 영향요인 추정에 활용되는 변수 76
<표 3-1> 기본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수리력) 96
<표 3-2> 기본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문해력) 97
<표 3-3> 확장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수리력) 101
<표 3-4> 확장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문해력) 102
<표 3-5> 국가별 누적 인지적 스킬 퇴화(수리력, 정규교육 12년 기준) 120
<표 3-6> 국가별 누적 인지적 스킬 퇴화(수리력, 정규교육 16년 기준) 121
<표 3-7> 국가별 누적 인지적 스킬 퇴화(문해력, 정규교육 12년 기준) 121
<표 3-8> 국가별 누적 인지적 스킬 퇴화(문해력, 정규교육 16년 기준) 122
<표 3-9> 학력 미스매치 추이(취업자-실업자 변동계수) 130
<표 3-10> 학력 미스매치 추이(취업자-비경제활동인구 변동계수) 131
<표 3-11> 학력 미스매치 추이(취업자-생산가능인구 변동계수) 131
<표 3-12>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전체, 취업자-실업자 변동계수) 134
<표 3-13>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전체, 취업자-비경제활동인구 변동계수) 136
<표 3-14>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전체, 취업자-생산가능인구 변동계수) 138
<표 3-15>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남성, 취업자-실업자 변동계수) 140
<표 3-16>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남성, 취업자-비경제활동인구 변동계수) 142
<표 3-17>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남성, 취업자-생산가능인구 변동계수) 144
<표 3-18>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여성, 취업자-실업자 변동계수) 146
<표 3-19>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여성, 취업자-비경제활동인구 변동계수) 148
<표 3-20>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여성, 취업자-생산가능인구 변동계수) 150
<표 3-21> 학력별 실업자-취업자 비율 153
<표 3-22> 학력 미스매치와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56
<표 3-23> 학력 미스매치와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57
<표 3-24> PIAAC에서의 스킬활용 설문문항 158
<표 3-25> 스킬활용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60
<표 3-26> 스킬활용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61
<표 3-27> 핵심정보처리 능력활용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62
<표 3-28> 핵심정보처리 능력활용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63
<표 3-29> 일반능력활용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64
<표 3-30> 일반능력활용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65
<표 3-31> 평생학습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66
<표 3-32> 평생학습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68
<표 3-33> 스킬활용·평생학습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69
<표 3-34> 스킬활용·평생학습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70
<표 3-35> 직종 4분류와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72
<표 3-36> 직종 4분류와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73
<표 3-37> 직종 9분류와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74
<표 3-38> 직종 9분류와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75
<표 3-39> 종사상지위와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76
<표 3-40> 종사상지위와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77
<표 3-41> 기업규모와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79
<표 3-42> 기업규모와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80
<표 3-43> 산업분류와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81
<표 3-44> 산업분류와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82
<표 3-45> 노동시간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83
<표 3-46> 노동시간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84
<표 3-47> 인적자본의 감가상각률 정점 노동시간(기본모형) 185
<표 3-48> 인적자본의 감가상각률 정점 노동시간(확장모형) 186
<표 3-49> 학력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기본모형) 187
<표 3-50> 학력과 인적자본 감가상각률(확장모형) 188
<표 4-1> 누적 인지적 스킬 퇴화 국제비교(수리력, 정규교육 16년 기준) 195
[그림 2-1]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의 인지적 스킬 프로파일 19
[그림 2-2] 인지적 스킬의 감소와 개인별 차이 20
[그림 2-3] 인적자본 스톡 형태에 따른 다양한 감가상각률 21
[그림 2-4] 언어능력과 나이의 관계 24
[그림 2-5] 언어능력과 나이의 관계(학력, 언어배경 통제) 28
[그림 2-6] 1994-1998년 IALS의 나이-문해력 프로파일(16-65세) 31
[그림 2-7] 2003-2007년 ALL의 나이-문해력 프로파일(16-65세) 31
[그림 2-8] 횡단자료와 종단자료의 인지적 스킬의 퇴화비교 41
[그림 2-9] 확장모형으로부터 예상되는 나이대별 인지적 스킬의 퇴화 74
[그림 3-1] ‘정규교육 이후 흐른 시간-수리력’ 프로파일 88
[그림 3-2] ‘정규교육 이후 흐른 시간-문해력’ 프로파일 91
[그림 3-3] 기본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수리력) 98
[그림 3-4] 기본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문해력) 98
[그림 3-5] 수리력 수준과 기본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 99
[그림 3-6] 문해력 수준과 기본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 99
[그림 3-7] 확장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수리력) 103
[그림 3-8] 확장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문해력) 103
[그림 3-9] 수리력 수준과 확장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 104
[그림 3-10] 문해력 수준과 확장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 104
[그림 3-11] 나이대별 감가상각률 국제비교(수리력) 105
[그림 3-12] 나이대별 감가상각률 국제비교(문해력) 105
[그림 3-13] 국가별 나이대별 감가상각률 국제비교(수리력) 106
[그림 3-14] 국가별 나이대별 감가상각률 국제비교(문해력) 109
[그림 3-15] 나이대별 인적자본 감가상각률 추정 확장모형 국제비교(수리력) 112
[그림 3-16] 나이대별 인적자본 감가상각률 추정 확장모형 국제비교(문해력) 114
[그림 3-17] 기본모형과 확장모형의 인적자본 감가상각률 비교(수리력) 118
[그림 3-18] 기본모형과 확장모형의 인적자본 감가상각률 비교(문해력) 119
[그림 3-19] 학력과잉 비율 국제비교 123
[그림 3-20] 학력부족 비율 국제비교 123
[그림 3-21] 전공-일자리 미스매치 비율 국제비교 124
[그림 3-22] 숙련과잉 비율 국제비교(수리력) 126
[그림 3-23] 숙련부족 비율 국제비교(수리력) 126
[그림 3-24] 숙련과잉 OECD 국제비교(문해력) 127
[그림 3-25] 숙련부족 OECD 국제비교(문해력) 127
[그림 3-26] 학력 미스매치 추이(취업자-실업자 변동계수) 129
[그림 3-27] 학력 미스매치 추이(취업자-비경제활동인구 변동계수) 129
[그림 3-28] 학력 미스매치 추이(취업자-생산가능인구 변동계수) 130
[그림 3-29]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전체, 취업자-실업자 변동계수) 133
[그림 3-30]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전체, 취업자-비경제활동인구 변동계수) 135
[그림 3-31]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전체, 취업자-생산가능인구 변동계수) 137
[그림 3-32]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남성, 취업자-실업자 변동계수) 139
[그림 3-33]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남성, 취업자-비경제활동인구 변동계수) 141
[그림 3-34]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남성, 취업자-생산가능인구 변동계수) 143
[그림 3-35]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여성, 취업자-실업자 변동계수) 145
[그림 3-36]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여성, 취업자-비경제활동인구 변동계수) 147
[그림 3-37] 연령별 학력 미스매치 추이(여성, 취업자-생산가능인구 변동계수) 149
[그림 3-38] 학력별 실업자-취업자 비율(전체) 151
[그림 3-39] 학력별 실업자-취업자 비율(남성) 152
[그림 3-40] 학력별 실업자-취업자 비율(여성) 152
[그림 4-1] 수리력 수준과 기본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 192
[그림 4-2] 수리력 수준과 확장모형 감가상각률 국제비교 192
[그림 4-3] 나이대별 감가상각률 국제비교(수리력) 193
[그림 4-4] 기본모형과 확장모형의 인적자본 감가상각률 비교(수리력) 194
[그림 4-5] 학력과잉(하향취업) 비율 국제비교 196
[그림 4-6] 학력부족 비율 국제비교 196
[그림 4-7] 학력 미스매치 추이(교육수준 분포의 변동계수를 이용)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