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한 자격의 운영과 연계에 관한 연구

Research into the Management and Articulation of NCS-based Qualifications
저자
이동임 김덕기 서유정 정지운
분류정보
기본연구(2015-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0.31
등록일
2015.12.30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7
제3절 연구의 범위와 한계	12
제2장 NCS 기반 자격의 연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_17
제1절 자격 간 연계의 개념과 필요성	19
제2절 관련 선행연구 분석	27
제3절 소결	32
제3장 NCS 기반 자격 및 교육훈련정책 추진 현황_35
제1절 NCS 기반 자격정책의 추진 현황	37
제2절 NCS 기반 교육훈련정책의 추진 현황	46
제3절 NQF 정책의 추진 현황	53
제4절 소결	55
제4장 주요국의 자격 운영과 연계 현황_57
제1절 개요	59
제2절 호주	60
제3절 영국	72
제4절 독일	85
제5절 시사점	97
제5장 NCS 기반 자격의 운영 현황과 연계를 위한 요구 분석_105
제1절 자격 간 연계 분석 틀	107
제2절 자격 간 연계를 위한 NCS 직업자격 및 교육훈련 현황 분석	114
제3절 자격 간 연계를 위한 요구 분석	137
제4절 시사점 및 소결	168
제6장 NCS 기반 자격 간 연계 방안_177
제1절 NCS 기반 자격 간 연계 방향	179
제2절 NCS 기반 자격 간 연계를 위한 정책과제	187
SUMMARY_205
참고문헌_207
부  록_217
<부록 1> NQF(안)	219
<부록 2> 영국 UCAS가 인증하는 직업교육훈련자격	223
<부록 3> NCS 자격 및 교육과정의 능력단위와 시수 현황:   기계가공 분야	227
<부록 4> 설문조사지	237
<부록 5> 설문조사 결과	261
<부록 6> 해외 사례	267
<부록 참고문헌>	285
  본 연구의 목적은 NCS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자격들이 상호 연계가 가능하도록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운영 현황을 분석한 후 자격 간의 연계 방향과 연계를 위한 정책과제를 마련하는 것이다. 
  ThearticulationbetweenNCSbasedqualificationsinvolvescross- acknowledgement of the learning outcomes. It minimizes the repetition of the same or similar learning and contributes to promoting life-long learning. Currently, many qualifications have been designed and run based on NCS but little research looked into the overlap between them or the possibility of articulation.  
  This study aimed to 1) evaluate the current governmental qualification policy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policy has been carried forward, 2) evaluate current state of NCS-based qualification management, 3) analyse the possibility and underlying issue in the articulating different qualifications, and 4) recommend the effective ways of articulating the qualifications.
  The methodology included literature and text-data review, experts interview, questionnaire survey, content analysis of NCS based occupational qualification and VET courses, and a seminar to share the views and insights of involved parties. ... 
<표 2-1> 자격 간 연계와 NQF의 중요성	22
<표 3-1> 기존 국가기술자격과 新직업자격의 비교	42
<표 3-2> 일학습병행자격과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의 비교	44
<표 3-3> 실전·창의인재 양성사업 참여학교 현황	47
<표 3-4> Ⅰ, Ⅱ, Ⅲ유형 특성화 대학의 교과목 개발 현황(’14. 12. 기준)	49
<표 3-5> Ⅳ유형 특성화 대학의 NCS 기반 교육과정 및 이수자 현황(’14. 12. 기준)	49
<표 3-6> NCS 기반 훈련기준의 구성	51
<표 4-1> 영국 중등교육과정과 직업교육훈련자격의 비교	75
<표 4-2> 영국 2012~13년 학사 입학생 기준 중도 탈락률(입학 1년 이내)	82
<표 4-3> 영국 학사학위 소지자의 취업률 	83
<표 4-4> 직업자격 취득자의 대학 입학조건	91
<표 4-5> 주요국의 직업자격과 고등교육 연계 현황 비교 99
<표 5-1> 분석내용	113
<표 5-2> 新직업자격의 수준체계	114
<표 5-3> 新직업자격 교육훈련 프로그램 편성기준(수준별 훈련시간)	117
<표 5-4> 국가기술자격의 수준체계(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118
<표 5-5>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교육훈련 프로그램 편성기준	120
<표 5-6> 新직업자격과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간 수준체계비교 결과	121
<표 5-7> 新직업자격과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의 교육훈련시간 비교	123
<표 5-8> 新직업자격과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의 능력단위와 교육훈련시간 현황	124
<표 5-9>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간 능력단위 중복률	126
<표 5-10> 新직업자격 간 능력단위의 중복률	127
<표 5-11> 新직업자격과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간 능력단위의 중복률	128
<표 5-12> 교육훈련기관 및 교육훈련내용 간 능력단위 수와 교육훈련시간 현황	130
<표 5-13> 교육훈련기관 간 능력단위의 중복 현황	132
<표 5-14> 교육훈련내용의 질적 비교 대상 능력단위	132
<표 5-15> 교육훈련기관별 교재 활용 현황	133
<표 5-16> 교육훈련기관별 평가 방법(기본작업)	135
<표 5-17> 교육훈련기관별 평가 방법(엔드밀가공)	135
<표 5-18> 교육훈련기관별 평가 방법(CNC선반조작)	136
<표 5-19> 교육훈련기관별 능력단위 평가기준 사례(기본작업)	136
<표 5-20> 조사내용 요약	138
<표 5-21> 응답자의 특성	139
<표 5-22> 등급 설정의 어려움	141
<표 5-23> 등급의 명확성	141
<표 5-24> 자격 간 수평적 연계성	144
<표 5-25> 상·하위 자격 간 내용의 중복성	145
<표 5-26> NQF와의 관계(연계성)	146
<표 5-27> 교육기관별 자체평가에서의 평가단위	147
<표 5-28> 수행준거 평가기준 마련의 필요성	148
<표 5-29>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변화: 학습량과 학습수준	148
<표 5-30>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	149
<표 5-31>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간 능력단위의 중복률	153
<표 5-32>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간 통합의 필요성	154
<표 5-33>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기능사와 산업기사 간 중복률	155
<표 5-34> 新직업자격 종목 간 중복률	155
<표 5-35> 新직업자격 종목 간 등급 구분의 필요성	157
<표 5-36> 新직업자격 수준별 능력단위의 교육훈련내용 차별화   가능성	157
<표 5-37>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과 新직업자격 종목 간 통합의 필요성	158
<표 5-38> 교육훈련 과정 간 능력단위의 중복률	159
<표 5-39> 교육훈련기관 간 학습내용과 학습수준의 차별화 가능성	160
<표 5-40> 특성화고에서 학습한 능력단위 일부를 상위 교육훈련
          기관에서 선행학습으로 인정할 필요성	160
<표 5-41> NCS 기반 자격 및 교육과정 간 연계의 필요성	163
<표 5-42> 자격과 교육과정의 연계 방향	163
<표 5-43> 자격과 교육과정 간의 연계 원칙	164
<표 5-44> NCS 기반 자격과 교육과정의 적절한 연계 방안	165
<표 5-45> 도제자격의 향후 국가기술자격으로의 통합 필요성	166
<표 5-46> 두 가지 국가기술자격 유형(검정형, 과정평가형)의 통합 필요성	166
<표 5-47> 두 가지 국가기술자격 유형(검정형, 과정평가형)의 
          적절한 통합 방식	167
<표 5-48> 능력단위 또는 교육훈련 과정(능력단위)의 중복률 정도	169
<표 6-1> 1수준 금속가공(metal fabrication) 능력단위의 학습목표 및 평가기준 	194
<표 6-2> 수행준거별 평가기준과 평가 방법	196
<부표 5-1> 학습량(시간) 차별화 필요성	261
<부표 5-2> 학습내용 차별화 필요성	262
<부표 5-3> 학습수준 차별화 필요성	263
<부표 5-4> 평가기준 차별화 필요성	264
<부표 5-5>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평가 방법의 다양화	265
<부표 5-6>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문서화 업무의 비중 변화	265
<부표 5-7>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수행준거 도달에 대한 평가 변화	265
<부표 5-8> NCS 기반 자격의 NQF의 수준분류	265
<부표 5-9> 자격 취득으로 연결되지 않는 교육훈련과정과 NCS 기반 국가기술자격 간 연계 방안 마련 필요성	266
<부표 6-1> 호주의 VET 유형별 Hospitality 분야 자격 발급 현황	267
<부표 6-2> 호주의 과정 유형별 Certificate II in Hospitality의 취득 능력단위(unit) 비교	269
[그림 1-1] 연구내용과 분석 틀	8
[그림 1-2] 연구의 절차	11
[그림 1-3] 연구의 범위	14
[그림 4-1] 자격 유형별 경로	63
[그림 4-2] DQR을 지원하는 VET와 대학교육 간 연계의 내용	87
[그림 4-3] 직업자격과 대학교육 간의 Pathway	90
[그림 5-1] NQF를 통한 자격 간 연계와 자격의 활용	108
[그림 5-2] 연구의 분석 대상	112
[그림 5-3] 新직업자격과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의 개별 필수 능력단위의 평균 교육훈련시간	125
[그림 5-4] 新직업자격 종목 등급 설정의 난이도	142
[그림 5-5]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종목 등급 설정의 난이도	143
[그림 5-6]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교육과정 운영과 주요 변인의 관계(1) 	150
[그림 5-7]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교육과정 운영과 주요 변인의 관계(2) 	151
[그림 5-8]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간 능력단위의 중복률	153
[그림 5-9] 新직업자격 종목 간 중복률	156
[그림 5-10] 교육훈련기관의 수준별 차별화 필요성(기본작업)	161
[그림 5-11] 교육훈련기관의 수준별 차별화 필요성(CNC선반조작)	162
[그림 5-12] 교육훈련기관의 수준별 차별화 필요성(엔드밀가공)	162
[그림 6-1] 자격제도를 중심으로 한 인력양성정책	191
[부그림 6-1] 호주 VET자격의 학사학위로 이동	272
[부그림 6-2] 호주 VET자격의 석사학위로 이동	274
[부그림 6-3] 독일 VET자격의 학사학위로 이동	274
[부그림 6-4] 독일 VET자격의 석사학위로 이동	27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한 자격의 운영과 연계에 관한 연구 2015.01.01~2015.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