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에 대한 패널조사 설계

Panel research design on transition from school to labor market
저자
유한구 채창균 류지영
분류정보
기본연구(2015-0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0.31
등록일
2016.01.07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1. 연구 필요성	3
2. 연구 목적	6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1. 연구 내용	7
2. 연구 방법	8
제2장 선행연구 검토_11
제1절 국외의 선행연구	13
1. 미국	13
2. 독일	28
3. 일본	35
4. 대만	38
제2절 국내의 선행연구	44
1. 청년패널조사	44
2. 한국청소년패널조사	49
3. 한국교육종단연구2005(Korea Education Logitudinal Study 2005)	52
제3절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의 성과	55
1. 조사 개요	55
2. 조사 진행 사항	58
3. 데이터 활용 성과	69
제4절 국내외 패널조사의 시사점	76
1. 국외 패널조사의 시사점	76
2. 국내 패널조사의 시사점	78
제3장 표본설계_81
제1절 표본설계 개요	83
1. 조사 대상 및 표본 규모	83
2. 표본설계 고려 요인	86
3. 표본 수 배분	89
제2절 모집단	90
제3절 표본추출 방법	94
1. 학교 추출	94
2. 학급 및 학생 추출	97
3. 추출률에 따른 가중치	97
제4장 문항설계_99
제1절 문항설계의 틀	101
1. 문항설계의 기본 방향	101
2. 모듈형 설문구조의 개발	104
3. 문항검토 전략 및 과정	114
제2절 학교교육	117
1. 주제별 전반적 논의	117
2. 기존 문항 검토	118
3. 신규 문항 검토	122
제3절 진로교육	140
1. 진로교육의 문항 구성	140
2. 기존 문항 검토	143
3. 신규 문항 검토	146
제4절 경제활동	152
1. 전반적 논의 및 기존 문항 검토	152
2. 신규 문항 검토	154
3. 한국교육고용패널Ⅱ 문항설계	157
제5절 가정 및 여가생활	158
1. 주제별 전반적 논의	158
2. 기존 문항 검토	159
3. 신규 문항 검토	163
제5장 조사설계_165
제1절 조사 대상 및 주기	167
1. 조사 대상	167
2. 조사 주기	169
제2절 조사 방법	174
1. 조사 방식과 조사 시스템	174
2. 조사 업체의 선정과 역할	176
3. 조사 대상별 원칙(기준 연도)	178
제3절 성적 자료 취합	181
제4절 결과 활용 방안	182
1. 자료 제공 방식의 제고	182
2. 학술대회 개최	183
3. 사업보고서 및 분석보고서 발간	184
제6장 결 론_185
제1절 요약	187
1. 연구의 의의	187
2. 표집설계	189
3. 문항설계	190
4. 조사설계	193
제2절 결론	194
SUMMARY_197
참고문헌_201
부  록_205
1. 고등학생 설문지	207
2. 한국교육고용패널 자료 활용 리스트	280
  본 연구는 2016년부터 수행하게 될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II의 표본추출, 문항설계, 조사방법 등 신규 패널조사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 코호트의 모집단을 결정한다. 
  둘째, 신규 코호트의 표집틀을 구성한다.  
  셋째, 설문 문항의 설계이다.
  넷째, 조사주기 및 조사방법의 결정이다. 
  This study is to prepar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Ⅱ(henceforth KEEP Ⅱ) which will be conducted from 2016. Sample design, question design, and overall research design was carried out by review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nel research including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henceforth KEEP). 
  Above all, with consideration of limited sample size and various school types(General High School, Autonomous High School, Specialized High School, Special-purpose High School, etc.), the direction of KEEP Ⅱ sample design is to design a sample for 1 cohor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terial utilization for the limited sample size. Considering research on various types of school and the minimum number of students per school, 400 schools are extracted and 10,000 students that are the total of 25 students per school will be surveyed for sample size. Distribution of schools by school types ha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 distribu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portion of students. However, allowing for the minimum number of samples in the case of a relatively small proportion of Characterized High School, 10 schools will be extracted for each type. ...
<표 2-1> 미국 NCES의 종단적 연구	15
<표 2-2> NLS-72의 조사 관련 주요사항	25
<표 2-3> HS&B의 조사 관련 주요사항	26
<표 2-4> NELS:88의 조사 관련 주요사항	27
<표 2-5> TEPS-B 패널에 따른 TEPS의 조사 주기	43
<표 2-6> TEPS-B의 조사 주기	43
<표 2-7> 1차년도 조사 결과	60
<표 2-8> 2차년도 조사 결과	61
<표 2-9> 3차년도 조사 결과	61
<표 2-10> 4차(2007)년도 기존 패널 조사 성공률	62
<표 2-11> 4차(2007)년도 신규 패널 조사 성공률	62
<표 2-12> 5차(2008)년도 조사 성공률	63
<표 2-13> 6차(2009)년도 조사 성공률	64
<표 2-14> 7차(2010)년도 기존․신규 패널 조사 성공률	64
<표 2-15> 7차(2010)년도 보정패널 조사 성공률	65
<표 2-16> 8차(2011)년도 조사 성공률	66
<표 2-17> 9차(2012)년도 조사 성공률	67
<표 2-18> 10차(2013)년도 조사 성공률	67
<표 2-19> 11차(2014)년도 조사 성공률	68
<표 2-20> 자료 유형별 활용 수	71
<표 2-21> 학술대회 발표 논문 주제	74
<표 2-22>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의 데이터 이용자 특성	75
<표 2-23> 기존 패널조사와의 비교	79
<표 3-1> 학교 유형의 변화	85
<표 3-2> 모집단 현황(1): 학교 유형별 학교 수 및 학생 수	91
<표 3-3> 모집단 현황(2): 학교 유형*지역별 학교 수	92
<표 3-4> 모집단 현황(3) : 학교 유형*지역별 학생 수1)	93
<표 3-5> 표본 학교 수 할당(350개교: 층화 비례): 일반고/자율고, 특성화고(직업/대안)	95
<표 3-6> 표본 학교 수 할당(50개교: 10개교×5): 특수목적고	96
<표 3-7> 학교 유형별*지역별 표본(학생)의 가중치: 1/추출률	98
<표 4-1>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2007) 고등학생 설문지 조사내용	106
<표 4-2>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2007) 모듈형 설문지 조사내용	108
<표 4-3> 재구조화된 설문 항목과 주요 논의 내용	111
<표 4-4> 설문 검토 전문가 회의	115
<표 4-5> 한국교육고용패널의 기존 문항과 주요 검토내용	120
<표 4-6> 교육 만족도 조사 도구 개발 연구(KEDI) 교육결과 6문항	125
<표 4-7>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수업능력 4문항	129
<표 4-8>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성취압력 4문항	130
<표 4-9> 학습유형 분류 및 문항	132
<표 4-10> 학습전략 분류 및 문항	134
<표 4-11> 학습동기의 목표와 내용	135
<표 4-12> 학습동기 문항	135
<표 4-13> 인내와 열정	137
<표 4-14> 자아개념	138
<표 4-15> 자아효능감	139
<표 4-16>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진로 문항	140
<표 4-17>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자아관 직업의식 문항	142
<표 4-18> 학교 진로교육 정책 및 지원 사항	143
<표 4-19> 진로교육 신규 문항	147
<표 4-20> 학교진로교육프로그램(SCEP) 성취도 검사(진로역량)	150
<표 4-21> 학교 진로교육 만족도	151
<표 4-22> 학교 진로교육 참여와 만족도	151
<표 4-23> 가정에서의 진로활동	152
<표 4-24> 한국교육고용패널 가정생활 문항(고등학교)	160
<표 4-25> 한국교육고용패널 여가생활 문항(고등학교)	162
<표 5-1> 한국교육고용패널Ⅱ 조사 설계(단독조사)	171
[그림 2-1] NCES의 패널조사	15
[그림 2-2] 독일의 종단적 조사 계획	29
[그림 2-3] 독일의 종단적 조사의 조사 설계	30
[그림 2-4] 한국교육고용패널의 조사 대상 구성(기존․신규․보정 패널)	57
[그림 2-5] 한국교육고용패널의 차수별 조사 진행	59
[그림 4-1] 모듈형 설문구조 예시	105
[그림 4-2] 투입-과정-산출 모형	118
[그림 5-1] 한국교육고용패널과 한국교육고용패널Ⅱ의 조사 구조도	170
[그림 5-2] 한국교육고용패널과 한국교육고용패널Ⅱ 병행 조사 구조도	17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에 대한 패널조사 설계 2015.01.01~2015.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