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사업(2015)

저자
유한구 채창균 양정승 신동준 황승록
분류정보
기본사업(2015-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2.31
등록일
2016.01.19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OECD 교육지표교육성과지표OECD INES LSOEAG
요 약
제1장 사업 개요_1
  제1절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통계의 범위 및 기준	6
  제3절 2015년 주요 사업 내용	8
제2장 OECD EAG 통계자료 제공과 주요 내용_13
  제1절 EAG 2015의 구조	15
  제2절 EAG 통계자료 제공을 위한 통계청과의 협의	17
  제3절 EAG 2015 통계자료 제공 및 검증	28
  제4절 EAG 2016 통계자료 제공	36
제3장 OECD INES LSO 네트워크 총회 및 분과별 활동_37
  제1절 제13차 총회 및 분과별 활동	39
  제2절 제14차 총회 및 분과별 활동	58
제4장 청년 니트 문제에 대한 접근-OECD 국가와 한국_81
  제1절 도입	83
  제2절 OECD 국가의 청년 니트 정책	84
  제3절 우리나라의 청년 니트 정책	97
제5장 결 론_105
  제1절 사업 내용 요약	107
  제2절 당면 현안	109
참고문헌_113
부  록_115
  1. 통계청 협의 자료	117
○ OECD가 발간하고 있는 대표적 교육통계 자료집인 「Education at a Glance(EAG)」에 활용될 한국의 LSO 관련 통계자료를 발굴·가공하여 제공하고 검증
○ OECD INES LSO 총회(연 2회)에 참석하여 EAG 지표를 검토하고 신규 지표 개발 작업에 참여
○ OECD INES LSO 분과별 회의에서 논의된 현안을 중심으로 최근 교육의 노동시장 및 사회적 성과 관련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국제비교 위킹페이퍼와 이슈 브리프를 작성
○ OECD EAG 동향을 소개하여 교육의 노동시장 및 사회적 성과와 관련된 국제적인 관심 주제와 시각을 원내외로 공유
<표 1-1>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 2011)와 한국의 학제	7
<표 1-2> EAG 2015: 교육의 임금 프리미엄 관련 지표 목록	8
<표 1-3> EAG 2014: 학교에서 직장이행 단계의 15~29세 청년층 관련 지표 목록	9
<표 2-1> EAG 2015의 구조	16
<표 2-2> 교육의 임금 프리미엄(Indicator A6) 산출식	20
<표 2-3> 교육에서 직업으로의 이동(Indicator C5) 산출식	25
<표 2-4>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 2011)와 한국의 학제	29
<표 2-5> (EAG 2015) 제공 통계표 목록: 교육의 임금 프리미엄	29
<표 2-6> (EAG 2015) 검증 통계표 및 차트 목록: 교육의 임금 프리미엄	32
<표 2-7> EAG 2015: 학교에서 직장이행 단계의 15~29세 청년층 관련 지표 목록	34
<표 2-8> EAG 2015: 학교에서 직장이행 단계의 15~29세 청년층 관련 지표 계산식	36
<표 3-1> 계속교육(CVT)의 두 가지 유형	45
<표 3-2> 전공 영역-2수준(Fields of education at the 2-digit level)	68
<표 4-1> 청년층 고용지원 공공서비스	103
[그림 3-1] 2012년도 15~24세 학생의 일․학습 프로그램 참여율	46
[그림 3-2] 15~24세 실업률과 15~64세 실업률 관계	47
[그림 3-3] 청년층 실업률과 NEET 비율의 관계	48
[그림 3-4] NEET/NEFE의 변화와 15~64세 실업률의 변화	49
[그림 3-5] 응답자와 부모의 교육수준별 고졸 대비 시간당 임금	52
[그림 3-6] 스킬수준과 스킬의 활용도	54
[그림 3-7] 직업별 스킬수준과 스킬의 활용도	55
[그림 3-8] 교육수준별 월 최소 1회 이메일 사용자(Use of email at least once a month by level of education, 2012)	64
[그림 3-9] 교육수준별 월 최소 1회 인터넷 사용자(Use of the Internet at least once a month by level of education, 2012)	64
[그림 3-10] 교육수준별 월 최소 1회 온라인 거래 사용자(Use of online transaction at least once a month by educational level, 2012)	65
[그림 3-11] 교육수준별 월 최소 1회 실시간 토론 활용자(Use of online real-time discussions at least once a month by educational level, 2012 65
[그림 3-12] 참여국가 평균 16~29세 NEET 규모(16~29 year-olds neither Employed nor in Education or Training(NEET), average of participating countries)	66
[그림 3-13] 언어능력 수준별 NEET 비율-16~29세(Chart NEET (L). Percentage of NEET, by literacy proficiency(2012) 16~29 year-olds Neither Employed nor in Education or Training(NEET), average of participating countries)	69
[그림 3-14] 수리력 수준별 NEET 비율-16~29세(Chart NEET (N). Percentage of NEET, by numeracy proficiency(2012) 16~29 year-olds Neither Employed nor in Education or Training(NEET), average of participating countries)	69
[그림 3-15] ICT 기반 문제해결력 수준에 따른 NEET 비율(Chart NEET (P). Percentage of NEET, by skills and readiness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for problem solving(2012), 16-29 year-olds Neither Employed nor in Education or Training(NEET), average of participating countries)	70
[그림 3-16] 성인학습 프레임워크(Framework for adult learning)	71
[그림 3-17] 건강생활기간과 기대수명(Healthy years and life expectancy, males, 2008)	75
[그림 3-18] 고등교육 이수자 중 근로소득이 있는 집단 비율(Rate of people with earnings from work having attained tertiary level of education. Percent)	77
[그림 4-1] OECD 국가들의 비경활 및 실업 상태의 니트족 구성 (2011/2012년 기준)	87
[그림 4-2] OECD 국가 니트 청년층의 교육수준 구성(2012년 기준)	89
[그림 4-3] OECD 국가 니트 청년층(15~29세)의 성별 격차(2013년 기준)	91
[그림 4-4] 청년층의 니트 비율	97
[그림 4-5] 연령별․학력별 청년층의 니트 비율	98
[그림 4-6] 대졸 이상 청년층의 니트 비율	99
[그림 4-7] 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청년층 실업자와 비경활 비율	100
[그림 4-8] 청년층 경제활동 참가율과 니트 비율	101
[그림 4-9] 니트 비율과 니트의 경제적 비용 간의 관계	10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OECD 교육성과 지표(INES LSO) 네트워크사업(2015) 2015.01.01~201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