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계 구축 방안
Countermeasures for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NCS-based Education and Training Curriculum
- 저자
- 최동선 김대영 문한나 서유정 장수아 추연우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5-0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5.10.31
- 등록일
- 2016.01.28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6 제3절 연구의 방법 7 제2장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및 질 관리 체계의 개념_11 제1절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의 의미 13 제2절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의 개념 35 제3절 유형별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운영 현황 51 제3장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계 해외 사례_97 제1절 영국의 NOS 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계 99 제2절 호주의 AQF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계 115 제3절 홍콩의 S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계 134 제4장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구축 방향 설정_151 제1절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의 편성·운영 및 질 관리 방향에 대한 의견 수렴 153 제2절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요소의 구성 172 제3절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해 필요한 과제 179 제5장 결론 및 제언_181 제1절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구축의 기본 방향 183 제2절 효과적인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제 구축을 위한 제언 197 SUMMARY_203 참고문헌_211 부 록_221 <부록> 전문가 의견조사지 223
본 연구에서는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를 위한 체계 구축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계의 구성요소를 도출한다. 둘째,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실행 방안을 모색한다. 셋째, 다양한 이해관계자 및 관련 주체의 참여 확대를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untermeasures for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NCS-based education and training curriculum.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NCS-based education and training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system, (2) to analyze its cases and trends in other countries, and (3) to suggest its countermeasures based upon the various opinion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research methods of (1) the literature review, (2) the specialists opinion survey, (3)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4) the site visit and personnel interview.
<표 1-1>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대상별 반구조화 질문 내용 9 <표 2-1> 프로그램 논리에 대한 학자별 정의 18 <표 2-2> 논리 모형의 유형화 24 <표 2-3> 유럽 질 관리 참조 체계: 품질 기준 및 지침 32 <표 2-4> 유럽에서의 성과지향형 교육훈련과정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모형 41 <표 2-5> 성과지향형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차별화 접근 방법과 비차별화 접근 방법의 비교 44 <표 2-6> 특성화 전문대학 NCS 기반 교육과정의 평가 개요 66 <표 2-7> NCS 기반 훈련과정의 훈련 대상별 최소 시간 및 기간 75 <표 2-8> NCS 기반 훈련과정의 대상별 훈련시설 기준 76 <표 2-9> 일·학습병행제 프로그램 운영 유형 92 <표 2-10> 유형별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운영 현황 94 <표 3-1> 영국 NOS 기반 자격의 종류 101 <표 3-2> NOS 기반 자격 및 도제훈련의 운영 주체 104 <표 3-3> 자격의 인증기준 107 <표 3-4> 교육훈련기관의 평가기준 109 <표 3-5> 개발된 Trailblazers 도제훈련 표준(2015년 6월 기준) 113 <표 3-6> 직업교육훈련 부문 AQF 자격 115 <표 3-7> 품질관리 분야 127 <표 3-8> 훈련 패키지 품질 원칙 129 <표 3-9> RTO 인증기준 130 <표 3-10> RTO 표준 지침에 명시된 RTO의 역할 131 <표 3-11> SCS 기반/SGC 기반 코스 개발 그랜트 제도 147 <표 3-12> HKQF와 EQF의 일반적 비교 149 <표 3-13> HKQF와 EQF의 기술 영역(Descriptor Domains) 149 <표 4-1>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요소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174 <표 4-2> NCS 구성요소와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정합성 176 <표 4-3> NCS-교육훈련과정 사이의 정합성 확보를 위한 대응 178 <표 4-4>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해 필요한 과제 180 [그림 2-1] 질 관리 개념의 위계 15 [그림 2-2] 논리 모형의 기본 구조 20 [그림 2-3] 프로그램 논리의 개념적 통합 모형 21 [그림 2-4] 유럽연합(EU)의 CQAF(Common Quality Assurance Framework) 기본 모형 31 [그림 2-5]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NCS 능력단위의 활용 방안 38 [그림 2-6] 실전·창의인재 양성사업에서의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절차(안) 39 [그림 2-7] Cedefop(2012)의 성과지향형 교육훈련과정과 표준과의 관계 40 [그림 2-8] 교과군별 NCS 기반 교과목의 편성 방향 (과목 수준에서의 NCS와의 연계체계) 53 [그림 2-9]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의 직무능력 향상도와 질 관리 개념도 69 [그림 3-1] 영국 NOS 기반 교육훈련과정 운영 및 질 관리 체계 100 [그림 3-2] NOS 개발 및 개정 과정 103 [그림 3-3] 연도별 NOS 기반 자격과정의 수 112 [그림 3-4] 호주 교육훈련과정의 운영 및 관리체계 116 [그림 3-5] Training Package의 구성 절차 118 [그림 3-6] 홍콩의 교육 시스템 136 [그림 3-7] SCS 기반 훈련 패키지(Catering) e-Book 138 [그림 3-8] 홍콩의 4단계 질 보증(Quality Assurance) 프로세스 141 [그림 3-9] HKQF 자격체계 146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계 구축 방안 | 2015.01.01~2015.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