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취업지원 역량 강화 연구
Research into the current state of university career centers in Korea
- 저자
- 정재호 서유정 이영민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5-33)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5.12.07
- 등록일
- 2016.02.1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6 제3절 선행연구 검토 9 제2장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대학 취업지원사업 현황_15 제3장 대학 취업지원센터의 운영 실태_33 제1절 취업지원센터의 인력과 시설, 예산 37 제2절 취업지원센터의 프로그램 운영 실태 45 제3절 취업지원 프로그램 모니터링 실태 53 제4절 취업지원센터 활동의 성과 61 제5절 학생들의 취업지원 서비스 활용 68 제6절 요약 및 시사점 75 제4장 국내외 대학의 취업지원 우수사례_81 제1절 국내 대학 취업지원 우수사례 83 제2절 미국 대학 취업지원 우수사례 113 제3절 소결 131 제5장 대학 취업지원 역량 강화 방안_135 SUMMARY_163 참고 문헌_167 부록_171 1. 대학 취업지원센터의 취업지원 현황 조사 설문지 173
본 연구에서는 실태조사를 통해 대학 취업지원센터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취업지원 역량 강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 달성을 통해 본 연구는 향후 교육부나 고용노동부 등 유관부처에서 대학 취업지원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Youth unemployment has become societal and economic issue internationally. In South Korea, the high rate of youth unemployment mainly arises from the high rate of enrollment to higher education. Therefore, enforcing the function and capacity of university career center can be an effective countermeasure against youth unemployment.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101 4-year universities, 80 2-year colleges) and the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2 data were analysed. In doing so, the current state of university career centers was looked into and ways to improve their current function and capacity were recommended. ...
<표 1-1> 대졸 미취업 청년층의 프로그램 참여 비중과 만족도 11 <표 2-1> 정부와 지자체의 대학 취업지원사업 31 <표 3-1> 조사 대상 대학 특성 36 <표 3-2> 취업지원 관련 조직 또는 부서의 수 37 <표 3-3> 취업 전담교수 현황 4년제 38 <표 3-4> 교내 조직편제상 취업지원부서의 소속 39 <표 3-5> 취업지원부서의 취업지원 전담직원 현황 39 <표 3-6> 전담직원의 고용형태, 경력, 학력 현황 41 <표 3-7> 전담직원의 주요 업무별 인원 현황(겸직/겸무 포함) 42 <표 3-8> 취업지원을 위한 전용상담실 구비 현황 42 <표 3-9>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전용강의실 구비 현황 43 <표 3-10> 취업지원부서 예산_수입(2014년 기준) 44 <표 3-11> 취업지원부서 예산_지출(2014년 기준) 44 <표 3-12> 교비 중 취업지원부서 예산의 비중 45 <표 3-13> 학생 취업지원을 위해 운영하는 방안(복수응답) 46 <표 3-14>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시 겪는 어려움(복수응답) 47 <표 3-15> 취업지원을 위한 학생 모집 방식(복수응답) 48 <표 3-16> 취업지원을 위한 기업/기관의 모집 방안(복수응답) 49 <표 3-17> 취업지원 관련 협약 체결 기업/기관 현황 50 <표 3-18> 취업 정보 수집을 위해 지방고용노동관서나 지방자치단체와의 정기적 협의채널 운영 현황 51 <표 3-19> 대학 취업지원부서의 강사 관련 시스템 현황 52 <표 3-20> 교수들의 취업에 대한 인식 53 <표 3-21>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학생에게 제공하는 혜택 54 <표 3-22> 취업지원 프로그램 모니터링 실시 및 결과 활용 54 <표 3-23> 현장실습/직장체험 참여 학생 중간관리 실시 현황 56 <표 3-24> 현장실습/직장체험 참여 학생 사후관리 실시 현황 57 <표 3-25> 현장실습/직장체험 참여 학생 사후관리 결과 활용(복수응답) 58 <표 3-26> 현장실습/직장체험 참여 기업 사후관리 실시 현황 59 <표 3-27> 현장실습/직장체험 참여 기업 사후관리 결과 활용(복수응답) 59 <표 3-28> 참여 기업에게 취업지원 프로그램 보고서 및 홍보물 제공 현황 60 <표 3-29> 취업지원 프로그램 실적집계를 위해 사용하는 지표 (복수응답) 61 <표 3-30> 학생의 취업에 있어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61 <표 3-31> 취업지원 프로그램 수료 학생의 취업성과에 대한 인식 62 <표 3-32>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기업의 성과에 대한 인식 63 <표 3-33>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방식에 대한 만족 여부 63 <표 3-34> 프로그램 운영 방식에 만족하는 이유(복수응답) 64 <표 3-35> 프로그램 운영 방식에 개선이 필요한 이유(복수응답) 65 <표 3-36>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관련 정책 차원에서 사업 개선의 필요성과 시급성 66 <표 3-37> 취업지원 프로그램 촉진을 위한 정부 재정지원 측면의 요구사항 67 <표 3-38> 취업지원 프로그램 촉진을 위한 기업 취업지원 측면의 요구사항 67 <표 3-39> 재학 중 진로선택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별 참여자 비중 69 <표 3-40> 전공 및 지역별 재학 중 진로선택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 참여자 비중: 4년제 대학 70 <표 3-41> 전공 및 지역별 재학 중 진로선택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 참여자 비중: 전문대학 71 <표 3-42> 재학 중 진로선택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이 도움 되었다는 응답자 비중 73 <표 3-43> 전공 및 지역별 재학 중 진로선택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이 도움 되었다는 응답자 비중: 4년제 대학 74 <표 3-44> 전공 및 지역별 재학 중 진로선택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이 도움 되었다는 응답자 비중: 전문대학 75 <표 4-1> 4년제 대학 및 전문대학의 대표 취업지원 프로그램 84 <표 4-2> 영남대학교 CRM(Career Road Map) 교육과정 88 <표 4-3> 영남대학교 신한금융투자 금융아카데미 수료자 취업률 93 <표 4-4> 단국대학교 학년별 취업지원 권고 프로그램 96 <표 4-5> 안산대학교 Hi-pass 모듈의 예시 100 <표 4-6> 안산대학교 학생 진로취업 역량 단계별 분류 체계 102 <표 4-7> 안산대학교 웰니스 자기개발 강의계획서(예시) 103 <표 4-8> 안산대학교 경력 마일리지 표 105 <표 4-9> 코네티컷 대학 CELS의 워크숍 주제 129 <표 5-1> 대학 재정지원 사업 취업지원 관련 평가지표 140 <표 5-2> 대학 취업지원센터 인력 대상 연수 프로그램 141 <표 5-3>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 취업업무 과정 142 <표 5-4> 대학 취업지도자 역량 분야별 직무역량 143 <표 5-5> 취업박람회 유형별 분류 156 <표 5-6> 대학 재정지원 사업 내 취업배점 현황 160 [그림 4-1] YAT(영남대학교 진로적성검사) 모듈 91 [그림 4-2] YAT(영남대학교 진로적성검사) 영역별 검사 구성 91 [그림 4-3] 단국대학교의 진로모델 95 [그림 5-1] 현장실습제도 운영 절차 예시(안) 147 [그림 5-2] 지역별 취업지원 협의체 162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대학취업지원 역량 강화 연구 | 2015.06.08~2015.12.07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