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연구 Ⅰ: 효용성 평가체계 마련 (부록)

저자
김상호 강일규 조정윤 김수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5-14-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2.31
등록일
2016.04.04
제1장 이론 및 선행연구 분석_1
제1절 자격 및 효용 개념 정의	3
제2절 자격 및 효용성 관련 이론	7
제3절 자격의 효용성 관련 선행연구 분석	10
제2장 민간자격 관리․운영 기관 대상 설문조사_17
제1절 민간자격 관리․운영 기관 대상 설문조사지	19
제2절 설문조사 결과 분석	30
제3절 설문조사 결과(통계자료)	45
제3장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분석_59
제1절 설문 내용 및 특이 사항	61
제2절 근로자 조사 결과 분석	63
제3절 기업 조사 결과 분석	72
제4장 델파이 조사(1차․2차)_81
제1절 델파이 조사지(1차․2차)	83
제2절 델파이 조사 결과(1차․2차)	111
제3절 1차 델파이 조사 결과(통계자료)	140
제5장 효용성 평가 관련 설문조사지(안)_151
제1절 민간자격 취득자 대상 효용성 평가 관련 설문조사 상세(안)	153
제2절 민간자격 취득자 대상 효용성 평가 관련 설문조사 간략(안)	160
제6장 효용성 평가체계 상세화 및 시행 방안 검토_165
제1절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체계 검토 조사지	167
참고문헌_171
※ 부록 자료는 본권의 내용으로 다루기에 중요성이 낮고 독자의 가독성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별책에서 부록의 내용으로 다룸. 따라서 본권의 내용을 보완하는 측면의 연구 참조 자료 목적으로 발간함.
<표 1-1> 자격의 효용성 평가체계 관련 선행연구 분석	10
<표 2-1> 기관 유형별 상시 근무인원	31
<표 2-2> 기관 유형별 전담 조직 및 인력 현황	32
<표 2-3> 기관 유형별 사무실 임대 형태	33
<표 2-4> 민간자격 종목 현황	34
<표 2-5> 민간자격 정보 제공 여부	35
<표 2-6> 민간자격 부여 방식(복수응답)	35
<표 2-7> 시행 주체(복수응답)	36
<표 2-8> 교육훈련과정 이후 검정 시행 시기(복수응답)	36
<표 2-9> 응시 자격 제한 범위(복수응답)	37
<표 2-10> 응시자/취득자 정보 수집․관리 여부	37
<표 2-11> 응시/취득자의 성비율	38
<표 2-12> 응시/취득자의 연령	38
<표 2-13> 응시/취득자의 사회 경제적 위치(지위/신분)	39
<표 2-14> 신설․운영 및 응시/취득자의 목적(복수응답)	39
<표 2-15> 신설․운영 및 응시/취득자의 목적 교차 분석(복수응답)	40
<표 2-16> 직무 분석 수행 여부(복수응답)	40
<표 2-17> 취업 연계 활동 시행 여부 및 관련 정보 수집․관리 여부(복수응답)	41
<표 2-18> 취업 도달 가능성 및 관련 서류 제출 가능 여부	42
<표 2-19> 효용성 평가체계 관련 의견 수렴	42
<표 2-20> 관련 정책에 대한 의견	44
<표 2-21> 민간자격 관리․운영 기관 설문 문항별 응답 빈도 분석 결과	46
<표 3-1> HCCP 내 자격 관련 설문 내용 및 특이 사항	61
<표 3-2> 근로자 대상 설문 분석 범위	63
<표 3-3> 직무 관련 자격증 보유 여부 응답 빈도	64
<표 3-4> 직무 관련 자격증 종류	65
<표 3-5> 산업 구분별 직무 관련 자격증 종류(민간자격/공인민간자격)	67
<표 3-6> 자격증의 활용 분야	68
<표 3-7> 5차(2013) 조사 내 자격 종류별 활용 분야	69
<표 3-8> 자격 종류별 활용 분야	70
<표 3-9> 민간자격의 활용 분야	71
<표 3-10> 기업 대상 설문 분석 내용 및 범위	73
<표 3-11> 자격별 활용 분야	74
<표 3-12> 공인민간자격 활용 분야 응답비율	75
<표 3-13> 민간자격 활용 분야 응답비율	76
<표 3-14> 자격 종류별 인사고과 연계	76
<표 3-15> 자격 종류별 수당제도	77
<표 3-16> 자격 종류별 수당 지급	78
<표 4-1> 효용성을 평가할 때 효용의 개념에 대한 2차 조사 결과	113
<표 4-2> 효용성 범주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동의 여부(2차 조사)	114
<표 4-3> 등록민간자격 양적 증가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동의 여부(2차 조사)	116
<표 4-4> 민간자격의 질적 수준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동의 여부(2차 조사)	118
<표 4-5> 민간자격 특성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동의 여부(2차 조사)	119
<표 4-6> 민간자격 효용성 방향을 구체화할 수 있는 평가 영역(2차 조사)	121
<표 4-7>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목적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동의 여부(2차 조사)	123
<표 4-8>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대상 선별 기준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동의 여부(2차 조사)	124
<표 4-9>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대상 범주에 대한 2차 조사 결과	126
<표 4-10>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주체(주관기관) 선정 기준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동의 여부(2차 조사)	128
<표 4-11> 위임 및 위탁을 제외한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주체(주관기관)에 대한 2차 조사 결과	129
<표 4-12>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시행 주기에 대한 2차 조사 결과	130
<표 4-13>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시행 주기 선정 시 고려 사항에 대한 2차 조사 결과	131
<표 4-14> 민간자격 효용성을 평가할 때 주요 평가 영역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동의 여부(2차 조사)	132
<표 4-15>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영역별 항목 및 지표에 대한 2차 조사 결과	135
<표 4-16> 민간자격 효용성을 평가할 때 주요 평가 영역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동의 여부(2차 조사)	139
<표 6-1>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체계 상세화 및 시행 방안 관련 검토지	168
[그림 3-1] 직무 관련 자격증 보유 비율	64
[그림 3-2] 직무 관련 자격증(민간자격/공인민간자격) 	66
[그림 3-3] 자격증 취득에 따른 업무능력 향상 평균 점수	68
[그림 4-1] 효용성을 평가할 때 효용의 개념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12
[그림 4-2] 효용성 범주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14
[그림 4-3] 등록민간자격 양적 증가에 대한 1차 조사 결과	116
[그림 4-4] 질적 수준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17
[그림 4-5] 민간자격 특성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19
[그림 4-6]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방향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20
[그림 4-7]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목적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22
[그림 4-8]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대상 선별 기준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23
[그림 4-9]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대상 범주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25
[그림 4-10]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주체(주관기관) 선정 기준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27
[그림 4-11]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주체(주관기관)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28
[그림 4-12]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시행 주기(연속성)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30
[그림 4-13]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주요 영역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32
[그림 4-14]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목표 영역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33
[그림 4-15]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세부 영역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34
[그림 4-16]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결과(지표) 활용 방안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38
[그림 4-17]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 결과(지표) 제시 방법에 대한 1차 주요 응답	14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민간자격 효용성 평가연구 Ⅰ: 효용성 평가체계 마련 2015.01.01~201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