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특성화고 보통교과 및 직업기초능력 제고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Perspectives on General Subject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s
저자
임언 이수정 윤형한 정혜령
분류정보
기본연구(2015-1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2.31
등록일
2016.04.04
요 약
제1장 서 론_3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과 방법	10
제2장 고교 직업교육에서 보통교과 교육의 목적_21
제1절 학교교육의 기능	21
제2절 직업교육의 목적과 방향	27
제3절 학교교육과 직업교육 목적에 의거한 특성화고등학교 보통교과 교육의 목적	38
제3장 특성화고등학교 보통교과 운영 현황_51
제1절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현황	51
제2절 교사 인식을 통해서 본 보통교과 현황	58
제3절 학생 인식을 통해서 본 보통교과 운영 현황	92
제4절 특성화고등학교 보통교과 운영 현황 분석의 주요 결과	113
제4장 보통교과 운영 현황 해외 사례_125
제1절 해외 사례 수집 방법	125
제2절 독일 직업교육에서의 보통교과 운영	129
제3절 호주 직업교육에서의 보통교과 운영	143
제4절 덴마크 직업교육에서의 보통교과 운영	159
제5절 소결 : 시사점	172
제5장 특성화고등학교 직업기초능력 교육 현황_179
제1절 직업기초능력 교육의 중요성	179
제2절 특성화고등학교 직업기초능력평가	200
제3절 직업기초능력 교육 운영	210
제4절 직업기초능력 교육의 방향	219
제5절 소결	231
제6장 결론 및 제언_237
제1절 특성화고등학교 보통교과 교육의 맥락과 문제점	237
제2절 특성화고등학교 보통교과 교육의 방향과 과제	249
SUMMARY_267
참고문헌_271
부    록_287
1. 부표	289
2. 교사용 설문지	298
3. 학생용 설문지	306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보통교과 교육이 어떻게 자리매김해야 하는가를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과 그에 따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의 목적과 직업교육의 목적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그와 연계하여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보통교과 교육의 방향이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보통교과의 공식적 교육 목적은 무엇이며, 보통교과의 교육 목적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은 무엇인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보통교과가 운영되는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현장 중심 직업교육이 강한 독일과 덴마크, 그리고 호주에서 보통교과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보통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특징은 무엇이며, 이들 나라의 보통교과 운영 사례가 우리나라 특성화고등학교 보통교과 운영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넷째,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업성취도 평가를 대치하여 실행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평가 결과의 환류 현황,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위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실태를 검토하고,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과 보통교과의 관계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제안하고자 한다.
  Emphasis on work-based learning has become an international trend as an policy measure to reduce youth unemployment and skill mismatch by strengthening the linkage between schools and labor market. In korea, strong policy have been implemented to increas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ho used to pursue higher education. As an outcome of a series of policies in recent years, peoples’ perspectives have been changed, considering learning specific skills are the most important in vocational high schools under the social slogan of “building the meritocratic society”, the meaning of which is rather obscure. Reflecting these trends, general subjects have been gradually neglected in vocational high schools in Korea. This study started based on a sense of crisis that while a society is over-emphasizing specific skills, there might be a danger of overlooking arguments that specific skills oriented education can not ensure the later period of workers’ lives than does the concept-based education due to lack of adaptability to the changing society.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the purpose of learning general subjec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explore th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with regard to general subjects, in a way that it can not only contribute the need of labor market but also for the good of student’s lifelong competitiveness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t the national level.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deployed in this study such as literatures review,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and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survey with teachers and student.
  The results provid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s the current status of general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First, despite of considerable differences in educational context between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officially the curriculum of general subjects of these two types of schools are the same. There is no guideline or system to help teachers of general subjec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to deal with less motivated students with less time for teaching than general high schools. Secondly, many teachers think that the number of courses for general subjec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need to be reduced and 21.8%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re is no need to learn general subjects. Third, more than half of students are aware of lack of basic ability for learning. Fourth, many teachers of general subjects are relatively alienated in the process curriculum planning and showed the tendency of less actively participating in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s the final conclusion of this study, two scenarios were provided which shows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In the Scenario 1,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Brunner(1960), Hirst(1965), Gardner(2006) and Young(2009), general subject would be more emphasized than now with changes in teaching method in order for students to be better equipped for the rapidly changing labor marker as well as enhance their wisdom for life and citizenship. On the other hand, in the Scenario 2, the objects of general subjects will be limited to facilitating development of basic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work places. In case of choosing the Scenario 1 as an policy direction, changes in curriculum, teacher placement and training, and quality control of teaching in order to assure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have chances to learn, at their piques of cognitive capacity, the “powerful knowledge” with “disciplinary minds” which will help them in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Addressing the limitation of the study, further suggestions of researches were made.
<표 1-1> 학생용 설문 내용	13
<표 1-2> 교사용 설문 내용	14
<표 1-3> 권역별 전공계열별 표집 학교 수	16
<표 2-1>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고등학교 교육목표 	44
<표 2-2> 2015년 교육과정 총론상의 고교 교육목표별 관련 교과	46
<표 3-1> 특성화고등학교 교과별 단위 배당 기준	53
<표 3-2> 전공별 교과 이수 단위 평균	56
<표 3-3> 설립별 교육과정 편성 단위	57
<표 3-4> 설문 응답자 현황	59
<표 3-5>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교사의 성별 및 연령 분포 차이	60
<표 3-6> 고교 직업교육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	62
<표 3-7> 설문에 응답한 연구자들의 특성	66
<표 3-8> 고교 직업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자와 교사의 인식 차이	67
<표 3-9> 고교 직업교육 목적에 대한 교사 집단 간 인식 차이	70
<표 3-10> 고교 직업교육 목적에 대한 연구자와 교사의 인식 차이	71
<표 3-11> 보통교과를 배우는 목적에 대한 교사 인식 차이	72
<표 3-12> 보통교과를 배우는 목적에 대한 연구자와 교사의 인식 차이	74
<표 3-13>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이상적인 수업시수 비율	75
<표 3-14> 담당교과 편성 시수의 적정성	76
<표 3-15> 교육과정 기획 과정에서 교사의 참여 기회 	77
<표 3-16> 2015년 신입생의 중학교 때 평균적인 학업성취 수준	77
<표 3-17> 담당교과의 목표 성취 수준 미달 학생 비율	78
<표 3-18>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	79
<표 3-19> 대학 진학 예정자를 위한 학습 프로그램 제공 여부	80
<표 3-20> 특성화고등학교에 근무하는 보통교과 교사에 대한 인식	83
<표 3-21>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의견	86
<표 3-22> 재직 중인 학교에 대한 평가	88
<표 3-23> 최근 1년간 교육훈련 참여	90
<표 3-24> 학생 설문 응답자 현황	92
<표 3-25>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고교 진학 목적	94
<표 3-26> 특성화고등학교 진학 만족도	95
<표 3-27> 특성화고등학교 졸업 후의 계획	96
<표 3-28> 선취업 후진학 계획 유무	97
<표 3-29> 대학 진학 시 전공 관련 학과 진학 여부	99
<표 3-30> 전공 관련 분야 취업 희망 여부	100
<표 3-31> 보통교과 학습 필요 유무	101
<표 3-32> 학생의 진로계획에 따른 보통교과 학습 필요성 인식	103
<표 3-33> 보통교과 필요성 인식과 관련된 변인	104
<표 3-34> 보통교과 학습 이유	105
<표 3-35> 교과별 학습을 위한 기초학력에 대한 학생 인식	108
<표 3-36> 기초학력 보충수업 참여 희망 여부	111
<표 3-37> 중 3때 내신 성적 수준	113
<표 4-1> 국가별 전문가 약력	128
<표 4-2> 외국 전문가에게 질문한 내용(독일 사례)	128
<표 4-3> 독일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 	132
<표 4-4> 바이에른 주의 ‘미용사’ 과정 수업시간: 비전일제 방식	134
<표 4-5> 바이에른 주의 ‘미용전문가’ 과정 수업시간: 전일제 방식	136
<표 4-6> 독일어 수업의 핵심영역, 추구하는 능력, 중점사항과 교육결과 	137
<표 4-7> 바이에른 주의 ‘미용사’ 과정의 전공교과 및 학습영역: 비전일제	138
<표 4-8> 직업학교 학생 수	140
<표 4-9> 호주 ‘VET in School’에 참여하는 15~19세 학생 수	147
<표 4-10> VET 프로그램 이수 현황 	147
<표 4-11> 호주 고등학교 국가교육과정	148
<표 4-12> VCE VET Program	151
<표 4-13> 영어 과목의 수업 활동 및 평가 내용	152
<표 4-14> 2014 학교 직업교육 개요(빅토리아 주 멜버른)	153
<표 4-15> VCAL 교육과정 설계 시 선택 가능한 교과 예시	155
<표 4-16> 직업교육훈련의 질 관리 기준 	157
<표 4-17> VET의 과목 성취 결과 보고 	158
<표 4-18> 덴마크 직업교육 프로그램 4개 영역	163
<표 4-19> 기초과정 1과 2의 교과 분포	165
<표 4-20> 기초과정 교과별 목표 예시	166
<표 4-21> 트럭정비사 기초2과정 교육목표 및 평가기준 	169
<표 5-1> 고졸인력이 주로 배치된 직종	181
<표 5-2> 기업의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에 대한 기대	183
<표 5-3> 기업의 특성화고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	185
<표 5-4> 직업기초능력의 하위영역	188
<표 5-5> 핵심역량 요소의 정의와 하위 요소	189
<표 5-6> 졸업생의 직장생활에서 직업기초능력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 인식	193
<표 5-7> 직업기초능력의 취업 도움에 대한 교사 인식	194
<표 5-8>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에게 중요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사인식	194
<표 5-9> 직업기초능력평가 주요 특징	200
<표 5-10> 직업기초능력평가의 영역	201
<표 5-11> 직업기초능력평가 대비 학생 준비활동 운영 여부	205
<표 5-12> 직업기초능력평가 결과의 활용 정도(n=1,253)	208
<표 5-13> 직업기초능력 교육(프로그램) 운영 인지도	211
<표 5-14> 주요 직업기초능력 교육 프로그램(예)	212
<표 5-15> 직업기초능력 교육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직업기초능력	214
<표 5-16> 직업기초능력 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215
<표 5-17> 직업기초능력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	216
<표 5-18> 직업기초능력 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간(M, SD)	216
<표 5-19> 직업기초능력 강화 교육 프로그램의 도움 정도	218
<표 5-20> 각 교과에서 중점적으로 계발해야 할 핵심역량 요소(예시)	222
<표 5-21> 「기술・가정」의 내용 체계	223
<표 5-22>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함양해야 할 핵심역량	226
<표 5-23>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별 목표와 역량과의 관련성	227
<표 6-1> 보통교과 운영 시나리오별 특성과 장단점 비교 	262
[그림 2-1] 한국 고교 직업교육에서 기능교육과 보통교과 강조 패턴	35
[그림 2-2] 직업계열 고등학교 보통교과 목적과 관련된 주요 개념	43
[그림 3-1]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보통교과 시수 변화	52
[그림 3-2] 보통교과 단위 수 분포	54
[그림 3-3] 전문교과 단위 수 분포	55
[그림 3-4] 고교 직업교육 방향에 대한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교사의 인식 	65
[그림 3-5] 고교 직업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자와 교사의 인식	68
[그림 3-6] 보통교과를 배우는 목적에 대한 연구자와 교사의 인식	74
[그림 3-7]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학 만족도 	95
[그림 3-8] 보통교과 학습 필요성에 대한 학생 인식	102
[그림 3-9] 보통교과에 대한 흥미와 어려움에 대한 학생 인식	106
[그림 3-10] 중학교와 비교한 시험문제 난이도에 대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인식	107
[그림 4-1] 독일의 직업교육 시스템 내의 이행 및 경로	131
[그림 4-2] 독일의 이원화 시스템	133
[그림 4-3] 도르트문트 공과대학 직업교사 교육 프로그램	142
[그림 4-4] 빅토리아 주의 고등학교 VET 학습경로	150
[그림 4-5] 덴마크 교육체제	162
[그림 4-6] 프로그램별 교육기간 예시	164
[그림 5-1] 중등직업교육기관(직업계열 고교)의 교육 목적에 대한 교사 의견	182
[그림 5-2] 직업기초능력의 개념도	187
[그림 5-3] 학생들이 직업기초능력을 배우고 싶어 하는 기관	195
[그림 5-4] 학생들이 직업기초능력을 습득해야 할 시기	196
[그림 5-5] 직업기초능력평가의 구성	201
[그림 5-6] 직업기초능력평가의 목적	204
[그림 5-7] 직업기초능력평가 대비 준비활동 형태	206
[그림 5-8] 직업기초능력평가제도 목적 인지 여부별 결과 활용 인식(교사)	207
[그림 5-9] 직업기초능력 교육 프로그램 담당	217
[그림 6-1] 특성화고등학교 보통교과 내용 적정화 과정	25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특성화고 보통교과 및 직업기초능력 제고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 2015.06.01~201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