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인적자원개발 협력 방안
Cooperation for Kazakhstan human resource development
- 저자
- 황규희 조정윤 이동욱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5-15)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5.12.31
- 등록일
- 2016.04.04
요 약 제1장 서 론_3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추진체계 6 제3절 연구 대상 구체화 10 제2장 카자흐스탄 현황과 과제_15 제1절 카자흐스탄 경제 및 노동시장 15 제2절 직업교육훈련 20 제3절 NQF, NCS 개선요구조사 25 제3장 카자흐스탄 NQF, NCS_45 제1절 NQF, NCS 개발 경과 45 제2절 NQF와 자격검정 49 제3절 NCS 개발과 활용 58 제4절 소결 65 제4장 자동차 정비_71 제1절 카자흐스탄 자동차 정비 부문 관련 현황 71 제2절 카자흐스탄 자동차 정비 부문 NQF, NCS의 도모 77 제3절 한국의 경험 84 제4절 소결 94 제5장 회 계_99 제1절 카자흐스탄 회계 부문 관련 현황 99 제2절 회계 부문 NQF, NCS 105 제3절 한국의 경험 124 제4절 소결 133 제6장 결 론_139 제1절 인적자원개발 정책에 대한 협력 방안 139 제2절 한국 정부에 대한 정책 제언 147 SUMMARY_151 참고문헌_155 부 록_159 1. 설문조사지(국문/러시아본) 161
2014년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포럼에서 제기된 한-카자흐스탄 인적자원개발 및 추진을 위한 구체적인 상호 협력 방안의 구체화가 요구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인적자원개발 및 추진을 위한 상호 협력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카자흐스탄은 우리나라와 매우 유사한 방향, 내용, 방법 등으로 교육훈련제도와 자격제도를 개선하고 있어 양국 간 정책추진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 학습하는 것이 매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looks at the state of development of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 (NQF) and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NCS) of Kazakhstan in overall level, specifically analysed the issues related to Vehicle Maintenance and Accounting. Initially, what is identified as the basic problems in NQF and NCS are as followings: first, analysis of labour market and needs of company/industry is very limited; secondly, most of job analysis and competence analysis confronts to lack of participation of field experts and rely too much on foreign resources. ...
<표 1-1> KOICA 카자흐스탄 ODA(1991-2011) 10 <표 2-1> 카자흐스탄 일반 개황(2015) 15 <표 2-2> 카자흐스탄 주요 경제지표 추이 16 <표 2-3> 카자흐스탄 주요 노동시장 지표 16 <표 2-4> 경제활동별 월평균 명목임금 17 <표 2-5> 고등교육 전공 분야별 월평균 급여 18 <표 2-6> 고등교육 전공 분야별 학생 수의 변화(2012~2014) 18 <표 2-7> 설문조사 대상 26 <표 2-8> 설문지 응답 분류 28 <표 2-9> NQF 개발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요소 28 <표 2-10> NQF 활용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요소 29 <표 2-11> NQF 개발과 활용을 주도할 기관 30 <표 2-12> NQF 개발 시 가장 어려웠던 점 31 <표 2-13> NQF 활용의 이점 32 <표 2-14> NCS 개발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할 요소 32 <표 2-15> NCS의 활용을 고려할 때 이의 개발을 주도할 기관 33 <표 2-16> NCS 개발 시 가장 어려웠던 점 34 <표 2-17> NCS 활용의 이점 35 <표 2-18> NCS 기반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 시 어려움 36 <표 2-19> 정부 공무원과 전문가 집단의 차이 37 <표 2-20> 자동차 정비 분야 그룹별 응답자 수 38 <표 2-21> 자동차 정비 분야 NCS 기반 인력양성을 위한 우선순위 분석 결과 38 <표 2-22> 회계 분야 그룹별 응답자 수 40 <표 2-23> 회계 분야 NCS 기반 인력양성을 위한 우선순위 분석 결과 41 <표 3-1> 카자흐스탄 8단계 NQF 50 <표 3-2> 수준별 성취지표 52 <표 3-3> NCS 개발 흐름 종합 비교 68 <표 4-1> 공석과 수요(2015) 72 <표 4-2> 2010~2014 차량 관련 서비스 분야에 고용된 인력 수 72 <표 4-3> 자동차 정비 학생 수 72 <표 4-4> 자동차 정비 분야 2010~2014년 직업학교 자격 있는 졸업생 수 73 <표 4-5> 호주의 자동차 정비 직무(레저 차량 정비 2수준)의 능력단위 73 <표 4-6> GCEA 코드상의 차량 정비 77 <표 4-7> ‘자동차 운송의 정비, 수리 및 운영’1201000을 구성하는 자격 79 <표 4-8> 자동차 정비, 운영 수리의 전문 영역에 대한 모델 교육과정의 훈련체계 82 <표 4-9> 자동차 정비 직무 구조 84 <표 4-10> 국내 자동차 정비 분야 NCS(수준: 2/3/4) 89 <표 5-1> 카자흐스탄 회계사 운영 현황(2014. 8. 1.) 103 <표 5-2> 카자흐스탄 NQF 수준 107 <표 5-3> 회계사의 주요 직무 109 <표 5-4> 회계기록 유지・관리 110 <표 5-5> 기업의 재무제표 제출 및 작성 114 <표 5-6> 국내 회계 분야 NCS 125 <표 5-7> 회계 분야 자격 129 [그림 1-1] 연구체계 7 [그림 1-2] NCS 개발 흐름 9 [그림 2-1] 자동차 정비 분야 NCS 기반 인력양성을 위한 제도 개요도 27 [그림 3-1] 카자흐스탄 NCS 개발 개념도 61 [그림 3-2] 카자흐스탄에서 보는 직업-직무 연관체계 62 [그림 4-1] 자동차 정비 분야 호주 자격의 개발경로 76 [그림 4-2] 2010년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교육과정 운영과 평가 86 [그림 4-3] 자동차 정비 분야 평생경력개발경로 93 [그림 5-1] 회계 분야 평생경력개발경로 12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카자흐스탄 인적자원개발 협력 방안 | 2015.01.01~2015.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