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대학생 핵심역량 지원 방안 연구

The Study of Korean Occupational Index(2015)
저자
손유미 송창용 이현정
분류정보
기본연구(2015-2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2.31
등록일
2016.04.0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6
제3절 연구 방법	7
제2장 대학생 핵심역량 선행연구 및 지원 정책_11
제1절 핵심역량 관련 선행 연구 분석	13
제2절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도구 실태	21
제3장 K-CESA 성과와 개선과제_31
제1절 K-CESA 참여 현황	33
제2절 K-CESA 활용 실태 	38
제3절 K-CESA 진단 만족도 조사 결과 	51
제4절 K-CESA 문제점과 개선 과제	57
제4장 대학생 핵심역량 지원 실태 및 우수 사례_61
제1절 국내대학 핵심역량 지원 실태	63
제2절 우수 사례 	76
제3절 시사점 	103
제5장 정책 제언_107
SUMMARY_115
참고문헌_121
부록_125
  본 연구는 단순히 역량 진단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토대로 학교 교육과정 개선에 활용되어 궁극적으로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향상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고등교육의 역량 강화를 통해 국가 인적자원개발 차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etailed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lculate occupational index for major occupations in Korea, the USA, Germany, Japan, and so forth.
  Second, analyze issues about skill,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short-term labor, qualification and training based on major countries’ workforce investigation result.
  Third, analyze not only economic conditions in Korea, the USA, Germany, Japan, and so on, but also culture and system related with occupation.
  Fourth, suggest an alternative for improving workforce professionalism and labor condition based on major countries’ occupational index investigation result. 
  Main methods of this study are literature review, survey, conducting a seminar, and so forth. Survey is the core method of this study. We performed a survey to calculate the occupational index for major workforces in Korea, the USA, Germany, and Japan. Survey method is web-based and goal of respondents is 4,000 people in four countries. Investigation period is from 19th of May, 2015 to 8th of July, 2015. ...
<표 1-1> 대학생 핵심역량 지원 실태와 지원 방안 조사	8
<표 1-2> K-CESA 활용 실태와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한 조사	8
<표 1-3> 계량 분석 연구 방법의 개요	9
<표 2-1> K-CESA 사업 추진경과	20
<표 2-2> K-CESA 핵심역량과 유사한 국․내외 진단도구 요약표	23
<표 3-1> 연도별 진단평가 참여 대학 수	34
<표 3-2> 연도별 진단참여 학생 수	36
<표 3-3> 설문 응답자의 소속 대학	40
<표 3-4> 설문응답자 소속 대학 규모	40
<표 3-5> 설문응답자 소속 대학 소재지	41
<표 3-6> 설문응답자의 전공계열	41
<표 3-7> 설문응답자의 관련업무 담당기간	42
<표 3-8> K-CESA 인지도	43
<표 3-9> K-CESA를 진단 실시 여부	44
<표 3-10> K-CESA 진단 목적(중복응답)	45
<표 3-11> K-CESA 진행시 어려움(중복응답)	47
<표 3-12> K-CESA 진단율 제고를 위한 보상제도 도입 여부	48
<표 3-13> K-CESA 진단 결과 활용(중복응답)	49
<표 3-14> K-CESA의 핵심역량으로 추가해야 할 핵심역량	51
<표 3-15> ‘각 영역 문항이 해당 영역의 능력을 잘 측정한다고 생각하십니까’의 설문 결과	52
<표 3-16> ‘각 문항을 성실하게 응답하였습니까’의 설문 결과	54
<표 3-17> ‘주위 선후배 혹은 친구들에게 본 진단를 받아보도록추천하시겠습니까?’의 설문 결과	55
<표 3-18> ‘각 영역의 역량이 대학생활(수업, 팀프로젝트, 동아리)을 통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의 응답 결과	56
<표 3-19> ‘해당 역량이 강화되는 데 가장 도움이 되는 활동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의 응답 결과	57
<표 4-1> 핵심역량을 강조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 정도	65
<표 4-2> 핵심역량 강조 계기	66
<표 4-3> 핵심역량 진단도구	67
<표 4-4>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시 어려움 	68
<표 4-5>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편 노력	69
<표 4-6>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법(중복 응답)	70
<표 4-7>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72
<표 4-8>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방안	73
<표 4-9> 교양 교과목 핵심역량 연계 예시(‘2015학년도 학업이수가이드’ 수록 형태)	85
<표 4-10> 인재상과 6대 핵심역량 연계	93
<표 4-11> 6대 핵심역량과 교과목의 상관관계	97
<표 4-12> 전북대학교의 핵심 성과지표	99
<표 4-13> 전북대학교의 핵심역량인증제 운영 방법	100
<표 4-14> 전북대학교의 핵심역량체계 통합관리 명칭	102
[그림 3-1] K-CESA 진단 참여 대학 수 추이	34
[그림 3-2] K-CESA 진단 참여 대학 규모별 추이	35
[그림 3-3] K-CESA 진단 참여 대학 지역별 추이	35
[그림 3-4] ‘각 영역 문항이 해당 영역의 능력을 잘 측정한다고 생각하십니까’의 설문 평균	53
[그림 4-1] 동국 참사람 핵심역량 도출 구조	79
[그림 4-2] 역량기반 학과(전공) 교육과정 횡단적 구축 및 운영 프로세스	83
[그림 4-3] 역량기반 학과(전공) 교육과정 종단적 운영 및 관리 프로세스	84
[그림 4-4]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이수 체계	86
[그림 4-5] D-CESA 진단, 결과조회 전산 시스템 화면	87
[그림 4-6] 전북대학교 발전계획 목표 및 비전	94
[그림 4-7] 전북대학교의 교육목표 및 인재상	95
[그림 4-8] 전북대학교 핵심역량인증제 구성	96
[그림 4-9] 핵심역량 인증 체계	96
[그림 4-10] 강의계획서 6대 핵심역량 반영비율 예시	98
[그림 4-11] 비교과 핵심역량 반영 포인트	98
[그림 4-12] 전북대학교 교육과정 고유모델	100
[그림 4-13] 학생별 핵심역량 성취도	10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대학생 핵심역량 지원 방안 연구 2015.06.01~201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