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

Function Expansion Plan for Colleges as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저자
강일규 윤형한 조희경
분류정보
기본연구(2015-1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2.31
등록일
2016.04.0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5
제3절  연구의 범위와 한계	8
제2장 선행 연구 및 외국 사례_11
제1절  기능의 개념과 전문대학	13
제2절  선행 연구	25
제3절  외국 사례	34
제3장 관련 법령과 환경 변화_63
제1절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관련 법령	65
제2절  전문대학의 현황과 환경 변화	90
제3절  시사점	105
제4장 전문대학 기능 확충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분석_123
제1절  조사 개요	125
제2절  조사 결과	126
제3절  시사점	157
제5장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_163
제1절  기능 확충의 기본 모형과 전제	165
제2절  기능 확충의 방향과 전략	170
제3절  기능 확충 방안	174
제4절  결론 및 제언	186
SUMMARY_189
참고문헌_199
부록_207
  본 연구는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의 학내외 환경 변화와 기능의 확충 요구 등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의 전반적인 기능 확충 방안 모색을 통한 전문대학의 위상 정상화와 역할 제고 등에 중점을 두려고 한다.  
  Society constantly changes and evolves. Social changes influence policies, and these policies are inherited and implemented through the process of maintaining and amending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existing policies. Again, these policy changes can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influence various social groups, organizations and even our daily life. 
  In this context, the Korea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field is no excep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Western education model, Korea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has undergone constant changes and development. These changes and development are believed to have greatly contributed to industr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and social stability in Korea. However,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both academic and industrial fields, have also faced changes i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environment. These problems include the decrease of birth rates, changes in industrial technology level and demand, and globalization. Therefore, a change in roles and functions of colleges, which are in charge of higher vocational education, is an urgent issue today. ...
<표 2-1> 전문대학의 변천 과정	23
<표 2-2> 사회변화와 전문대학의 역할	24
<표 3-1> 지역별 전문대학 수 및 학생 정원(2014)	91
<표 3-2> 전문대학 장학금 지급 현황	93
<표 3-3> 직업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교육기관 비교	99
<표 3-4> 평생직업교육대학의 추진 내용	117
<표 3-5> 전문대학의 학위과정별 현황	120
<표 4-1> 조사의 내용	126
<표 4-2> 전문대학의 대내외 상황(SWOT)(안)	127
<표 4-3> 전문대학의 대내외 상황에 대한 의견	128
<표 4-4> 전문대학의 대내외 상황(SWOT)(수정)	133
<표 4-5> 전문대학의 목적에 대한 의견	134
<표 4-6> 전문대학의 기능에 대한 의견	141
<표 4-7>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에 대한 제안	149
<표 4-8> 전문대학의 기능 다양화를 위한 고려사항	153
<표 5-1>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 방향(안)	180
[그림 1-1] 연구 절차 및 연구 내용 개요	8
[그림 2-1] 목표․수단의 연쇄 모형	15
[그림 2-2]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모형	16
[그림 3-1] 연도별 학생 정원 추이	92
[그림 3-2] 전문대학의 주요 기능	95
[그림 3-3] 산업기술 발전에 대응하는 인력구조의 변천	96
[그림 3-4] 고교 졸업자 수의 현황 및 미래 예측(1998~2030년)	98
[그림 3-5] 전문대학과 일반대학의 취업률 변화 추이(1985~2012년)	103
[그림 3-6] 전문대학 특성화 사업 비전 체계도	113
[그림 3-7] 평생직업교육대학 비전 체계도	116
[그림 3-8] 평생직업교육대학 운영 체제	117
[그림 4-1] 전문대학의 역할 수행에 대한 의견(n=15)	138
[그림 4-2] 전문대학의 효율적인 역할 수행을 위한 과제(n=15)	140
[그림 4-3] 중견직업인과 전문직업인의 개념 비교	145
[그림 4-4] 잠정적인 전문대학 기능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n=15)	146
[그림 4-5] 전문대학 기능의 질적 제고를 위해 필요한 과제(n=15)	148
[그림 4-6] 전문대학의 새로운 기능에 대한 의견(n=15)	152
[그림 4-7] 전문대학의 기능 다양화를 위한 고려사항(n=15)	156
[그림 5-1]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 연구 모형(안)	166
[그림 5-2] 전문대학 기능 확충의 기본 전제 영향 요인	167
[그림 5-3] 전문대학 기능 확충의 기본 방향과 전략(안)	171
[그림 5-4] SG에 따른 산학협력업체 리포지셔닝	18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 2015.04.01~201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