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중심사회의 비전과 방향
Vision and Directions of Capability-oriented Society in Korea
- 저자
- 정지선 양정승 김봄이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5-3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5.12.31
- 등록일
- 2016.04.0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추진 방법 5 제2장 이론적 논의_9 제1절 학력의 팽창과 인적자본론 11 제2절 능력중심사회의 정의 14 제3절 능력중심사회의 구성요소 16 제3장 능력중심 인사관리의 해외 사례_21 제1절 능력중심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제도 24 제2절 노동시장의 능력중심 채용제도와 보상체제 44 제3절 지속적 능력개발을 위한 평생학습 50 제4절 시사점 51 제4장 능력중심사회 비전 제시를 위한 델파이 조사_55 제1절 능력중심사회의 비전 58 제2절 교육훈련시장과 능력중심사회 61 제3절 노동시장과 능력중심사회 68 제4절 교육시장과 노동시장의 연계 74 제5절 제안된 정책의 우선순위 79 제5장 능력중심사회의 정책 방향_91 제1절 능력중심사회의 비전 달성 주요 정책 방향 93 제2절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인프라 구축방향 97 SUMMARY_101 참고문헌_107 부 록_111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능력중심사회를 정립하기 위한 초석을 제공하기 위해서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능력중심사회의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여 배출하기 위해서 능력중심사회에서 교육훈련시장과 인력양성의 방향이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 또한 노동시장에서 채용와 보상체제는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하는지 등을 논의하여 한국 사회가 능력중심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the vision and directions of capability-oriented society which is one of the major government policies currently in Korean society. To achieve the purpose literature review of related material, delphi method, analysis of foreign cases are employed.
<표 3-1> 독일자격체계(DQR)의 단계 수준 26 <표 4-1> 델파이 전문가 패널 구성 57 <표 4-2> 능력중심사회의 비전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60 <표 4-3> 바람직한 교육훈련시장의 모습 62 <표 4-4> 교육훈련시장에서 능력중심사회 실현을 저해하는 요인 63 <표 4-5> 교육훈련시장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 65 <표 4-6> ‘성공적 능력중심 교육훈련시장을 위한 인프라’ 조사 결과 67 <표 4-7> ‘바람직한 노동시장의 모습’에 대한 조사 결과 68 <표 4-8> ‘능력중심사회 저해 요인’에 대한 조사 결과 70 <표 4-9> 노동시장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 71 <표 4-10> 성공적 능력중심 노동시장을 위한 인프라 73 <표 4-11> ‘연계 방향’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74 <표 4-12> 교육시장 노동시장 연계 저해 요인 76 <표 4-13>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를 위한 우선 추진과제 77 <표 4-14> 성공적 교육-노동시장 연계 인프라 78 <표 4-15> 확정된 정책 방향 80 <표 4-16> 1순위 응답 비율 84 [그림 3-1] 국가별 청년층의 상대적 실업률 비교 28 [그림 3-2] 스위스와 OECD 국가의 평생학습 참여율 비교(2012년) 2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능력중심사회의 비전과 방향 | 2015.08.01~2015.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