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고용 이슈분석과 정책과제

Analysis of Youth Employment Issue and Policy Suggestion
저자
오호영 나영선 이수경 류지영
분류정보
기본연구(2015-3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5.12.31
등록일
2016.04.0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제2장  대졸 부모의존 성인자녀 실태와 과제_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에 대한 시사점	15
제3절 대졸 부모의존 성인자녀 현황	21
제4절 로짓분석	48
제5절 정책과제	57
제3장  NCS 기반 채용과 청년고용 활성화 과제_65
제1절 배경	67
제2절 NCS 기반 채용 프로세스	70
제3절 NCS 기반 채용 여건 분석	77
제4절 NCS 기반 채용 성과	81
제5절 정책과제	87
제4장 청년고용 측면에서 본 일학습 병행제와 청년인턴제_91
제1절 청년 노동시장과 일학습 병행제	93
제2절 일학습 병행제 개요 	96
제3절 일학습 병행제와 청년인턴제	101
제4절 일학습 병행제와 청년인턴제의 정책 이슈	105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_111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113
제2절 정책과제	115
SUMMARY_119
참고문헌_125
  본 보고서의 연구 목적은 고용노동부 수탁과제 ‘능력중심사회 구현 및 청년고용활성화 포럼’과 연계하여 청년고용 관련 현안 이슈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여 포럼에서 발표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청년고용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독립된 세 가지의 소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추진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policy implication on youth employment through conducting an analysis on recent issues about youth employment, which were discussed in ‘Establishment of competency-based society and vitalization of youth employment forum’, assign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also collecting expert opinion poll. For an analysis,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subtopics as follows. 
  Firstly, we conduct an in-depth research on the state and underlying causes of college-graduates adult children with parental dependency and draw policy suggestions. Secondly, we study how NCS-based employment is proceeded through which process and how does this newly introduced policy contribute to vitalize college-graduates employment, and then draw policy suggestions. Thirdly, as both the Work-Study Dual System and Youth Internship Program are important youth employment policy, we compare characteristics of two policies’ operations and current situation, and then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Korean-style apprenticeship system. ...
<표 2-1> 부모의존 성인자녀 조작적 개념정의	24
<표 2-2> 부모의존 성인자녀 실태	24
<표 2-3> 결혼 여부별 캥거루족 현황	26
<표 2-4> 1인 가구와 캥거루족	26
<표 2-5> 경제활동 상태별 캥거루족 현황	27
<표 2-6> 종사상 지위별 캥거루족 현황	29
<표 2-7> 주로 하는 일과 캥거루족 유형별 실태	30
<표 2-8> 직장 유형별 캥거루족 실태	31
<표 2-9> 소득계층별 캥거루족 실태	32
<표 2-10> 캥거루족 유형별 월평균 소득	33
<표 2-11> 학력별 캥거루족 실태	34
<표 2-12> 전공별 캥거루족 실태	35
<표 2-13> 출신학교 소재지와 캥거루족 현황	36
<표 2-14> 출신대학 소재지·현재거주지와 캥거루족 현황	37
<표 2-15> 부모의 월평균 소득과 캥거루족 현황	39
<표 2-16> 4년제 대학 서열별 경제활동 상태	46
<표 2-17> 대학서열별 캥거루족 유형	47
<표 2-18> 요약 통계	49
<표 2-19> 캥거루족에 대한 로짓분석(취업, 비취업 모두 포함)	54
<표 2-20> 캥거루족에 대한 로짓분석(비취업 제외, 취업만 포함)	56
<표 3-1> NCS 기반 채용 프로세스	74
<표 3-2> NCS 기반 능력중심 채용 이후 권역별 출신대학 분포	81
<표 3-3> 기존 학벌 중심의 채용 관련 상위 3개 대학	82
<표 3-4> NCS 기반 능력중심 채용 우수사례	83
<표 3-5> 민간기업 NCS 기반 채용 컨설팅 우수사례	85
[그림 2-1] 연구 모형	21
[그림 2-2] 학력별·경제활동 상태별 캥거루족 실태	35
[그림 2-3] 아버지의 학력별 캥거루족 비율	39
[그림 2-4] 부모소득과 자녀소득별 캥거루족 비율	40
[그림 2-5] 대학선택 기준별 캥거루족 비율	42
[그림 2-6] 전공선택 기준별 캥거루족 비율	42
[그림 2-7] 대학졸업 전 취업목표 유무	43
[그림 2-8] 백분율 졸업평점별 현황	44
[그림 2-9] 4년제 대학 서열별 캥거루족 현황	45
[그림 2-10] 4년제 대학 서열별 취업자의 캥거루족 비율	46
[그림 3-1] NCS 기반 채용 유형별 적용 도표	72
[그림 3-2] NCS 기반 공정사회 실현도	73
[그림 3-3] NCS 기반 채용제도 도입 전후 비교	7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청년고용 이슈분석과 정책과제 2015.07.01~2015.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