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운영 실태 조사 분석 및 발전 방안

The Actual Condition Investigation Analysis and Development Plans 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Project Supported by Government Ministeries
저자
김기홍 강일규
분류정보
기본연구(2016-3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07.31
등록일
2016.09.26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5
제3절 연구 방법	5
제2장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개요_9
제1절 사업 추진 개요	11
제2절 사업 추진 운영 모형	13
제3장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운영 실태 조사 분석_15
제1절 조사 개요	17
제2절 조사 결과	23
제3절 시사점	82
제4장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발전 방안_83
제1절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확대 방안	85
제2절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운영 활성화 방안	86
SUMMARY_93
참고문헌_99
부록_101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추진하였다.
 첫째,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의 개요를 살펴보고 2005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의 추진 경과를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사업 추진 모형을 살펴봄으로써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의 전반적인 정책 변화 추이와 성과 분석을 통해 사업 발전 방안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운영 실태 조사 및 분석이다.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특성화고를 대상으로 학교 현황, 사업 운영 현황, 사업성과 및 목표, 사업 운영 만족도, 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등을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셋째,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발전 방안이다.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운영 실태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관련 교사 및 정부 부처 관계자 워크샵과 포럼, 전문가협의회와 자문회의 등을 통해 논의된 의견을 중심으로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운영 개선 방안, 사업 확대 방안, 사업 운영 활성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uggest the policy improvement plans by investigating the operation condition(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project supported by government miniseries so th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project may be strengthened employment of high school graduates and may be field-centered education and training that education consumers are satisfied. The research applied its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actual condition investigation, and expert conferences to produce objective and appropriate result.
<표 2-1>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추진 경과	11
<표 2-2>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추진 운영 모형	14
<표 3-1> 조사내용	17
<표 3-2> 학교 소재지 및 계열별 응답자 현황	19
<표 3-3> 재정지원 부처별 응답자 현황	20
<표 3-4> 사업 참여 연도별 응답자 현황	21
<표 3-5> 연간 평균 지원 예산액 규모별 응답자 현황	22
<표 3-6> 학급 편성 및 학생 현황(’16.3 기준)	23
<표 3-7>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참여 학급 및 학생 수	25
<표 3-8> 평균 학력 이상의 학생 유치 실적	26
<표 3-9> 졸업자의 취업과 진학 현황–학교 전체	27
<표 3-10> 졸업자의 취업과 진학 현황–참여 학과 혹은 학생	28
<표 3-11> 졸업자의 자격증 취득률–참여 학과 혹은 학생	29
<표 3-12> 성과목표	32
<표 3-13> 소재지별 성과목표	34
<표 3-14> 계열별 성과목표	35
<표 3-15> 특성화고 지원 단위	36
<표 3-16> 관련 부처와의 협의회 운영 실태	38
<표 3-17> 위탁운영기관과의 협의회 운영 실태	39
<표 3-18> 협업 프로그램 운영 실태	40
<표 3-19> 관련 부처 혹은 위탁 운영기관에 의한 성과관리 시스템운영 실태	41
<표 3-20> 사업 참여 체제 구축 실태	42
<표 3-21> 부처 연계 특성화 교육과정 혹은 프로그램 개발의 충분성	43
<표 3-22> 부처 연계 특성화 교과서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충분성	44
<표 3-23> 표준화된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개발의 충분성	45
<표 3-24> 부처 연계 현장실습 및 견학 정례화 정도	46
<표 3-25>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운영 현황에 대한 인식	47
<표 3-26> 사업을 지속적으로 전담할 전문교과 교원의 충분성	48
<표 3-27> 참여 교원의 역량 강화 및 지원의 지속성	49
<표 3-28> 산학겸임교원 및 외부 전문 강사 활용의 충분성	50
<표 3-29> 학생 유치 및 홍보의 충분성	51
<표 3-30> 적합한 학생 선발 정도	52
<표 3-31> 부처의 특성화된 교육훈련 지원의 충분성	53
<표 3-32> 부처 행·재정 지원의 충분성	54
<표 3-33> 특성화 시설·기자재 확보 및 활용 관리 정도	55
<표 3-34> 부처 연계 취업지원의 충분성	56
<표 3-35> 지역 산업체로의 취업 연계 강화 및 지원 정도	57
<표 3-36> 사업 관리 및 평가에 대한 인식	58
<표 3-37> 관련 부처 혹은 위탁 운영기관 사업 성과관리의 공정성	59
<표 3-38> 관련 부처 혹은 위탁 운영기관 사업 컨설팅의 충분성	60
<표 3-39> 사업 평가와 결과의 활용	61
<표 3-40> 사업 운영 체제 및 부처간 네트워킹 만족도	62
<표 3-41> 부처 연계 교육과정 편성 운영 만족도	64
<표 3-42> 부처 지원 산·학·관 연계 현장실습 만족도	65
<표 3-43> 성과 관리 및 평가 만족도	66
<표 3-44> 취업 연계 지원 만족도	67
<표 3-45> 재정 운영 만족도	68
<표 3-46> 사업과 관련한 애로 사항	70
<표 3-47> 사업 개선 사항	71
<표 3-48> 교육부, 시도교육청, 관련 부처에 대한 요구	74
<표 3-49> 참여 부처별 사업 관련 취득 가능 자격증명	76
<표 3-50> 사업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안 	80
<표 4-1> 신규 고졸인력양성-채용연계 강화(안)	86
<표 4-2> 자격취득 연령 제한 사례	89
<표 4-3> 신규 국가기술자격 종목의 기능사 등급 신설	90
<표 4-4> 정부부처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확대 가능 분야	9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단기수시)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운영 실태 조사 분석 및 발전 방안 2016.05.01~2016.07.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