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실태 및 정착성과 분석

An Analysis of Labor Market Adaptation Status and Landing Outcome of Apprentices
저자
전승환 황성수 김대영 이한별 정동열
분류정보
기본연구(2016-2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0.31
등록일
2016.12.30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5
제3절 연구의 방법	7
제2장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 현황 및 이슈 분석_19
제1절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 현황	21
제2절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 이슈	32
제3장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 노동시장 적응 및 정착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_51
제1절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 및 정착 관련 이론적 검토	53
제2절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 및 정착 관련 선행연구 검토	59
제3절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 및 정착 개념 틀 설계	68
제4장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실태 및 정착성과 분석_71
제1절 분석 개요	73
제2절 설문조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75
제3절 학습근로자의 일학습병행제 참여 실태	77
제4절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실태	105
제5절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정착성과	124
제5장 주요 연구 결과 논의 및 정책 제안_159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논의	161
제2절 정책 제안	167
SUMMARY_181
참고문헌_185
부록_189
[부록 1] 설문조사지	191
[부록 2] 중도탈락자 대상 FGI 질문 목록	208
[부록 3] 참여 기업 관계자(기업 현장 교사, HRD 담당자) 대상 FGI 질문 목록	211
[부록 4] 학습근로자(참여자, 이수자) 대상 FGI 질문 목록	217
 본 연구의 목적은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실태 및 정착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습근로자의 효율적인 노동시장 적응 및 정착을 위한 정책 제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 현황 및 이슈를 분석한다.
둘째,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 노동시장 적응 및 정착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를 분석한다.
셋째,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실태 및 정착성과를 분석한다.
넷째,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 및 정착을 위한 정책 제안을 제시한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labor market adaptation status and landing outcome of apprentices. Based on this, it tries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for apprentices’ better adaption and soft landing on the labor market. This research mainly uses the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survey, Focus Group Interview(FGI), expert meeting, and seminar. 
 There are 7 main results in regard to labor market adaptation and 5 main results related to labor market landing outcome as below.
1) Labor market adaptation status of apprentices
2) Labor market landing outcome of apprentices
<표 1-1> FGI 회차별 진행 내용	15
<표 2-1> 운영 절차별 학습근로자 현황	22
<표 2-2> 운영 유형별 학습근로자 현황	24
<표 2-3> 기업 규모별 학습근로자 채용 계획 현황	25
<표 2-4> 고용 형태별 학습근로자 현황 	25
<표 2-5> 학습근로자 인구학적(성별, 연령별) 현황	26
<표 2-6> 학력별 학습근로자 현황	28
<표 2-7> 학습근로자 임금 수준별 기업 현황	29
<표 2-8> 학습근로자 외부 평가 응시 현황	30
<표 2-9> 학습근로자 중도탈락 현황	31
<표 2-10> 학습근로자 중도탈락률 현황	35
<표 2-11> 중도탈락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36
<표 4-1> 학습근로자 대상 설문지 내용 구성	74
<표 4-2> 설문조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76
<표 4-3> 일학습병행제 참여 목적	78
<표 4-4> 일학습병행제 참여 경로	79
<표 4-5> 일학습병행제 참여 결정 요인	80
<표 4-6> 직장 선택 기준	81
<표 4-7> 일학습병행제 미참여 시 진로 계획	81
<표 4-8> 동료 근로자 대비 휴가/휴일 일수	84
<표 4-9> OJT 스케줄	86
<표 4-10> OJT 운영 시기	87
<표 4-11> OJT 운영 시간(주당)	88
<표 4-12> OJT 운영 방식	89
<표 4-13> OJT 참여 과정에서의 애로 사항	90
<표 4-14> Off-JT 스케줄	91
<표 4-15> Off-JT 운영 시기	92
<표 4-16> Off-JT 운영 방식	93
<표 4-17> Off-JT 참여 과정에서의 애로 사항	95
<표 4-18> 학습 내용과 수행 직무 및 전공과의 일치성	96
<표 4-19> 일학습병행제 참여에 대한 조직 차원의 지원: 운영 유형 및 기업 규모에 따른 차이	98
<표 4-20> 내부 평가 경험 유무	99
<표 4-21> 내부 평가 시 애로 사항	101
<표 4-22> 외부 평가 경험 유무	102
<표 4-23> 외부 평가를 받지 않은 이유	103
<표 4-24> 외부 평가 합격 여부	103
<표 4-25> 외부 평가 시 애로 사항	104
<표 4-26> 학습한 내용의 현업적용도	105
<표 4-27> 학습근로자 개인 특성에 따른 현업적용도 수준 차이	106
<표 4-28> 일학습병행제 참여 형태에 따른 현업적용도 수준 차이	108
<표 4-29> 학습 형태 및 평가 방식에 따른 현업적용도 수준 차이	110
<표 4-30> 조직 및 직무 적응 정도	113
<표 4-31> 학습근로자 개인 특성에 따른 조직 및 직무 적응 수준 차이	113
<표 4-32> 일학습병행제 참여 형태에 따른 조직 및 직무 적응 수준 차이	115
<표 4-33> 조직 및 직무 적응 수준과 조직 차원의 지원과의 상관관계	116
<표 4-34> 직무수행능력 향상 정도	118
<표 4-35> 학습근로자 개인 특성에 따른 직무수행능력 향상 수준 차이	119
<표 4-36> 일학습병행제 참여 형태에 따른 직무수행능력 향상 수준 차이	121
<표 4-37> 학습 형태 및 평가 방식에 따른 직무수행능력 향상 수준 차이	123
<표 4-38>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만족도	125
<표 4-39> 학습근로자 개인 특성에 따른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만족 정도 차이	126
<표 4-40> 일학습병행제 참여 형태에 따른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만족 정도 차이	127
<표 4-41> 임금 수준에 따른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만족 정도 차이	128
<표 4-42>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몰입 정도	130
<표 4-43> 학습근로자 개인 특성에 따른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몰입 정도 차이	131
<표 4-44> 일학습병행제 참여 형태에 따른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몰입 정도 차이	133
<표 4-45> 임금 수준에 따른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몰입 정도 차이	134
<표 4-46> 경력에 대한 몰입 정도	136
<표 4-47> 학습근로자 개인 특성에 따른 경력 몰입 수준 차이	137
<표 4-48> 일학습병행제 참여 형태에 따른 경력 몰입 수준 차이	138
<표 4-49> 임금 수준에 따른 경력 몰입 수준 차이	139
<표 4-50> 일학습병행제 참여 과정에서의 처우	140
<표 4-51> 학습근로자의 월평균 임금 수준	142
<표 4-52> 학습근로자 개인 특성 및 임금 수준에 따른 보수 및 복리 후생에 대한 만족 수준 차이	143
<표 4-53> 현재 직장에 대한 근속 의지	145
<표 4-54> 학습근로자 개인 특성에 따른 근속 의지 수준 차이	146
<표 4-55> 일학습병행제 참여 형태에 따른 근속 의지 수준 차이	148
<표 4-56> 임금 수준에 따른 근속 의지 수준 차이	149
<표 4-57> 일학습병행제 중도 포기 사유 관련 FGI 주요 결과	151
<표 4-58> 일학습병행제 중도탈락 방지 대책 관련 FGI 주요 결과	152
<표 4-59> 생산성 향상에의 기여	153
<표 4-60> 학습근로자 개인 특성에 따른 생산성 향상에의 기여 수준 차이	153
<표 4-61> 일학습병행제 참여 형태에 따른 생산성 향상에의 기여 수준 차이	155
<표 4-62> 학습 형태 및 평가 방식에 따른 생산성 향상에의 기여 수준 차이	157
[그림 1-1] 연구 절차 및 방법 	8
[그림 1-2] FGI 추진 절차 및 내용	14
[그림 3-1] 고졸 초기 경력자의 직장 적응실태 분석 내러티브 조사 내용 구조	61
[그림 3-2] 고졸 초기 경력자의 직장 적응의 개념도	62
[그림 3-3]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 적응 연구 모형	63
[그림 3-4] 중년 (재)취업 여성의 직장 적응에 대한 이론적 틀	65
[그림 3-5] 마이스터고 노동시장 이행 성과의 개념적 틀	66
[그림 3-6]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 노동시장 적응실태 및 정착성과 분석 틀	69
[그림 4-1] 훈련 시작 시점에서 일학습병행제에 대한 이해도	82
[그림 4-2] 학습근로자의 1주 평균 근무 일수, 정규 근로 시간 및  초과 근로 시간	83
[그림 4-3] 동료 근로자 대비 학습근로자의 업무량, 업무 강도 및  업무 난이도	85
[그림 4-4] 일학습병행제 참여에 대한 조직 차원의 지원	97
[그림 4-5] 내부 평가 시 활용한 평가 방법	100
[그림 5-1] 주요 연구 결과에 따른 정책 추진 과제 	16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실태 및 정착성과 분석 2016.01.01~2016.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