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실태조사 응답자 특성 13
<표 1-2> 주요 설문 항목 13
<표 2-1> 인구 규모별 시ㆍ군ㆍ구 분포(2015년 기준) 22
<표 2-2> 65세 이상 인구 비중의 시ㆍ군ㆍ구별 분포 및 변화 24
<표 2-3> 65세 이상 인구 비중의 시ㆍ군ㆍ구별 동태 변화(dynamics) 25
<표 2-4> 인구 이동별 시ㆍ군ㆍ구 분포(2015년 기준) 28
<표 2-5> 학령인구 인구 이동별 시ㆍ군ㆍ구 분포(2015년 기준) 29
<표 2-6> 지방대학의 교육 환경 개황(2015년 기준) 30
<표 2-7> 시ㆍ군ㆍ구별 대학 분포(2015년 기준) 33
<표 2-8> 입학생 수 규모별 시ㆍ군ㆍ구 분포(2015년 기준) 35
<표 2-9> 재학생 수 규모별 시ㆍ군ㆍ구 분포 37
<표 2-10> 졸업생 수 규모별 시ㆍ군ㆍ구 분포(2015년 기준) 39
<표 2-11> 시ㆍ군ㆍ구별 지방 소멸 지역 및 대학 소재 지역 현황 43
<표 2-12> 대학 소재 지역 중 대학 위기 가능성 지역 추정 결과 44
<표 2-13> 정원/재학생 1인당 소비 지출 규모 추정 결과 58
<표 2-14> 지역 및 학교 규모별 대학의 평균 재학생 현황 60
<표 2-15> 지역 및 학교 규모별 대학의 평균 소비 지출 규모 61
<표 2-16> 지역 및 학교 규모별 대학의(최종 수요 대비) 평균 지출 비율(2015년) 63
<표 2-17> 지방대학의 소멸에 따른 경제적 효과 추정 종합 64
<표 3-1> 국내의 대학 경쟁력 측정지표 76
<표 3-2> 외국의 대학 경쟁력 측정지표 78
<표 3-3> 정부 대학지원 정책 측정지표 82
<표 3-4> 지방대학 경쟁력 측정지표 체계 85
<표 3-5> 지방대학 경쟁력 측정 시 평가 영역 순위(1+2+3순위 복수 응답) 87
<표 3-6> 지방대학 경쟁력 측정 시 평가 영역 순위(1순위 기준) 88
<표 3-7> 지방대학 경쟁력 세부 평가지표 중요도 순위 종합(1순위 기준) 95
<표 3-8> 중앙정부의 지방대학 경쟁력 주요 평가 영역 고려 순위 98
<표 3-9> 시ㆍ도 지자체의 지방대학 경쟁력 주요 평가 영역 고려 순위 99
<표 3-10> 지방대학의 지방대학 경쟁력 주요 평가 영역 고려 순위 100
<표 3-11>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기관 101
<표 4-1> 참여정부의 지방대학 재정지원 주요 정책 사업 107
<표 4-2> 이명박 정부의 지방대학 재정지원 주요 정책 사업 109
<표 4-3> 박근혜 정부의 주요 고등교육 재정지원 정책 사업(2016년) 111
<표 4-4> 2007년 대비 2009년 교육과학기술부 대학 재정지원 금액 비교 112
<표 4-5> 대학 특성 및 졸업생 특성별 누리사업 지원 비율 128
<표 4-6> 대학 생활 및 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130
<표 4-7> 취업 관련 지표에 미치는 효과 133
<표 4-8> 직장 특성 관련 지표에 미치는 효과 136
<표 4-9> 직무에 대한 주관적 평가지표에 미치는 효과 138
<표 4-10> 대학 지역과 직장 지역 일치도 관련 지표에 미치는 효과 140
<표 4-11> 대학 지역과 직장 지역 일치도 관련 지표(임금 변수 추가 시) 142
<표 4-12> 취업률과 취업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 147
<표 5-1> 2016년 지방대학 육성 시행계획상 시·도의 주요 사업 및 예산 규모 161
<표 5-2> 우리나라 대학 입학 가능 인원의 변화 추이(2015~2023년) 166
<표 5-3>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결과 174
<부표 2-1> 시ㆍ군ㆍ구별 10년간 인구 변화 203
<부표 2-2> 시ㆍ도별 지방대학의 교육 인프라 개황(2005년 기준) 212
<부표 2-3> 시ㆍ도별 지방대학의 교육 인프라 개황(2015년 기준) 213
<부표 2-4> 시ㆍ군ㆍ구별 고등교육 현황(2015년 기준) 214
<부표 2-5> 지역별 생산 및 고용 감소 효과 추정 결과: 재학생 1,000명 미만 사례 222
<부표 2-6> 지역별 생산 및 고용 감소 효과 추정 결과: 재학생 1,000~3,000명 미만 사례 223
<부표 2-7> 지역별 생산 및 고용 감소 효과 추정 결과: 재학생 3,000~5,000명 미만 사례 224
<부표 2-8> 지역별 생산 및 고용 감소 효과 추정 결과: 재학생 5,000~10,000명 미만 사례 225
<부표 2-9> 지역별 생산 및 고용 감소 효과 추정 결과: 재학생 10,000명 이상 사례 226
<부표 4-1> 대학 생활 및 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기본 모델) 227
<부표 4-2> 취업 관련 지표에 미치는 효과(기본 모델) 228
<부표 4-3> 직장 특성 관련 지표에 미치는 효과(기본 모델) 229
<부표 4-4> 직무에 대한 주관적 평가지표에 미치는 효과(기본 모델) 230
<부표 4-5> 대학 지역과 직장 지역 일치도 관련 지표에 미치는 효과(기본 모델) 231
<부표 4-6> 대학 지역과 직장 지역 일치도 관련 지표(임금 변수 추가 시) 232
[그림 1-1] 지방대학 경쟁력 강화의 선순환 구조 4
[그림 1-2] 연구 분석 틀 설정 9
[그림 2-1] 광역 자치단체별 시ㆍ군ㆍ구 분포 20
[그림 2-2] 시ㆍ군ㆍ구의 인구 규모와 면적 간 관계 21
[그림 2-3] 인구 규모별 시ㆍ군ㆍ구 현황(2015년 기준) 22
[그림 2-4] 65세 이상 인구 비중의 시ㆍ군ㆍ구별 분포 변화 26
[그림 2-5] 10년간 교육 환경 변화 31
[그림 2-6] 지역별 10년간 교육 환경 변화 32
[그림 2-7] 시ㆍ군ㆍ구별 대학 분포(2015년 기준) 34
[그림 2-8] 입학생 수 규모별 시ㆍ군ㆍ구 분포(2015년 기준) 36
[그림 2-9] 재학생 수 규모별 시ㆍ군ㆍ구 분포(2015년 기준) 38
[그림 2-10] 졸업생 규모별 시ㆍ군ㆍ구 분포(2015년 기준) 40
[그림 2-11] 시ㆍ군ㆍ구별 지방 소멸 위험 지역 분포 42
[그림 2-12] 시ㆍ군ㆍ구별 대학 위기 가능성 지역 분포 45
[그림 2-13] 대학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세 가지 경로 47
[그림 2-14] 대학의 지역발전 기여 핵심 4개 영역 48
[그림 2-15] 대학 규모의 증가에 따른 생산의 감소 및 감소율 추이 65
[그림 2-16] 대학 규모의 증가에 따른 고용의 감소 및 감소율 추이 66
[그림 3-1] 교육역량 평가 영역 중 주요 지표 순위(1순위 기준) 89
[그림 3-2] 연구역량 평가 영역 중 주요 지표 순위(1순위 기준) 90
[그림 3-3] 국제화 역량 평가 영역 중 주요 지표 순위(1순위 기준) 91
[그림 3-4] 교육 성과 평가 영역 중 주요 지표 순위(1순위 기준) 92
[그림 3-5] 대학 평판도 평가 영역 중 주요 지표 순위(1순위 기준) 93
[그림 3-6] 지역경제ㆍ사회 기여도 평가 영역 중 주요 지표 순위(1순위 기준) 93
[그림 4-1] 누리사업 시행 당시 지역별 전략산업 분야 114
[그림 4-2] 교육 성과 평가지표 중 중요 영역 1순위 145
[그림 4-3] 교육 성과 지표 간 상대적 중요도 비교 145
[그림 5-1] 지역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 154
[그림 5-2] 지역산업체와 지방대학의 연계에 대한 인식 157
[그림 5-3] 지방정부의 지방대학 지원에 대한 인식 160
[그림 5-4] 지방정부와 지방대학 사이의 협력에 대한 인식 168
[그림 5-5] 지방대학 졸업자 수도권 유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170
[그림 5-6] 지방정부와 지방대학 간 연계 강화 방안 171
[그림 5-7] 내생적 발전을 위한 지역 산ㆍ학ㆍ연ㆍ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172
[그림 6-1] 정책 방향 제시 틀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