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선택제 일자리의 교육훈련 실태와 과제
The Actual State and Task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ET) for Part-time Jobs
- 저자
- 고혜원 이지은 남지민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6-1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6.10.31
- 등록일
- 2016.12.30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제2장 시간제 일자리와 교육훈련_9 제1절 시간제 일자리의 교육훈련 관련 이론 및 경험적 논의 11 제2절 국내의 시간제 일자리와 교육훈련 15 제3절 국외의 시간제 일자리와 교육훈련 34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50 제3장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과 추진 현황_55 제1절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 57 제2절 시간선택제 일자리 현황 68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99 제4장 기업 및 공공기관의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교육훈련 실태_103 제1절 설문조사 결과 105 제2절 FGI 조사 결과 140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62 제5장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교육훈련 실태_165 제1절 2014년 이전 시작 근로자 167 제2절 2015년 이후 시작 근로자 180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90 제6장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교육훈련 활성화 방안_193 제1절 종합 논의와 개선 방향 195 제2절 사업주 지원 방안 200 제3절 개인 지원 방안 204 SUMMARY_207 참고문헌_211 부 록_217 1. 시간선택제 근로 활용 기업 및 공공기관 조사지 219 2. 시간선택제 근로자 FGI 조사지 229
본 연구는 양질의 시간제 고용을 만들어내고, 시간제 근로를 통한 더 나은 일자리를 만들어낸다는 관점에서 정부지원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교육훈련의 실태를 분석하여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내실화를 위한 교육훈련의 실시 및 확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 및 목적에 근거하여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정책적 개념인 시간선택제보다 넓은 범위의 시간제 일자리의 교육훈련과 관련된 이론 및 경험적 논의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시간제 일자리 통계 및 해외의 시간제 근로 관련 통계와 사례 등을 검토하였다. 둘째,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 및 추진 현황을 분석하였다. 셋째, 시간선택제 근로자 및 기업, 공공기관의 교육훈련 실태와 애로사항 등을 검토하였다. 넷째, 이상의 검토사항에 근거하여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둘러싼 교육훈련 관련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Since 2013, policies governing part-time jobs have been carried out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workers including work-life balance, learning, and retirement prepara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mplementation and expans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t-time jobs by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government-supported VET for part-time employees from the perspectives of creating quality part-time jobs and better jobs through part-time employment. The study revealed that part-time employees and their employers have difficulty in appropriating time for VET compared to full-time workers. In response to questions regarding the various systems for part-time workers at private companies and public organizations including “job transfer,” “VET,” “performance appraisal,” “promotion,” and “welfare benefit” schemes,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o not run a “VET program for part-time employees. Another survey on the difficulty in preparing VET for part-time workers, both private and public entitie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scheduling VET classes due to the differing working schedules of part-time employees. ...
<표 2-1> 전일제와 시간제의 동등 대우 의무화법의 효과(훈련과 직업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전일제 대비 시간제에 미치는 비율) 14 <표 2-2> 시간제 근로자에 대한 기존자료 분석・연구 15 <표 2-3> 연령별 시간제 근로자 추이 19 <표 2-4> 업종별 시간제 근로자 추이 21 <표 2-5> 직종별 시간제 근로자 추이 22 <표 2-6> 시간제/전일제 근로자의 인적 특성별 직업능력개발 교육훈련 26 <표 2-7> 시간제/전일제 근로자의 연령별 직업능력개발 교육훈련 27 <표 2-8> 시간제/전일제 근로자의 업종별 직업능력개발 교육훈련 28 <표 2-9> 시간제/전일제 근로자의 직종별 직업능력개발 교육훈련 29 <표 2-10> 시간제/전일제 근로자 소속 기업의 종사자 규모별 직업능력개발 교육훈련 30 <표 2-11> 시간제/전일제 근로자의 종사상 지위별 직업능력개발 교육훈련 31 <표 2-12> 시간제/전일제 근로의 질에 따른 직업능력개발 교육훈련 33 <표 2-13> 시간제와 전일제 근로자들의 정규직 고용 비율(%) 35 <표 2-14> 한국의 시간제 근로자의 종사상 지위 36 <표 2-15> 산업별 전일제/시간제 고용의 분포 37 <표 2-16> 유럽연합 회원국의 성별, 근로시간별 직업훈련(과거 1년간) 39 <표 2-17> 유럽의 노동시간과 직업훈련 및 학습기회 40 <표 2-18> 남녀 시간제의 훈련기회, 훈련유형 및 훈련비용 지불 (EU27개국, 지난 1년간) 41 <표 2-19> OECD 주요국에서 지난 1년간 훈련 여부(시간제/전일제의 비율) 42 <표 2-20> 영국의 성별, 전일제/시간제별 교육과 훈련기회(지난 3개월간) 45 <표 2-21> 지난 1년간 훈련 비율(%) 49 <표 3-1> 시간선택제 일자리 인건비 지원사업의 내용 61 <표 3-2>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의 주요 추진 일정 65 <표 3-3> 신규창출형 신청 및 승인 현황(2010년~2016년 6월) 70 <표 3-4> 시간선택제 일자리 인건비 사업 규모별 신청 및 승인 현황(2010~2015년) 71 <표 3-5>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 업종별 현황(2010~2012년) 73 <표 3-6>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 업종별 현황(2013~2015년) 74 <표 3-7> 전환형 신청 및 승인 현황(2015년~2016년 6월) 76 <표 3-8> 전환형 시간선택제 업종별 활용 현황(2015~2016년 4월) 76 <표 3-9> 전환형 시간선택제 규모별 활용 현황(2015~2016년 4월) 77 <표 3-10> 전환형 시간선택제 성별 활용 현황(2015~2016년 4월) 78 <표 3-11> 전환형 시간선택제 업종별 대체인력 활용 현황(2015~2016년 4월) 78 <표 3-12> 전환형 시간선택제 규모별 대체인력 활용 현황(2015~2016년 4월) 79 <표 3-13> 전환형 시간선택제 성별 대체인력 활용 현황(2015~2016년 4월) 79 <표 3-14> 시간선택제 컨설팅 지원 현황(2010~2015년) 82 <표 3-15> 시간선택제 컨설팅 지역별 지원 현황(2010~2015년) 82 <표 3-16> 시간선택제 컨설팅 업종별 지원 현황(2010~2015년) 83 <표 3-17> 시간선택제 컨설팅 사업장 규모별 지원 현황(2010~2015년) 84 <표 3-18> 시간선택제 기초컨설팅 지원 현황(2014~2015년) 84 <표 3-19> 시간선택제 기초컨설팅 지역별 지원 현황(2014~2015년) 85 <표 3-20> 시간선택제 컨설팅 업종별 지원 현황(2014~2015년) 85 <표 3-21> 시간선택제 기초컨설팅 사업장 규모별 지원 현황 86 <표 3-22> 시장형 공기업 시간선택제 현황 88 <표 3-23> 준시장형 공기업 시간선택제 현황 90 <표 3-24>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시간선택제 현황 92 <표 3-25>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시간선택제 현황 94 <표 3-26> 기타 공공기관 시간선택제 현황 96 <표 4-1> 상시근로자 수, 시간제 근로자 수, 시간선택제 근로자 수 107 <표 4-2> 신규창출형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만든 이유 두 가지_1순위 109 <표 4-3> 신규창출형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만든 이유 두 가지_1+2순위(중복응답) 111 <표 4-4> 신규창출형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직종(복수응답) 112 <표 4-5> 신규창출형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임금 수준 113 <표 4-6> 신규창출형 시간선택제 근로자 담당 직무(복수응답) 114 <표 4-7> 신규창출형 시간선택제 근로자 유형 인원수 많은 순서_1순위 115 <표 4-8> 신규창출형 시간선택제 근로자 유형 인원수 많은 순서_1+2+3+4+5순위(복수응답) 116 <표 4-9> 신규창출형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만족도 117 <표 4-10> 신규창출형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통하여 얻은 가장 큰 성과 118 <표 4-11> 신규창출형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 수준(유사 업무를 하는 정규직 전일제 근로자와 비교했을 때) 120 <표 4-12> 전환형 시간선택제 일자리 만든 주된 이유 두 가지_1순위 121 <표 4-13> 전환형 시간선택제 일자리 만든 주된 이유 두 가지_1+2순위 122 <표 4-14> 전환형 시간선택제 일자리 직종 124 <표 4-15> 전환형 시간선택제 근로자 담당 직무 125 <표 4-16> 전환형 시간선택제 근로자 유형(인원수가 많은 순서대로)_1순위 126 <표 4-17> 전환형 시간선택제 근로자 유형(인원수가 많은 순서대로)_1+2+ 3+4+5순위 127 <표 4-18> 전환형 시간선택제 근로자 만족도 128 <표 4-19> 전환형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을 통해 얻은 가장 큰 성과 129 <표 4-20> 신규창출형 시간선택제 근로자에게 적용하고 있는 제도 131 <표 4-21> 전환형 시간선택제 근로자에게 적용하고 있는 제도 133 <표 4-22> 시간선택제 근로자 관련 내부 규정 여부 134 <표 4-23> 시간선택제 근로를 도입한 이래 실시된 시간선택제 근로자에 대한 교육훈련 136 <표 4-24> 시간선택제 근로자에 대한 교육훈련 마련 시 어려움 137 <표 4-25> 시간선택제 근로 도입 이래 시간선택제 근로자 이외에 다른 직원들에게 실시한 교육훈련 유무 138 <표 4-26> 시간선택제 근로 도입 관련 직장 내 설명회 개최 여부 139 <표 4-27> FGI 조사 대상 개요 141 <표 4-28> 시간선택제 인원・직종・도입 계기 143 <표 4-29> 시간선택제 고용 이유 144 <표 4-30> 시간선택제 근로자에 대한 전일제 근로자의 만족도 수준 145 <표 4-31> 시간선택제 근로에 대한 근로자 본인의 만족도 146 <표 4-32> 시간선택제 근로에 대한 근로자 본인의 불만사항 147 <표 4-33> 시간선택제 근로자에 대한 전일제 근로자의 불만사항 147 <표 4-34> 시간선택제 근로 관련 회사 차원의 성과 및 만족도 148 <표 4-35> 시간선택제 도입 관련 설명회 개최 여부 150 <표 4-36> 시간선택제 근로자 대상 교육훈련 151 <표 4-37> 시간선택제 근로자의 교육훈련 관련 애로사항 154 <표 4-38> 회사 차원 또는 인사관리 측면 개선사항 의견 156 <표 4-39> 시간선택제 근로 정착 관련 회사 또는 정부에 대한 요구사항 159 <표 4-40> 시간선택제 관련 제언 161 <표 5-1> 조사대상 개요 168 <표 5-2> 현재 직장 이전 최근 5년 동안 업무 169 <표 5-3> 경력 중단의 경험이 있는 경우, 해당 이유 170 <표 5-4> 시간선택제 근로를 선택한 이유 170 <표 5-5> 시간선택제 근로에 대한 만족도와 만족 수준에 대한 이유 171 <표 5-6> 시간선택제 근로 지속 이유 172 <표 5-7> 시간선택제 근로 지속하는 경우 향후 시간선택제 근로 지속 여부 173 <표 5-8> 시간선택제 근로 중 교육훈련 경험 175 <표 5-9> 시간선택제 근로 중 교육훈련 시 어려움 176 <표 5-10> 시간선택제 근로 도입 관련 직장 내 교육훈련이나 설명회 개최 여부 176 <표 5-11> 시간선택제 근로의 확대나 정착 관련 상급자의 인식 또는 인사관리 측면에서 개선할 점 177 <표 5-12> 시간선택제 근로 또는 교육훈련 관련 의견 179 <표 5-13> 참여자 기본 정보 181 <표 5-14> 이전 직장에서의 근무 형태 181 <표 5-15> 시간선택제 근로 선택 이유 182 <표 5-16> 시간선택제 근로 만족도 및 이유 183 <표 5-17> 시간선택제 근로 시 근무 시간 및 임금 수준 185 <표 5-18> 시간선택제 근로 시 애로사항 185 <표 5-19> 향후 시간선택제 근로 지속 의향 186 <표 5-20> 회사에서의 교육훈련 참여 경험 187 <표 5-21> 교육훈련 참여 시 애로사항 188 <표 5-22> 추가적인 교육훈련의 필요성 188 <표 5-23> 시간선택제 근로 도입 관련 회사 및 부서에서의 설명 여부 189 <표 5-24> 시간선택제 근로 정착을 위해 회사 또는 정부에 요구되는 점 189 <표 6-1> 고용보험 사업주훈련 201 [그림 1-1] 연구 절차 8 [그림 2-1] 시간제 근로자 수 및 비중 추이 17 [그림 2-2] 성별 시간제 근로자 수 추이 및 격차 18 [그림 2-3] 종사자 규모별 시간제 근로자 추이 23 [그림 2-4] 교육 훈련 경험여부별 시간제/전일제 근로자 추이 25 [그림 2-5] 한국 시간제 근로자의 교육훈련 경험 비율(지난 1년간) 43 [그림 2-6] 한국 시간제 근로자의 평균 교육훈련 시간(지난 1년간) 44 [그림 2-7] 네덜란드의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 비율 47 [그림 3-1] 시장형 공기업 시간선택제 현황 89 [그림 3-2] 준시장형 공기업 시간선택제 현황 91 [그림 3-3]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시간선택제 현황 93 [그림 3-4]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시간선택제 현황 95 [그림 3-5] 기타 공공기관 시간선택제 현황 97 [그림 6-1] 개선 방향 및 방안 요약 20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교육훈련 실태와 과제 | 2016.01.01~2016.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