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인문학 졸업생의 진로개발 및 취업 활성화 방안

A Research for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Activation of Humanities Graduates
저자
윤형한 김인엽 김가연
분류정보
기본연구(2016-1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0.31
등록일
2016.12.30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6
제3절 연구의 방법	7
제4절 용어의 정의	15
제2장 인문학 전공생 대상의 진로 개발과 취업 지원_17
제1절 선행 연구 분석	19
제2절 진로 개발 및 취업 준비 특성	29
제3절 인문학 전공생 진로 개발 및 취업 관련 지원 정책	58
제4절 해외의 진로 개발과 취업 지원 사례	74
제5절 시사점	94
제3장 인문학 졸업생의 진로 개발과 취업 장애 및 성공 요인_107
제1절 장애 요인	109
제2절 성공 요인	140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51
제4장 인문학 전공생의 진로 개발과 취업 정책 방안_167
제1절 정책 방향	169
제2절 추진 과제	212
제3절 주체별 추진 과제	232
SUMMARY_235
참고문헌_245
부 록_251
1. 포커스 그룹 인터뷰 질문지	253
2. 전문가 델파이 조사지	260
3. 심층 인터뷰 질문지	283
4. 인문학 전공생의 강점 역량	286
5. 인문학 전공생의 담당 가능 직무	289
6. 인문학 전공생의 진출 가능 직업	293
 본 연구는 한국의 직업기술교육훈련(TVET) 개발에 관한 ODA 경험을 개발도상국과 공유하고,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을 잇는 가교로서 한국의 선진 직업교육훈련 정책과 제도의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직업교육훈련 정책과 제도 구축을 위한 정책 방안을 개발도상국에 제공함으로써 개발도상국과 한국의 우호 관계와 상생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Although humanities majoring students have a lot of strengths compared to other major students, they have been neglected in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support. It is necessary to plan ways to promote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so that 4-year college students majoring of humanities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etc.) will be able to economic activity in their field of study after grad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of humanities majoring graduates to work by utilizing their field of majors.
 In this Resrarch, “humanities graduates” refers to those who hold a bachelor's degree in related subjects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istory, Archeology, Philosophy and Ethics of 4-year universities. ...
<표 1-1> 패널 데이터 분석 항목	8
<표 1-2>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운영 현황	9
<표 1-3>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의 그룹별 질문 내용	10
<표 1-4> 심층 인터뷰 운영 현황	11
<표 1-5> 전문가 델파이 조사 개요 및 참여자	12
<표 1-6> 해외 사례 분석 틀	14
<표 2-1> 100대 기업 인재상	21
<표 2-2> 계열별 대학생들의 핵심 역량 전국 평균 T점수	25
<표 2-3> 자기 관리 역량 영역 평균 T점수	25
<표 2-4> 대인 관계 역량 영역 평균 T점수	26
<표 2-5> 자원・정보・기술 활용 역량 영역 평균 T점수	27
<표 2-6> 글로벌 역량 영역 평균 T점수	27
<표 2-7> 의사소통 역량 영역 평균 T점수	28
<표 2-8> 종합적 사고력 영역 평균 T점수	29
<표 2-9> 인문학 전공생의 규모	30
<표 2-10> 인문학 전공생의 배출과 진로	31
<표 2-11> 인문학 전공생의 전공 선택 이유	32
<표 2-12> 인문학 전공 재선택 의향	33
<표 2-13> 동일 전공 학과를 선택하지 않으려는 주된 이유	34
<표 2-14> 재학 중 복수(부, 연계) 전공 여부	34
<표 2-15> 인문학 전공생의 복수(부, 연계) 전공 분야	35
<표 2-16> 전공 교육 만족도	36
<표 2-17> 1년간 지도 교수 면담 횟수(학업/진로 관련 개인 면담)	37
<표 2-18> 1년간 교수 면담 시간(진로・취업)	38
<표 2-19> 진로 지원 만족도	39
<표 2-20> 대학생의 대학 진로 취업 프로그램 참여도	39
<표 2-21> 재학 중 휴학 의향	40
<표 2-22> 인문학 전공생의 휴학 이유(2012/2013학년도)	41
<표 2-23> 대학생의 영어 시험 경험	41
<표 2-24> 자격증 취득 여부	42
<표 2-25> 자격증 취득 목적	42
<표 2-26> 전문 자격시험 또는 언론사 시험 경험	43
<표 2-27> 시험 준비 동기	44
<표 2-28> 대학 재학 중 일을 한 경험(아르바이트 포함)	44
<표 2-29> (첫 번째) 일을 한 이유	45
<표 2-30> 일자리 경험의 전공 연관성 및 취업에 도움 정도	46
<표 2-31> 취업 희망 지역과 회사	47
<표 2-32> 취업 기준	48
<표 2-33> 취업 목표 달성 여부	49
<표 2-34> 취업 목표를 이루지 못한 주된 이유	49
<표 2-35> 취업 기준의 변화(첫 구직 vs. 현 일자리)	50
<표 2-36> 구직 활동 장애 요인	51
<표 2-37> 일의 수준 평균	52
<표 2-38> 대학 전공의 일자리 도움 정도	53
<표 2-39> 대학 전공이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	54
<표 2-40> 인문학 신규 대졸자의 취업 직업(현 직장 기준)	55
<표 2-41> 인문학 전공 재직자가 많이 분포하는 직업(4년제 대졸)	57
<표 2-42> 2016년 주요 대학 재정 지원 사업 현황	58
<표 2-43> ʻ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PRIME)ʼ 개요	60
<표 2-44> ʻ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CORE)ʼ개요	62
<표 2-45> 정부의 청년 고용 대책 현황	64
<표 2-46> 「인문계 전공자 취업 촉진 방안」의 주요 내용	67
<표 2-47> 2016년 「재학생 직무 체험 프로그램」개요	69
<표 2-48> 인문학 전공 대학생 대상 장학 제도(2016년)	72
<표 2-49> 인문학 전공 대학생 활용 가능 진로 개발 및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	73
<표 2-50> 향후 5년간 미국 기업 내에서 필요한 지식・스킬 순위	77
<표 2-51> 인문학 전공 소양이 직업 현장에서 가지는 강점	80
<표 2-52> 세르지퐁투아즈대학교의 인문학 전공자의 진로설계 프로그램	87
<표 3-1>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조사 대상	110
<표 3-2> 심층 인터뷰 조사 대상	141
<표 3-3> 취업 장애 요인–학과(전공) 측면	153
<표 3-4> 취업 장애 요인–학생 측면	155
<표 3-5> 취업 장애 요인–학교 측면	156
<표 3-6> 취업 장애 요인–사회 및 기업 측면	158
<표 3-7> 취업 장애 요인–정부 측면	159
<표 3-8> 취업 장애 요인(종합)	159
<표 3-9> 취업 성공 요인(종합)	161
<표 4-1> 학과(전공) 영역 장애 요인 응답 결과	171
<표 4-2> 학과(전공) 영역 장애 요인의 해소 방향(과제)	180
<표 4-3> 개인 영역 장애 요인 응답 결과	181
<표 4-4> 개인 영역 장애 요인의 해소 방향(과제)	187
<표 4-5> 학교 영역 장애 요인 응답 결과	188
<표 4-6> 학교 영역 장애 요인의 해소 방향(과제)	196
<표 4-7> 사회・기업 영역 장애 요인 응답 결과	197
<표 4-8> 사회・기업 영역 장애 요인의 해소 방향(과제)	204
<표 4-9> 정부 영역 장애 요인 응답 결과	205
<표 4-10> 정부 영역 장애 요인의 해소 방향(과제)	209
<표 4-11> 인문학 졸업생의 진로 개발 및 취업 지원 정책 방향(과제)(안)	210
<표 4-12> 인문학 전공생의 진로 개발 및 취업 준비 전략	218
<표 4-13> 인문학 전공생의 진로 개발 및 취업 준비 프로그램(안)	220
<표 4-14> 인문학 전공생의 직무 체험 프로그램(안)	223
<표 4-15> 고교생의 전공 선택 실패 방지 방안	230
<부표 1> 인문학 전공생의 강점 역량	288
<부표 2> 인문학 전공생의 담당 가능 직무	289
<부표 3> 진출 가능 직업 응답 분포: KECO 소분류	293
<부표 4> 진출 가능 직업 응답 분포: KECO 중분류	295
<부표 5> 경영・회계・사무 관련직 세분류 진출 직업	296
<부표 6> 경영・회계・사무 관련직의 세분류 진출 가능 직업	297
<부표 7> 교육 및 자연과학・사회과학 연구 관련직 세분류 진출 가능 직업	298
<부표 8> 교육 및 자연과학・사회과학 연구 관련직의 세분류 진출 가능 직업	299
<부표 9> 문화・예술・디자인・방송 관련직 세분류 진출 가능 직업	300
<부표 10> 문화・예술・디자인・방송 관련직 세분류 진출 가능 직업	301
<부표 11> 미용・숙박・여행・오락・스포츠 관련직 세분류 진출 가능 직업	302
<부표 12> 미용・숙박・여행・오락・스포츠 관련직 세분류 진출 가능 직업	303
[그림 1-1] 연구 추진 절차	15
[그림 2-1] 청년 실업자 및 실업률 추이	20
[그림 2-2] 대학 전공별 초과 공급 및 초과 수요 전공 비교 	22
[그림 2-3] 최근 3년간 인문학 신규 대졸자의 취업 직업(현 직장)의 산업	56
[그림 2-4] 청년취업성공패키지의 세부 프로세스	66
[그림 2-5] 진로・취업 지원 운영 모델(안)	70
[그림 2-6] 인문대학 취업 네트워크	82
[그림 2-7] Spotlight on Careers	82
[그림 4-1] 취업 장애 요인의 사분면 분석 매트릭스	170
[그림 4-2] 학과(전공) 영역 장애 요인의 사분면 분포	172
[그림 4-3] 개인 영역 장애 요인의 사분면 분포	182
[그림 4-4] 학교 영역 장애 요인의 사분면 분포	189
[그림 4-5] 사회・기업 영역 장애 요인의 사분면 분포	198
[그림 4-6] 정부 영역 장애 요인의 사분면 분포	206
[그림 4-7] ‘스타트업(Start-up) 프로젝트 매니저’ 운영 체계	21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인문학 졸업생의 진로개발 및 취업 활성화 방안 2016.01.01~2016.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