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능력중심사회와 청년노동시장

Competence-based Society and Youth Labor Market
저자
채창균 양정승 조희경 황성수 황승록
분류정보
기본연구(2016-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0.31
등록일
2017.01.02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주요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6
제2장 고용주 조사 방법론과 설문지 작성_9
제1절 EU의 고용주 조사	11
제2절 컨조인트(conjoint) 조사 방법론	19
제3절 설문조사 문항 개발	28
제3장 표본 설계 및 조사 결과_49
제1절 표본 설계	51
제2절 조사 방법 및 결과	63
제4장 한국과 EU의 대졸 청년층 취업 결정 요인 비교_69
제1절 채용에 중요한 서류전형 단계상 스펙	72
제2절 서류전형 단계상 스펙의 Trade-off와 가격 분석	86
제3절 채용에 중요한 숙련의 내용	93
제4절 숙련 간 Trade-off와 가격 분석	105
제5절 소결	113
제5장 한국적 청년 채용시장 - 서류전형 단계_117
제1절 어떤 스펙이 중요한가?	120
제2절 스펙의 어떤 수준이 중요한가? - 수준에 따른 선호도 차이 분석	130
제3절 특정 스펙이 다른 스펙을 상쇄할 수 있는가? - 스펙 간 Trade-off 관계 분석	156
제4절 소결	173
제6장 한국적 청년 채용시장 - 면접 단계_177
제1절 어떤 숙련이 중요한가?	179
제2절 숙련의 수준이 중요한가? - 수준에 따른 선호도 차이 분석	186
제3절 특정 숙련이 다른 숙련을 상쇄할 수 있는가? - 숙련 간 Trade-off 관계 분석	208
제4절 소결	221
제7장 요약 및 정책 제언_223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225
제2절 정책 제언	229
SUMMARY_237
참고문헌_239
부    록_245
1. 설문지	247
2. 부분 가치 산출 모델 설명	275
3. EU형 조사 부표	278
‘무한 스펙 쌓기’ 경쟁이 이제는 멈추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가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현상이다. 이러한 청년 노동시장의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최근 EU에서는 여러 스펙 중 청년층의 고용 결정에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고용주 관점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는 단순 설문조사 방식이 아닌 준실험적인 새로운 설문 방식을 도입하여 보다 신뢰도 높은 결과들을 도출하고 있다.
 EU조사의 경우 고용주가 선호하는 청년들의 스펙이 무엇인지 보다 사실에 가깝게 드러내 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고용주 대상의 단순 설문조사나 취업 청년들의 스펙을 역으로 파악하는 방식보다 훨씬 강력하다. 이에 EU에서와 유사한 방법론을 적용한 고용주 조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청년층의 고용 결정 요인을 분석하고(다시 말해 어떤 스펙이 취업에 실제 영향을 주는 것인지 분석하고), EU의 결과들과 비교하여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들을 도출하는 것의 의의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EU의 고용주 조사와 유사한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청년층의 고용 결정 요인(청년층의 고용에 영향을 주는 주요 스펙)에 관한 신뢰도 높은 결과들을 도출하여 청년 노동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정책적 시사점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유럽 청년 노동시장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청년 노동시장의 현실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point of departure of this study was a lack of information on the employers’ perspective on what makes university graduates employable. The study uses an innovative approach to look at employers’ preference for university graduates, namely by simulating the selection process with hypothetical candidates. This so-called conjoint study with responses from 300 companies was complemented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personnel managers. The study provides insight into the key characteristics that employers look at when they recruit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skills that university graduates should possess in order to be employable.
<표 2-1> 1단계 조사에 이용된 특성들	16
<표 2-2> 2단계 조사에 이용된 특성들	17
<표 2-3> 컨조인트 분석 방법 비교	20
<표 2-4> 청년층의 취업 결정 요인에 관한 국내 선행 연구 정리	31
<표 2-5> 청년층의 취업 결정 요인에 관한 해외 선행 연구 정리	39
<표 2-6> 100대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42
<표 2-7> 국내 30대 기업의 인재상(융합형 인재의 속성)	43
<표 2-8> 사전 간담회 참석 기업 업종 구성 및 담당자 경력	45
<표 2-9> 한국형 1단계 최종 설문지	47
<표 2-10> 한국형 2단계 최종 설문지	48
<표 3-1> EU표본의 직무별 분포	52
<표 3-2> EU 표본의 기업 규모별 분포	53
<표 3-3> 대졸 청년층의 직업별 노동시장 이행 분포	54
<표 3-4> 대졸 청년층의 업종별 노동시장 이행 분포	55
<표 3-5> 경제활동인구조사를 통해 확인한 대졸자 노동시장 이행 분포	57
<표 3-6> 조사 목적에 따른 표본 구성	60
<표 3-7> 쿼터별 표본 규모	61
<표 3-8> 조사별 응답자 특성	65
<표 3-9> 심층면접 참여 인사담당자의 직책 및 소속 업종	67
<표 4-1> 서류전형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국가별(EU형)	74
<표 4-2> 서류전형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직원 규모별(EU형)	75
<표 4-3> 서류전형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신입 채용 주요 직무별(EU형)	76
<표 4-4> 서류전형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기업 형태별(EU형)	76
<표 4-5> 서류전형 단계 시 학위 선호도 - 국가별(EU형)	78
<표 4-6> 서류전형 단계 시 전공의 직무적합성 선호도 - 국가별(EU형)	80
<표 4-7> 서류전형 단계 시 학점 선호도 - 국가별(EU형)	81
<표 4-8> 서류전형 단계 시 관련 업무 경험 선호도 - 국가별(EU형)	83
<표 4-9> 서류전형 단계 시 해외 유학 경험 선호도 - 국가별(EU형)	84
<표 4-10> 서류전형 단계 시 대학의 명성 선호도 - 국가별(EU형)	85
<표 4-11> 서류전형 단계 시 대학의 명성 선호도 - 기업 규모별(EU형)	86
<표 4-12> 서류전형 단계 시 수준에 따른 연봉 격차 분석 - 국가별(EU형)	92
<표 4-13> 면접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국가별(EU형)	94
<표 4-14> 서류전형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기업 규모별(EU형)	95
<표 4-15> 서류전형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신입 채용 주요 직무별(EU형)	95
<표 4-16> 서류전형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직원 규모별(EU형)	96
<표 4-17> 서류전형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기업 형태별(EU형)	97
<표 4-18> 면접 단계 시 대인관계능력 선호도 - 국가별(EU형)	98
<표 4-19> 면접 단계 시 전문지식 선호도 - 국가별(EU형)	100
<표 4-20> 면접 단계 시 일반적인 학업 수행능력 선호도 - 국가별(EU형)	101
<표 4-21> 면접 단계 시 전략적 행동능력 선호도 - 국가별(EU형)	102
<표 4-22> 면접 단계 시 혁신성/창조성 선호도 - 국가별(EU형)	103
<표 4-23> 면접 단계 시 상업적/기업가적 역량 선호도 - 국가별(EU형)	104
<표 4-24> 숙련 속성 간 Trade-off 관계 분석(EU형)	106
<표 4-25> 수준에 따른 연봉 격차 분석 - 속성별 평균 대 상위 25% 간 추가 지불 의향 임금 비율	112
<표 4-26> 면접 단계 시 수준에 따른 연봉 격차 분석 - 국가별(EU형)	112
<표 5-1> 서류전형 단계 시 스펙별 중요도 - 기업 규모별(1)	126
<표 5-2> 서류전형 단계 시 스펙별 중요도 - 기업 규모별(2)	126
<표 5-3> 서류전형 단계 시 스펙별 중요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27
<표 5-4> 서류전형 단계 시 스펙별 중요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28
<표 5-5> 서류전형 단계 시 스펙별 중요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28
<표 5-6> 서류전형 단계 시 스펙별 중요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29
<표 5-7> 서류전형 단계 시 최종학교 졸업 시점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31
<표 5-8> 서류전형 단계 시 최종학교 졸업 시점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32
<표 5-9> 서류전형 단계 시 최종학교 졸업 시점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32
<표 5-10> 서류전형 단계 시 최종학교 졸업 시점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33
<표 5-11> 서류전형 단계 시 최종학교 졸업 시점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33
<표 5-12> 서류전형 단계 시 최종학교 졸업 시점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34
<표 5-13> 서류전형 단계 시 졸업평점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35
<표 5-14> 서류전형 단계 시 졸업평점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36
<표 5-15> 서류전형 단계 시 졸업평점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36
<표 5-16> 서류전형 단계 시 졸업평점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36
<표 5-17> 서류전형 단계 시 졸업평점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37
<표 5-18> 서류전형 단계 시 졸업평점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37
<표 5-19> 서류전형 단계 시 전공의 직무적합성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38
<표 5-20> 서류전형 단계 시 전공의 직무적합성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39
<표 5-21> 서류전형 단계 시 전공의 직무적합성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39
<표 5-22> 서류전형 단계 시 전공의 직무적합성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39
<표 5-23> 서류전형 단계 시 전공의 직무적합성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40
<표 5-24> 서류전형 단계 시 출신학교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42
<표 5-25> 서류전형 단계 시 출신학교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42
<표 5-26> 서류전형 단계 시 출신학교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42
<표 5-27> 서류전형 단계 시 출신학교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43
<표 5-28> 서류전형 단계 시 출신학교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43
<표 5-29> 서류전형 단계 시 출신학교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43
<표 5-30> 서류전형 단계 시 어학능력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45
<표 5-31> 서류전형 단계 시 어학능력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45
<표 5-32> 서류전형 단계 시 어학능력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45
<표 5-33> 서류전형 단계 시 어학능력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46
<표 5-34> 서류전형 단계 시 어학능력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46
<표 5-35> 서류전형 단계 시 어학능력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46
<표 5-36> 서류전형 단계 시 자격증 보유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48
<표 5-37> 서류전형 단계 시 자격증 보유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48
<표 5-38> 서류전형 단계 시 자격증 보유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48
<표 5-39> 서류전형 단계 시 자격증 보유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48
<표 5-40> 서류전형 단계 시 자격증 보유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49
<표 5-41> 서류전형 단계 시 자격증 보유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49
<표 5-42> 서류전형 단계 시 경력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51
<표 5-43> 서류전형 단계 시 경력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51
<표 5-44> 서류전형 단계 시 경력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51
<표 5-45> 서류전형 단계 시 경력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52
<표 5-46> 서류전형 단계 시 경력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52
<표 5-47> 서류전형 단계 시 경력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52
<표 5-48> 서류전형 단계 시 해외취업/어학연수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54
<표 5-49> 서류전형 단계 시 해외취업/어학연수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54
<표 5-50> 서류전형 단계 시 해외취업/어학연수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54
<표 5-51> 서류전형 단계 시 해외취업/어학연수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55
<표 5-52> 한국형 서류전형 단계 시 해외취업/어학연수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55
<표 5-53> 서류전형 단계 시 해외취업/어학연수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55
<표 6-1> 면접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기업 규모별(1)	183
<표 6-2> 면접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기업 규모별(2)	183
<표 6-3> 면접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84
<표 6-4> 면접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85
<표 6-5> 면접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85
<표 6-6> 면접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86
<표 6-7> 면접 단계 시 도덕성/인성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88
<표 6-8> 면접 단계 시 도덕성/인성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88
<표 6-9> 면접 단계 시 도덕성/인성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88
<표 6-10> 면접 단계 시 도덕성/인성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88
<표 6-11> 면접 단계 시 도덕성/인성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89
<표 6-12> 면접 단계 시 도덕성/인성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89
<표 6-13> 면접 단계 시 팀워크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90
<표 6-14> 면접 단계 시 팀워크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91
<표 6-15> 면접 단계 시 팀워크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91
<표 6-16> 면접 단계 시 팀워크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91
<표 6-17> 면접 단계 시 팀워크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91
<표 6-18> 면접 단계 시 팀워크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92
<표 6-19> 면접 단계 시 인내력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93
<표 6-20> 면접 단계 시 인내력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93
<표 6-21> 면접 단계 시 인내력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93
<표 6-22> 면접 단계 시 인내력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94
<표 6-23> 면접 단계 시 인내력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94
<표 6-24> 면접 단계 시 인내력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94
<표 6-25> 면접 단계 시 문제해결능력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95
<표 6-26> 면접 단계 시 문제해결능력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96
<표 6-27> 면접 단계 시 문제해결능력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96
<표 6-28> 면접 단계 시 문제해결능력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96
<표 6-29> 면접 단계 시 문제해결능력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96
<표 6-30> 면접 단계 시 문제해결능력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97
<표 6-31> 면접 단계 시 의사소통능력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198
<표 6-32> 면접 단계 시 의사소통능력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198
<표 6-33> 면접 단계 시 의사소통능력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198
<표 6-34> 면접 단계 시 의사소통능력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199
<표 6-35> 면접 단계 시 의사소통능력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199
<표 6-36> 면접 단계 시 의사소통능력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199
<표 6-37> 면접 단계 시 도전정신 및 열정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200
<표 6-38> 면접 단계 시 도전정신 및 열정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201
<표 6-39> 면접 단계 시 도전정신 및 열정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201
<표 6-40> 면접 단계 시 도전정신 및 열정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201
<표 6-41> 면접 단계 시 도전정신 및 열정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201
<표 6-42> 면접 단계 시 도전정신 및 열정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202
<표 6-43> 면접 단계 시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203
<표 6-44> 면접 단계 시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203
<표 6-45> 면접 단계 시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204
<표 6-46> 면접 단계 시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 선호도 - 주된활동 시장별	204
<표 6-47> 면접 단계 시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204
<표 6-48> 면접 단계 시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204
<표 6-49> 면접 단계 시 직무 관련 기초지식 선호도 - 기업 규모별(1)	206
<표 6-50> 면접 단계 시 직무 관련 기초지식 선호도 - 기업 규모별(2)	206
<표 6-51> 면접 단계 시 직무 관련 기초지식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규모별	206
<표 6-52> 면접 단계 시 직무 관련 기초지식 선호도 - 주된 활동 시장별	206
<표 6-53> 면접 단계 시 직무 관련 기초지식 선호도 - 신입사원 채용 방식별	207
<표 6-54> 면접 단계 시 직무 관련 기초지식 선호도 - 신입사원 주요 직무별	207
<표 6-55> 숙련 속성 간 Trade-off 분석을 위한 가상 프로파일1	219
<표 6-56> 한국형 숙련, 속성 간 Trade-off 분석을 위한 가상 프로파일2	220
[그림 2-1] 1단계 조사 화면	16
[그림 2-2] 2단계 조사 화면	17
[그림 2-3] Sawtooth Software SMRT 부분 가치 추정 분석 화면	25
[그림 2-4] Sawtooth Software CBC/HB 부분 가치 추정 분석 화면	26
[그림 2-5] 대기업 고용주 조사 설문지 개발 과정	29
[그림 4-1] 서류전형 단계 속성별 중요도(EU형)	72
[그림 4-2] 서류전형 단계 시 학위 선호도(EU형)	77
[그림 4-3] 서류전형 단계 시 전공의 직무적합성 선호도(EU형)	79
[그림 4-4] 서류전형 단계 시 학점 선호도(EU형)	80
[그림 4-5] 서류전형 단계 시 관련 업무 경험 선호도(EU형)	82
[그림 4-6] 서류전형 단계 시 해외 유학 경험 선호도(EU형)	84
[그림 4-7] 서류전형 단계 시 대학의 명성 선호도(EU형)	85
[그림 4-8] 전공의 직무적합성과 관련 업무 경험의 Trade-off	87
[그림 4-9] 학력과 관련 업무 경험의 Trade-off	88
[그림 4-10] 학점과 관련 업무 경험의 Trade-off	89
[그림 4-11] 학점과 대학의 명성 Trade-off	89
[그림 4-12] 서류전형 단계 시 수준에 따른 연봉 격차 분석(EU형)	90
[그림 4-13] 면접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EU형)	93
[그림 4-14] 면접 단계 시 대인관계능력 선호도(EU형)	98
[그림 4-15] 면접 단계 시 전문지식 선호도(EU형)	99
[그림 4-16] 면접 단계 시 일반적인 학업 수행능력 선호도(EU형)	101
[그림 4-17] 면접 단계 시 전략적 행동능력 선호도(EU형)	102
[그림 4-18] 면접 단계 시 혁신성/창조성 선호도(EU형)	103
[그림 4-19] 면접 단계 시 상업적/기업가적 역량 선호도(EU형)	104
[그림 4-20] 전문지식과 일반적인 학업 수행능력 간 Trade-off	107
[그림 4-21] 전문지식과 대인관계 간 Trade-off 1	108
[그림 4-22] 전문지식과 대인관계 간 Trade-off 2	108
[그림 4-23] 전문지식과 대인관계 간 Trade-off 3	109
[그림 4-24] 전문지식과 상업적/기업가적 역량 간 Trade-off 1	110
[그림 4-25] 전문지식과 상업적/기업가적 역량 간 Trade-off 2	110
[그림 4-26] 면접 단계 시 수준에 따른 연봉 격차 분석(EU형)	111
[그림 5-1] 서류전형 단계 시 스펙별 중요도(500대 기업 기준)	120
[그림 5-2] 서류전형 단계 시 최종학교 졸업 시점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30
[그림 5-3] 서류전형 단계 시 졸업평점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34
[그림 5-4] 서류전형 단계 시 전공의 직무적합성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38
[그림 5-5] 서류전형 단계 시 출신학교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41
[그림 5-6] 서류전형 단계 시 어학능력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44
[그림 5-7] 서류전형 단계 시 자격증 보유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47
[그림 5-8] 서류전형 단계 시 경력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50
[그림 5-9] 서류전형 단계 시 해외취업/어학연수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53
[그림 5-10] 졸업 시점과 졸업평점의 Trade-off	157
[그림 5-11] 졸업 시점과 전공의 직무적합성의 Trade-off	157
[그림 5-12] 졸업 시점과 출신대학의 Trade-off	158
[그림 5-13] 졸업 시점과 어학능력의 Trade-off	159
[그림 5-14] 졸업 시점과 자격증의 Trade-off	160
[그림 5-15] 졸업 시점과 경력의 Trade-off	160
[그림 5-16] 졸업 시점과 해외취업/어학연수의 Trade-off	161
[그림 5-17] 전공의 직무적합성과 졸업평점의 Trade-off	161
[그림 5-18] 전공의 직무적합성과 출신대학의 Trade-off	162
[그림 5-19] 전공의 직무적합성과 어학능력의 Trade-off	163
[그림 5-20] 전공의 직무적합성과 자격증의 Trade-off	164
[그림 5-21] 전공의 직무적합성과 경력의 Trade-off	164
[그림 5-22] 전공의 직무적합성과 해외취업/어학연수의 Trade-off	165
[그림 5-23] 졸업평점과 출신대학의 Trade-off	166
[그림 5-24] 졸업평점과 어학능력의 Trade-off	167
[그림 5-25] 졸업평점과 자격증의 Trade-off	167
[그림 5-26] 졸업평점과 경력의 Trade-off	168
[그림 5-27] 졸업평점과 해외취업/어학연수의 Trade-off	168
[그림 5-28] 출신대학과 어학능력의 Trade-off	169
[그림 5-29] 출신대학과 자격증의 Trade-off	170
[그림 5-30] 출신대학과 경력의 Trade-off	170
[그림 5-31] 출신대학과 해외취업/어학연수의 Trade-off	170
[그림 5-32] 경력과 자격증의 Trade-off	171
[그림 5-33] 어학능력과 자격증의 Trade-off	171
[그림 5-34] 경력과 해외취업/어학연수의 Trade-off	172
[그림 5-35] 해외취업/어학연수와 자격증의 Trade-off	172
[그림 5-36] 어학능력과 해외취업/어학연수의 Trade-off	173
[그림 6-1] 면접 단계 시 속성별 중요도(500대 기업 기준)	182
[그림 6-2] 면접 단계 시 도덕성/인성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87
[그림 6-3] 면접 단계 시 팀워크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90
[그림 6-4] 면접 단계 시 인내력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92
[그림 6-5] 면접 단계 시 문제해결능력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95
[그림 6-6] 면접 단계 시 의사소통능력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197
[그림 6-7] 면접 단계 시 도전정신 및 열정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200
[그림 6-8] 면접 단계 시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202
[그림 6-9] 면접 단계 시 직무 관련 기초지식 선호도(500대 기업 기준)	205
[그림 6-10] 도덕성/인성과 팀워크의 Trade-off	209
[그림 6-11] 도덕성/인성과 인내력의 Trade-off	209
[그림 6-12] 도덕성/인성과 문제해결능력의 Trade-off	210
[그림 6-13] 도덕성/인성과 의사소통능력의 Trade-off	210
[그림 6-14] 도덕성/인성과 도전정신 및 열정의 Trade-off	210
[그림 6-15] 도덕성/인성과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의 Trade-off	211
[그림 6-16] 도덕성/인성과 직무 관련 기초지식의 Trade-off	211
[그림 6-17] 팀워크와 인내력의 Trade-off	211
[그림 6-18] 팀워크와 문제해결능력의 Trade-off	212
[그림 6-19] 팀워크와 의사소통능력의 Trade-off	212
[그림 6-20] 팀워크와 도전정신 및 열정의 Trade-off	212
[그림 6-21] 팀워크와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의 Trade-off	213
[그림 6-22] 팀워크와 직무 관련 기초지식의 Trade-off	213
[그림 6-23] 인내력과 문제해결능력의 Trade-off	213
[그림 6-24] 인내력과 의사소통능력의 Trade-off	214
[그림 6-25] 인내력과 도전정신 및 열정의 Trade-off	214
[그림 6-26] 인내력과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의 Trade-off	214
[그림 6-27] 인내력과 직무 관련 기초지식의 Trade-off	215
[그림 6-28]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의 Trade-off	215
[그림 6-29] 문제해결능력과 도전정신 및 열정의 Trade-off	215
[그림 6-30] 문제해결능력과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의 Trade-off	216
[그림 6-31] 문제해결능력과 직무 관련 기초지식의 Trade-off	216
[그림 6-32] 의사소통능력과 도전정신 및 열정의 Trade-off	216
[그림 6-33] 의사소통능력과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의 Trade-off	217
[그림 6-34] 의사소통능력과 직무 관련 기초지식의 Trade-off	217
[그림 6-35] 도전정신 및 열정과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의 Trade-off	217
[그림 6-36] 도전정신 및 열정과 직무 관련 기초지식의 Trade-off	218
[그림 6-37] 회사와 직무에 대한 이해와 직무 관련 기초지식의 Trade-off	218
[그림 6-38] 가상 프로파일1에서의 지원자별 고용가능성	219
[그림 6-39] 가상 프로파일2에서의 지원자별 고용가능성	22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능력중심사회와 청년노동시장 2016.01.01~2016.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