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NCS기반 훈련생 역량평가 운영방안 연구

Evaluation of Trainees’ Competency i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Government-Funded Training Programs in South Korea: 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저자
장주희 문한나 윤수린
분류정보
기본연구(2016-1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6.10.31
등록일
2017.01.03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제3절 연구의 범위	14
제4절 용어의 정의	14
제2장 문헌 분석_17
제1절 이론적 논의	19
제2절 NCS 기반 훈련의 평가	27
제3절 NCS 기반 평가 해외 동향	46
제4절 소결	56
제3장 NCS 기반 훈련생 역량 평가 현황 분석_61
제1절 훈련생 역량 평가 실태	63
제2절 학생 성취도 평가 실태	104
제3절 소결	127
제4장 NCS 기반 훈련생 역량 평가 운영 방안_131
제1절 NCS 기반 훈련생 역량 평가 우수 사례	133
제2절 NCS 기반 평가 모델	149
제3절 소결	154
제5장 정책 제언_157
제1절 문제 제기	159
제2절 정책 방안	163
SUMMARY_179
참고 문헌_181
부  록_189
1. NCS 기반 훈련생 역량 평가에 관한 설문지	191
2. NCS 기반 교육과정의 학생 평가에 관한 설문지	202
3. 특성화 전문대학 평가 결과서, 평가 사례 예시	208
4. 특성화 고등학교 평가 사례	209
5. 싱가포르의 훈련생 평가 방법 및 원칙, 증빙 자료 원칙 관련 상세 자료 및 체크리스트	213
6.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 표준 과제 예시	219
7. 이찬 경북직업전문학교 평가 도구	241
 본 연구에서는 평가의 다양한 측면 중에서 훈련생의 학습 결과에 초점을 둔 역량 평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NCS 기반 훈련생 역량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 역량 평가 체계의 구축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훈련생 역량 평가의 현황을 살펴본다. 둘째, NCS 기반 훈련생 역량 평가를 위한 평가 체계 구축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셋째, 평가 결과 검증 및 평가 결과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As a part of a major government project of building infrastructure for the Competency-Oriented Societ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began to be applied to government-funded training program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ince 2015. In the NCS-based training programs, there is emphasis on the evaluation of trainees’ compet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evaluation of trainees’ competency in government-funded NCS-based training programs in South Korea,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ts proliferation. Two surveys were conducted and 275 trainers and 33 professors of 33 two to three year colleges responded. Two case studies and three Focus-Group-Interviews were conducted. ...
<표 1-1> 훈련 교사 대상 설문지의 구성	8
<표 1-2> 특성화 전문대학 대상 설문 조사의 구성	10
<표 2-1> 역량의 정의	24
<표 2-2> 기존 훈련 기준과 NCS 기반 훈련 기준 비교	28
<표 2-3> 일반 훈련 과정과 NCS 기반 훈련 과정 비교	30
<표 2-4> NCS 기반 훈련 기준에서 제시된 권장 평가 방법	32
<표 2-5> 고용노동부 훈련 이수자 평가 사업의 평가 기준	37
<표 2-6> NCS 기반 교과목 평가 방안 예시(전공 능력 평가)	41
<표 2-7> 호주 도제 훈련 프로그램 계획	48
<표 2-8> 호주 ASQA 증빙의 원칙	50
<표 2-9> 영국 NOS 기반 교과목 평가 절차	51
<표 2-10> WDA 평가의 4대 원칙	56
<표 3-1> 훈련 교사 설문 조사 응답자 현황	64
<표 3-2> 응답 기관 특성	65
<표 3-3> 훈련 기관 관계자 FGI 참석자 현황	66
<표 3-4> NCS 도입 이전 훈련생 역량 평가 실시 방법(규모 및 유형별)	67
<표 3-5> NCS 도입 이전 훈련생 역량 평가 실시 방법(직종별)	67
<표 3-6> NCS 도입 전후 평가 결과 활용 비교(규모 및 유형별)	69
<표 3-7> NCS 도입 전후 평가 결과 활용 비교(직종별)	70
<표 3-8> NCS 도입 후 사전 평가 결과의 활용(규모 및 유형별)	71
<표 3-9> NCS 도입 후 사전 평가 결과의 활용(직종별)	71
<표 3-10> 훈련 과정 기준 평가 횟수와 소요 시간(규모 및 유형별)	72
<표 3-11> 훈련 과정 기준 평가 횟수와 소요 시간(직종별)	73
<표 3-12> 능력단위 기준 평가 횟수와 소요 시간(규모 및 유형별)	74
<표 3-13> 능력단위 기준 평가 횟수와 소요 시간(직종별)	75
<표 3-14> 평가 방법별 사용 여부(규모 및 유형별)	76
<표 3-15> 평가 방법별 사용 여부(직종별)	77
<표 3-16> 평가 방법별 사용 빈도(규모별)	79
<표 3-17> 평가 방법별 사용 빈도(직종별)	80
<표 3-18> 평가 방법별 사용 빈도(기관 유형별)	81
<표 3-19> 훈련생 역량 평가에 대한 인식(규모별)	82
<표 3-20> 훈련생 역량 평가에 대한 인식(직종별)	83
<표 3-21> 훈련생 역량 평가에 대한 인식(기관 유형별)	84
<표 3-22> NCS 기반 훈련생 역량 평가 실시 애로 사항(규모 및 유형별)	85
<표 3-23> NCS 기반 훈련생 역량 평가 실시 애로 사항(직종별)	86
<표 3-24> 참여한 NCS 기반 평가 관련 교육	87
<표 3-25> 훈련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88
<표 3-26> NCS 기반 평가 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것	89
<표 3-27> 훈련 이수자 평가를 받은 경험에 근거한 인식(규모별)	90
<표 3-28> 훈련 이수자 평가를 받은 경험에 근거한 인식(직종별)	91
<표 3-29> 훈련 이수자 평가를 받은 경험에 근거한 인식(기관 유형별)	91
<표 3-30> 샘플 평가 개선 방식에 대한 의견	93
<표 3-31> 훈련 이수자 평가의 유용성(규모별)	95
<표 3-32> 훈련 이수자 평가의 유용성(직종별)	96
<표 3-33> 훈련 이수자 평가의 유용성(기관 유형별)	96
<표 3-34> 훈련 이수자 평가 전반에 대한 의견	97
<표 3-35> NCS 기반 훈련생 역량 평가 개선 사항(규모별)	99
<표 3-36> NCS 기반 훈련생 역량 평가 개선 사항(직종별)	100
<표 3-37> NCS 기반 훈련생 역량 평가 개선 사항(기관 유형별)	101
<표 3-38> 정부 기관 지원 요청 사항	103
<표 3-39> 설문 조사에 참여한 특성화 전문대학 특성	105
<표 3-40> 응답자 현황	105
<표 3-41> 학칙에 평가 관련 사항을 명시하고 있는 특성화 전문대학	106
<표 3-42> 평가 단계별 횟수 및 시간	107
<표 3-43> 기초 학습 능력 평가 과목 분포 및 평가 방법	108
<표 3-44> 직업기초능력 평가 영역 분포	108
<표 3-45> 계열별 채택하고 있는 전공 능력 평가 방법	109
<표 3-46>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체계에 대한 의견	110
<표 3-47> NCS 기반 평가 운영 애로 사항별 심각성	110
<표 3-48> 특성화 전문대 FGI 참석자	111
<표 3-49> 특성화고 FGI 참석자	120
<표 4-1>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의 전담 인력 수(개발원별)	134
<표 4-2>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 훈련 과정 현황(2015~2016년)	135
<표 4-3> 훈련생 역량 평가 관련 절차 및 제출 자료	143
<표 5-1> NCS 기반 평가 방법의 재구조화	164
<표 5-2> NCS 연수(한국기술교육대학교 능력개발교육원)	167
<표 5-3> 메타 평가에 비추어 본 훈련 이수자 평가의 주요 내용	175
[그림 1-1] 본 연구의 주요 내용 및 연구 방법	7
[그림 2-1] 평가의 일반적 절차와 메타 평가	23
[그림 2-2] NCS 기반 훈련 기준의 구성	29
[그림 2-3] NCS 기반 훈련생의 성과 관리를 위한 훈련 과정 평가의 절차	35
[그림 2-4] 훈련 이수자 평가 절차	36
[그림 2-5] NCS 기반 직업교육훈련 개편 방향	43
[그림 2-6] ASQA 인증 과정 추이(2011~2015)	49
[그림 2-7] 싱가포르 WSQ 프레임워크의 구성 3요소	52
[그림 2-8] 싱가포르 역량 기준 체계	53
[그림 2-9] 싱가포르의 훈련생 평가 방법 매핑	55
[그림 4-1]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 NCS 훈련 이수자 성과 관리 시스템	136
[그림 4-2] 대한상공회의소 훈련생 NCS 성취도 평가 체계(안)	137
[그림 4-3]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의 표준 과제(예시)	138
[그림 4-4] NCS 능력단위 이수증	140
[그림 4-5] 평가 개선 사항 조치 계획	145
[그림 4-6] 평가 개선 사항 조치 계획(계속)	146
[그림 4-7] 훈련 과정 종합 평가서	148
[그림 4-8] NCS 기반 평가 모델	151
[그림 5-1] NCS 기반 훈련 관리 시스템 개요	169
[그림 5-2] 교육과정 및 평가 운영 단계별 산업계 활용 방안(예시)	17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NCS기반 훈련생 역량평가 운영방안 연구 2016.01.01~2016.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